퓨어 담마(Pure Dhamma)
붓다의 진정한 가르침을 회복하기 위한 탐구
주요 담마 개념
붓다께서 빠리닙바-나(Parinibbāna, 무여열반)에 드신 후, 천년도 안되어 특정한 핵심 개념들이 왜곡되었습니다. 다년간 필자는 테라와다(Theravada) 문헌을 포함하여 불교 문헌에 널리 알려진 특정한 개념들의 적합성에 대해 의문을 품고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아닛짜(anicca), 아낫따(anatta), 순야따(sunyata)에 대한 설명은 필자에게 의미가 없었습니다. 게다가, 상카-라(sankhāra)와 같은 용어에 대한 수많은 설명에서 길을 잃었습니다. 표준 테라와다(Theravada) 문헌에는 그 용어에 대한 세 가지 다른 의미가 있습니다.
필자가 스리랑카의 ‘와라하까 테로(Waharaka Thero)’ 스님의 법문을 듣기 시작했을 때, ‘이것이 진정한 가르침(담마, Dhamma)이다’라고 즉시 필자에게 분명해졌습니다. ‘Parinibbāna of Waharaka Thero’ 포스트를 보세요. 뿐만 아니라, 법문을 듣는 동안에 상사라(sansara), 삼마(samma), 상카-라(sankhāra)와 같은 개념이 명명백백해졌습니다. 아래에서 이 정보가 명확하게 전달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이 메인 섹션은 아래와 같은 서브섹션과 그 포스트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산 (San, 많은 핵심 빠알리 용어들을 설명함)
-
-
산(San)이란 무엇인가? 상사-라(삼사-라)의 의미(2020.02.16. 개정-추후 번역예정)
-
'담마-'와 '상카-라'의 차이(2020.01.11. 개정-추후 번역예정)
-
'상카-라'로 행해진 깜마 - '상카-라'의 유형(2019.05.14. 전면개정-번역완)
닙바-나
-
-
루-빠는 무엇인가? (닙바-나와 관련하여) ('붓다 담마' 섹션에서 옮겨옴)(2020.02.19. 개정-추후 번역예정)
-
니라-미사 수카 ('붓다 담마' 섹션에서 옮겨옴) (2020.06.15. 개정 - 추후 번역예정)
-
닙바-나를 맛보는 방법 (‘세 단계 실천’ 섹션에서 옮겨옴) (2020.04.26. 개정-추후 번역예정)
-
첫번째 성스런 진리는 괴로움만 나타내는가?(2019.08.05. 재작성-번역완)
-
닙바-나는 존재하지만, 이 세상으로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2020.03.22. 재작성-번역완)
아닛짜, 둑카, 아낫따
-
-
아닛짜, 둑카, 아낫따 - 잘못된 해석(2020.01.11. 개정-추후 번역예정)
-
아닛짜 - 진정한 의미
-
* 아닛짜 - 좋아하는 것을 계속 유지할 수 없음(2020.06.13 개정-추후 번역예정)
-
* 아닛짜 - 세속적인 것들의 무가치함 (2020.06.08. 개정-추후 번역예정)
-
* 아닛짜 - 끊임없는 압박(삘-라나) (2020.06.01. 재작성 및 제목변경-번역완)
-
* 모든 것이 아닛짜라면, 모든 것을 포기해야 하는가? (2020.02.11. 개정-추후 번역예정)
-
아낫따 - 체계적 분석
-
-
* 다사 아꾸살라와 아낫따 - 결정적인 연결(2019.06.06. 개정-번역완)
* 아낫따 - 어느 앗따의 반대말일까? (15번 포함 14번 추가개정-번역완)
주요 경 몇 개에 따라본 아닛짜와 둑카와 아낫따 (2020.07.02. 개정-추후 번역예정)
틸락카나 - 영어 법문 (2020.02.11. 개정-추후 번역예정)
소따빤나 단계 및 띨락카나
* 삭까-야 딧티(유신견)와 띨락카나(삼법인) (2019.10.23. 개정-추후 번역예정)
- * 삭까-야 딧티 - 더 깊은 사견의 제거 (2019.10.23. 개정-추후 번역예정)
- * 교제(세-와나) - 사견의 근본 원인
가띠, 바와, 및 자띠
-
-
나마곳따, 바와, 깜마 삐-자, 및 마노 로까 (2020.03.02. 개정-추후 번역예정)
-
바와 및 자띠 - 존재 상태와 거기로 태어남 (2020.01.18. 개정-추후 번역예정)
-
‘딴하-’와 ‘우빠-다-나’ 사이의 차이(2019.11.04. 개정-번역완)
몇가지 주요 빠알리 용어 정리(싼하, 로바, 도사, 모하 등)
-
-
까-마 딴하-, 바와 딴하-, 위바와 딴하- (2019.11.09. 개정-추후 번역예정)
-
땅하-, 탐함과 미워함과 미혹함을 통해 어떻게 들러붙는가? (2019.08.24. 개정-추후 번역예정)
-
‘로-바, 라-가’ 및 ‘까-맛찬다, 까-마라-가’ (2021.02.23. 개정-추후 번역예정)('빠띳짜 사뭅빠-다(연기)' 섹션과 공유)
-
‘로-바, 도-사, 모-하’ 대 ‘라-가, 빠띠가, 아윗자-’ (2021.02.23. 개정-추후 번역예정)('빠띳짜 사뭅빠-다(연기)' 섹션과 공유)
-
두 가지 방식으로 일어나는 웨-다나-(느낌) (2020.05.05. 개정-번역완) ('세 단계 실천' 섹션과 공유)
-
딧티(사견), 삼마 딧티(정견) ('세 단계 실천' 섹션에서 옮겨옴) (2020.02.06. 개정-추후 번역예정)
-
‘와찌- 상카-라’의 바른 의미 (2020.10.16. 개정-추후 번역예정)
-
'낄레사(정신적 오염물)'란 무엇인가? - 쩨따시까에 연결 (‘리빙 담마’ 섹션에 포함)
-
-
Annantara and Samanantara Paccaya (‘빠띳짜 사뭅빠다(연기)’ 섹션에 포함)
-
다섯 무더기(오온)
-
-
다섯 무더기(오온) - 소개 (2020.04.17/19. 재작성/개정-번역완)
-
‘루-빠’와 ‘루-빡칸다’ 사이의 차이 (2020.04.24. 재작성-번역완)
-
다섯 무더기(오온) - 틸락카나(삼법인)에 연결
* '나' 및 '내 것' ㅡ 고통(괴로움)의 근본 원인
루빠, 웨다나, 산냐-, 상카-라, 윈냐-나에 관한 포스트의 표본
* 루빠: '루-빠는 무엇인가?(닙바-나와 관련하여)'(주요 담마 개념 섹션), '루빠(물질적 요소)', 'The Origin of Matter – Suddhāṭṭhaka'(아비담마 섹션)
* 웨다나: '두 가지 방식으로 일어나는 웨-다나-(느낌)', '웨-다나-와 삼팟사 자- 웨-다나- ㅡ 단순한 느낌 이상의 것'(리빙 담마 섹션), '감각 사건에서 위빠-가 웨-다나-와 삼팟사 자- 웨-다나-'(담마와 과학 섹션)
* 산냐-: '산냐-와 그 진정한 의미'(리빙 담마 섹션), '위빨라-사(딧티, 산냐, 찟따)는 상카-라에 영향을 미친다)'(리빙 담마 섹션)
* 상카-라: '상카-라와 그 진정한 의미'(리빙 담마 섹션), ‘상카-라, 깜마, 깜마 삐-자, 깜마 위빠까’(주요 담마 개념 섹션)
* 윈냐-나: '윈냐-나(오염된 의식)', '윈냐-나와 그 진정한 의미'(리빙 담마 섹션), '깜마 윈냐-나 ㅡ 마음과 물질 사이의 연결고리'(리빙 담마 섹션), '아니닷사나 윈냐-나와 그 진정한 의미'(리빙 담마 섹션)
-
심오한 분석
-
* '빤쭈빠-다-낙칸다' - 모두 정신적(2019.06.28 개정-번역완)
-
* '나-마 & 루-빠에서 나-마루-빠로'(리빙 담마 섹션의 서브 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