퓨어 담마(Pure Dhamma)
붓다의 진정한 가르침을 회복하기 위한 탐구
두 가지 방식으로 일어나는 웨-다나-(느낌)
원문: Key Dhamma Concepts 섹션의 ‘Vedanā (Feelings) Arise in Two Ways’ 포스트
- 2017년 2월 9일 개정; 2017년 10월 17일 개정; 2018년 11월 5일 개정; 2020년 5월 5일 개정; 2021년 4월 28일 개정
소개
1. 웨-다나-(vēdanā)라는 낱말은 싱할라어로 ‘වීම දැනවීම’를 의미하는 ‘웨(vé) + 다나-(danā)’에 기원을 두고 있습니다. 그것은 ‘감지하다(알아채다)’는 뜻입니다. 아-람마나(ārammana, 대상)가 (6가지 감각 중의 하나를 통해) 마음에 들어올 때, 우리는 그것을 감지합니다(알아챕니다).
웨-다나-(Vēdanā)는 두 가지 면에서 일어날 수 있습니다.
-
1) 웨-다나-(vēdanā)의 한 가지 유형은 이전의 깜마(이전의 오염된 행위)의 결과, 즉 깜마 위빠-까(kamma vipāka)입니다. 그 깜마는 수많은 생의 전에 행해진 것일 수 있습니다.
-
2) 두 번째 유형은 (현재 우리의 가띠로 인해) 상카-라(오염된 생각)를 생성하는 것의 직접적 결과입니다.
-
* 예를 들어, 친구가 준 케이크 한 조각을 먹으면서 ‘기분좋은 느낌’을 받았을 때, 그것은 위빠-까 웨-다나-(vipāka vēdanā)입니다. 그 다음, 앞으로 그 케이크를 어떻게 먹을지, 그런 생각으로 생각하기 시작하면, 그런 미래 경험에 대해 ‘기분좋은 느낌’을 일으킵니다. 그것들은 탐하는 생각과 관련된 ‘마음이 만든 느낌(삼팟사 자 웨-다나-)’입니다.
-
* 두 가지 유형의 웨-다나-(vēdanā)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감각 사건에서 '위빠-까 웨-다나-'와 '삼팟사 자- 웨-다나-' ’ 포스트에서 볼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그것들을 간단히 논의해 보겠습니다.
‘깜마 위빠-까’로부터 일어나는 ‘웨-다나-’
2. 깜마 위빠-까(kamma vipāka)로 인한 웨-다나-(vēdanā, 느낌)는 세 종류이며, 수카 웨-다나-(sukha vēdanā, 즐겁거나 기쁜 느낌), 두카 웨-다나-(dukha vēdanā, 괴롭거나 고통스러운 느낌), 및 아둑카마수카(adukkhamasukha, 괴롭지도 않고 즐겁지도 않은 그저 무덤덤한 느낌)입니다. 아둑카마수카(adukkhamasukha)라는 낱말은 ‘아둑카마(adukkhama)’와 ‘아수카(asukha)’의 합성어입니다.
-
* 이 세 종류의 웨-다나-(vēdanā)는 몸(까-야, kāya)에 의해서만 느껴집니다. 다른 다섯가지 감각 기능을 통해 들어오는 모든 웨-다나-(vēdanā)는 처음에 무덤덤한(중간) 느낌입니다.
-
* 수카 웨-다나-(sukha vēdanā)와 두카 웨-다나-(dukha vēdanā)로 이어지는 깜마 위빠-까(Kamma vipāka)는 아라한 성자들을 포함한 모든 이들에게 일어납니다. 그런 두카 웨-다나-(dukha vēdanā)의 일부는 주의깊게(필요한 예방책을 마련) 생활함으로써 피할 수 있지만, 너무 강해서 피할 수 없는 것들이 있습니다.
-
* 예를 들어, 붓다 당신께서는 생애의 후반에 깜마 위빠-까(kamma vipāka)로써 육체적 질환이 있었습니다. 목갈라나 테로께서는 많은 생 전에 행한 나쁜 깜마 때문에 두들겨 맞아 죽게 되었습니다.
3. 그러나, 깜마 위빠-까(kamma vipāka)는 일어나는 것이 확실한 것은 아닙니다. 우리는 어떤 것을 피할 수 있습니다( ‘깜마, 빚(부채), 및 명상’ 포스트를 참조). 마음챙김으로 [주의깊게] 행하기 시작하면, 많은 위빠-까(vipāka)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힘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
* 우리는 그냥 상식적인 면에서 그것들이 일어날 수 있는 조건을 막음으로써 일부 깜마 위빠-까(kamma vipāka)를 피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우범지역에 밤에 나가는 것은 과거의 나쁜 깜마 위빠-까(kamma vipāka)가 나타나는 기반을 조성하는 것입니다. 많은 깜마 위빠-까(kamma vipāka)는 조건이 맞지 않는 한, 일어날 수 없습니다. ‘아난따라와 사마난따라 빳짜야-’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
* 우리 모두는 과거 생에서 셀 수 없이 많은 깜마(kamma) (좋은 것과 나쁜 것 모두)를 지었습니다. 상식적으로 행하면, 나쁜 깜마 위빠-까(kamma vipāka)를 억제하고 좋은 깜마 위빠-까(kamma vipāka)가 일어나는 조건을 만들 수 있습니다.
-
* 또한, ‘상카-라, 깜마, 깜마 비-자, 깜마 위빠까’ 포스트에서 깜마 비-자(kamma bīja)에 대한 논의를 참조하세요.
-
* 이제, 웨-다나-(vēdanā)의 두번째 유형에 대해 살펴 보겠습니다.
‘상카-라’로부터 일어나는 웨-다나-(‘삼팟사 자 웨-다나-’)
4. 이것들은 우리가 스스로 만들어내는 웨-다나-(vēdanā)입니다. 이것들은 아라한 성자에게는 일어나지 않는 웨-다나-(vēdanā)입니다.
-
* 위빠-까 웨-다나-(vipāka vēdanā)를 기반으로, 우리는 아래에서 논의하는 것처럼 소-마낫사 웨-다나-(sōmanassa vēdanā)와 도-마낫사 웨-다나-(dōmanassa vēdanā)라고 하는 ‘마음이 만든(mind-made)’ 웨-다나-(vēdanā)의 유형을 더 만들어내게 됩니다.
-
* 위 #2에서, 우리는 위빠-까 웨-다나-(vipāka vēdanā)가 몸(까-야, kāya)에 의해서만 느껴진다는 것을 보았습니다.
-
* 다른 감각을 통해 들어오는 일부 웨-다나-(vēdanā)는 깜마 위빠-까(kamma vipāka) 때문이 아니라 다른 이유로 인해 유쾌하거나 불쾌하게 느껴집니다. 그것들은 각 영역(세계)과 관련되어 있으며, 까-마 구나(kāma guṇa)입니다. ‘까-마 구나 - 들러붙음(땅하-)의 기원’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예를 들어, 모든 인간은 설탕을 단맛으로 맛봅니다. 그러나 어떤 사람들은 설탕이 가득한 단 것(과자 등)을 먹는 것에 중독됩니다. 그 두 번째 카테고리가 ‘마음이 만든(mind-made)’ 것입니다.
-
* 위에서 언급한 두 가지로 인해 ‘초기 웨-다나-(initial vēdanā)’로 시작하여 ‘삼팟사 자 웨-다나-(samphassa-ja-vēdanā)’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삼팟사 자 웨-다나-(samphassa-ja-vēdanā)’는 까-마 구나(kāma guṇa)가 그 원인입니다.
‘삼팟사 자 웨-다나-’의 몇 가지 예
5. 이 ‘삼팟사 자 웨-다나-(samphassa-ja-vēdanā)’는 그 순간(즉, 자신의 가띠 때문에) 탐함과 미워함을 통한 ‘들러붙음’으로 인해 일어납니다. ‘땅하-, 탐함과 미워함과 미혹함을 통해 어떻게 들러붙는가?’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
* 이것들은 아라한 성자가 느끼지 않는 웨-다나-(vēdanā, 느낌)입니다. 아라한 성자들은 ‘나쁜 가띠(bad gati)’가 없으므로, 어떤 아비상카라(abhisaṅkhāra)도 범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아비)상카-라로부터 일어나는 어떤 느낌에서도 벗어납니다. 이 유형의 웨-다나-(vēdanā)를 쉽게 설명하기 위해 몇가지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
1) 세 사람이 길을 걷고 있습니다. 한 사람은 정치적으로 극우 성향의 사람(A)이고, 두 번째 사람은 정치적으로 극좌 성향의 사람(B)이며, 세 번째 사람은 어떤 누구에게도 특별한 감정이 없는 아라한 성자(C)입니다. 그들 모두는 극우 성향의 사람이 미워하는 유명 정치인이 오는 것을 동시에 보았습니다. 그 유명 정치인을 보면, A는 불쾌한 느낌을 일으키고 B는 즐거운 느낌을 일으킨다는 것은 당연합니다. 반면에, 아라한 성자는 불쾌한 느낌도 즐거운 느낌도 일으키지 않습니다. 비록 세 사람 모두가 그 사람의 신원을 알아보지만, 다른 유형의 느낌(감정)을 일으킵니다. A와 B의 느낌은 그들 자신이 그 느낌을 만들었다는 것을 깨닫는 것이 핵심입니다.
-
2) 두 친구가 보물을 찾으러 가서 보석을 발견합니다. 둘 다 너무 기뻐합니다. 그 보석이 매우 귀중한 것으로 보여, (그 보석을 팔아서) 모든 돈을 가질 수 있도록 한 사람이 다른 사람을 죽입니다. 하지만, 그 사람이 보석을 팔려고 할 때, 그것이 그렇게 가치있는 것이 아니었다는 사실을 알게 됩니다. 그의 기쁨은 곧바로 슬픔으로 바뀝니다. 그 대상(보석)은 바뀌지 않았습니다. 그 대상은 여전히 빛나는 바위 조각이었습니다. 바뀐 것은 그 대상에 대한 인식이었습니다.
-
3) 아라한 성자가 길에 놓여 있는 동일한 보석을 발견하면 어떻게 될까요?(아라한 성자는 그런 보석을 찾으러 가지도 않습니다). 아라한 성자는 발견한 보석을 자선단체에 기부하려고 생각할지도 모릅니다.
‘삼팟사 자 웨-다나-’의 또 다른 예
6. 다정한 부부가 아무런 문제없이 수년간 살았으며, 함께 있어 행복했습니다. 그러나 남편은 말다툼을 하는 중에 아내를 찰싹 때립니다(이것은 ‘깜마 위빠-까_kamma vipāka’입니다). 찰싹 때리는 것 자체로 인한 육체적 고통은 몇 분 이상 지속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아내는 정신적으로 얼마나 오래 고통을 받을까요? 그 느낌은 상카-라, 즉 슬픔과 미워함으로 인해 일어납니다. 어떤 육체적 고통도 느끼지 않은 남편도 아내를 사랑한다면 며칠 동안 고통(괴로움)을 겪을 것입니다. 두 경우 모두 실제 정신적 고통은 서로에 대한 애착과 관련이 있습니다. 아내는 발에 무언가를 떨어뜨릴 수 있고 같은 양의 육체적 고통을 겪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 아내는 그것과 관련해서는 어떤 정신적 고통도 없을 것입니다.
-
* 위의 모든 경우에, 초기 감각 접촉은 깜마 위빠-까(kamma vipāka)에 의한 것이었습니다. 그것 자체는 어떤 깜마 에너지도 생성하지 않았습니다.
-
* 그러나, 그 감각 접촉을 바탕으로, 우리는 마음으로 그것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것이 우리가 깜마(kamma)를 생성하기 시작하는 때입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최악의 적을 본다면, 그것은 단지 보는 것입니다. 그러나 우리가 그 사람이 얼마나 나쁜지 생각하기 시작한다면, 우리는 나쁜 와찌 상카-라(vaci saṅkhāra)를 생성하고 그래서 나쁜 깜마(kamma)를 생성할 것입니다.
-
* 더 깊은 분석은 ‘위빠-까 윈냐-나와 관련한 아브야-까따 빠띳짜 사뭅빠-다’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땅하-로 인해 일어나는 ‘삼팟사 자 웨-다나-’
7. 따라서 위의 모든 예에서, (‘깜마 위빠-까’로 인한 것이 아닌) 추가적인 행복이나 고통(괴로움)은 자신의 마음 속에서 일어났다는 것이 분명합니다. 그리고, 땅하-(taṇhā, 탐함 또는 미워함을 통한 들러붙음)가 그 원인이었습니다. ‘땅하-, 탐함과 미워함과 미혹함을 통해 어떻게 들러붙는가?’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
* 우리가 그런 ‘마음이 만든 웨-다나-(mind-made vēdanā)’를 생성할 때, 미래에 더 많은 고통(괴로움, 시달림)을 가져오는 깜마(아비상카-라를 통해)도 행합니다.
-
* 붓다께서는 담마짝까 빠왓따나 숫따(Dhammacakka Pavattana Sutta)에서 둑카를 묘사하실 때 그것을 지적하셨습니다. ‘첫 숫따에 있는 불교의 에센스’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8. 따라서 이 모든 느낌은 땅하-(taṇhā), 즉 어떤 형태의 들러붙음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탐함(갈망, 좋아함) 또는 미워함(싫어함); 이 모든 것은 마노-(manō)/와찌(vaci)/까야(kaya) 상카-라(saṅkhāra) 때문입니다. 느낌(또는 오히려, 느낌을 일으키는 인식)은 자신 안에 있습니다. 그것은 외부에서 오는 것이 아닙니다. 우리는 외부 것을 사용하여 우리 자신의 의지로 행복이나 고통(괴로움)을 유발합니다.
-
* 외부의 어떤 것에도 내재된 고통(괴로움)이나 행복은 없습니다. 외부 것들과 감각 접촉하는 것이 우리의 가띠(gati)와 아-사-와-(āsāvā)에 따라 고통(괴로움)과 행복을 유발합니다. 모든 아-사-와-(āsāvā)를 제거한 아라한 성자는 그런 감정적 반응에서 벗어납니다.
‘빠띳짜 사뭅빠-다’로 연결
9. 빠띳짜 사뭅빠-다(Paṭicca Samuppāda)를 통해 상카-라(saṅkhāra)를 축적하는 것이 어떻게 그런 다양한 느낌으로 이어지는지 또한 분명합니다. ‘좋다’거나 ‘싫다’는 것으로 어떤 것에 들러붙으면, 그에 따른 마음가짐(마음성향)이 생성됩니다. 그것이 빠띳짜 사뭅빠-다(Paṭicca Samuppāda)입니다. 즉, ‘pati + icca’가 ‘sama + uppāda’로 이어진다는 것입니다. ‘빠띳짜 사뭅빠-다 ㅡ '빠띠+이치차' + '사마+웁빠-다'’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
* 우리가 ‘탐함’으로 무언가에 들러붙어 있다면, 그 ‘탐하는 마음가짐(마음성향)’으로 행합니다. 우리가 원하는 것을 얻으면, 행복할 것입니다. 우리가 ‘성냄’으로 무언가에 둘러붙어 있다면, ‘성내는 마음가짐(마음성향)’을 가질 것이며, 그 성냄을 야기한 것을 제거하면 행복할 것입니다.
-
* 두 경우 모두, 느낌의 강도는 ‘좋다’ 또는 ‘싫다’의 강도에 비례합니다. 사마 웁빠다(Sama uppada) 또는 사뭅빠-다(Samuppāda)는 질과 양 모두를 의미합니다. ‘빠띠(pati) + 잇차(ichcha)’의 강도가 높을수록 ‘사마(sama) + 웁빠다(uppada)’의 강도는 높아집니다.
-
* 우리가 습관(가띠, gati)을 형성하는 방법도 이와 같습니다. 친구들과 무리지어 술을 마시는 10대는 그런 환경(자리)에 들러붙고 다시 같은 경험을 하게 되기를 기대합니다. 그 활동을 반복할수록, 그런 환경에 더 많이 들러붙어 음주 습관을 형성하게 됩니다. ‘습관, 목표, 및 성격(가띠 또는 가티)’와 ‘윤회 습관, 성격(가티), 및 갈망(아사와)’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이 포스트의 후속편으로 ‘느낌: 수카, 두카, 소마낫사, 및 도마낫사’ 포스트가 있습니다.
웨-다나-(vēdanā)에 대한 더 깊은 논의는 ‘육체적 고통은 깜마 위빠-까로 인해서만 일어나는가?’, ‘빠띳짜 사뭅빠-다 사이클은 어떻게 시작되는가?’, 및 ‘위빠-까 윈냐-나와 관련한 아브야-까따 빠띳짜 사뭅빠-다’ 포스트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