퓨어 담마(Pure Dhamma)
붓다의 진정한 가르침을 회복하기 위한 탐구
자아가 있는가?
기존 포스트로서 다음 포스트가 본 섹션(이전의 '코멘트와 리뷰'섹션이 삭제되고 본 섹션으로 바뀌었음)에 정리되어 있습니다.
1. ‘담마와 과학’ 섹션의 ‘생명의 기원(Origin of Life)’ 시리즈에 있는 ‘자아가 있는가?’ 서브섹션에 있는 포스트(DS2-08-04e1 ~ 04e7)
2. ‘담마와 과학’ 섹션의 ‘생명의 기원(Origin of Life)’ 시리즈에 있는 ‘빠띳짜 사뭅빠-다 ㅡ 비아 또는 무아’ 서브섹션에 있는 포스트(DS2-08-04f1 ~ 04f9, DS2-08-04g1 ~ 04g3)
3. ‘리빙 담마’ 섹션의 ‘나마 & 루-빠에서 나-마루-빠로’ 서브섹션에 있는 ‘고정되고 내 것인 마음이 있는가?’ 포스트(LD-09-11)
* 찟따 - 우리 경험과 행위의 기초(2022.11.30.개정-추후번역예정)
* 감각 사건에서 '위빠-까 웨-다나-'와 '삼팟사 자- 웨-다나-'(2022.08.28. 개정-추후번역예정)
* 까-마 구나 - 들러붙음(땅하-)의 기원 (2022.10.09. 개정-추후번역예정)
* 시각은 일련의 스냅사진 - 영화 비유 (2022.04.04./2023.01/13./05.16. 개정-추후번역예정)('방 안의 코끼리' 섹션과 공유)
* 고정되고 내 것인 마음이 있는가? ('리빙 담마' 섹션에서 옮겨옴) (2022.10.03./11.28. 개정-번역완)
* 차착까 숫따 - 초기 감각 경험에서는 자아가 없음 (2020.09.28.~2022.08.29 개정(제목변경포함)-추후번역예정)
* '앗따-'나 '자아'나 '아-뜨마'의 면에서 '삭까-야 딧티' (2022.10.09. 개정-추후번역예정)
* 겉보기 '자아'는 깜마 발생에 관련되어 있다(2022.09.10./10.14. 개정-추후번역예정)
서브섹션: 빠띳짜 사뭅빠-다 ㅡ 비아 또는 무아(Paṭicca Samuppāda – Not ‘Self’ or ‘No-Self’)
* '빠띳짜 사뭅빠-다 ㅡ 자아는 '아윗자-'로 인해 존재한다
* 깜마, 상카-라, 및 아비상카-라 ㅡ 의도란 무엇인가?(2022.07.08./08.27. 개정-추후번역예정)
* '와찌- 상카-라' ㅡ 상깝빠(의식적 생각)와 와-짜-(말) (2021.07.17./2022.09.10. 개정-추후번역예정)
* 땅하- 빳짜야- 우빠-다-나 ㅡ '빠띳짜 사뭅빠-다'의 결정적 단계 (2020.10.14. 개정-번역완)
* '모-하/아윗자-'와 '위빠-까 윈냐-나/깜마 윈냐-나'
* 잇차-(갈망)는 우빠-다-나로 이어지고 결국 고통(괴로움)에 이른다 (2022.10.14. 재작성-번역완)
* 담마-, 깜마, 상카-라, 마음 ㅡ 결정적 연결(관계) (2022.02.17. 개정-추후번역예정)
* 깜마와 빠띳짜 사뭅빠-다
* 까-마 앗사-다 ㅡ 괴로움의 근본 원인 (2020.04.06. 개정-번역완)
* 가띠(습관/성격)가 탄생을 결정한다 ㅡ 상삽빠니-야 숫따
결론: 생명의 기원 ㅡ 각자는 자기 자신의 미래 생을 만든다
- 그것은 단지 더 많은 괴로움으로 이어진다. 새로운 생을 창조하는 것은 닙바-나/아라한과를 성취함으로써 멈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