퓨어 담마(Pure Dhamma)

붓다의 진정한 가르침을 회복하기 위한 탐구


{"google":["PT Serif","Noto Sans KR"],"custom":["Nanum Gothic","Nanum Barun Gothic"]}

 

참된 행복은 괴로움이 없는 것이다

 

원문: True Happiness Is the Absence of Suffering

 

부처님의 말씀에 따르면, 참된 행복은 괴로움이 전혀 없는 것입니다. 대조적으로, 사람들은 감각 경험을 극대화하려고 하지만, 붓다께서는 그런 노력은 결국 괴로움(고통)으로 이어질 뿐이라고 보여주셨습니다. 

 

2023년 7월 29일 작성; 2023년 8월 9일 개정(#7) 

 

영문 도표 다운로드/인쇄: B. Conventional Versus Buddha’s Worldview

 

보통 인간(뿌툿자나)과 성자(아리야)

 

1. 보통 인간(뿌툿자나)은 부처님의 가르침을 듣지 못한(또는 들었지만 이해하지 못한) 자들입니다.

 

  • * 8가지 유형의 성자(아리야)는 부처님의 가르침(사성제/빠띳짜 사뭅빠-다/띨락카나)을 다양한 레벨로 이해한 자들입니다.

  • * 아리야(성자)의 세계관은 뿌툿자나의 세계관과는 정반대입니다.

  • * 사람들은 부처님의 세계관을 이해함으로써 소따빤나 아누가-미(아리야의 첫단계)가 됩니다.

 

정반대의 세계관

 

2. 뿌툿자나는 감각 즐거움을 주는 외부 것들을 축적하여 더 행복해진다고 믿는데, 붓다께서는 다양의 레벨의 감각 즐거움을 다양한 방식으로 언급하셨습니다. 그것들은 수카/소마낫사 웨다나-(sukha/somanassa vedanā), 까-마 앗사-다(kāma assāda), 사-미사 수카(sāmisa sukha), 니라-미사 수카(nirāmisa sukha) 등입니다

 

  • * 감각 즐거움은 까-마 로까(kāma loka)에서 가장 높은데, 까-마 로까에서는 5가지 감각(눈, 귀, 코, 혀, 및 몸)이 빤짜 까-마(pañca kāma)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빤짜’는 ‘다섯’을 의미하고, ‘까-마’는 ‘감각 즐거움’을 의미합니다). 인간 영역은 까-마 로까(kāma loka)에 속합니다. 

  • * 그러나, 붓다께서는 참되고 궁극적인 행복(괴로움이 전혀 없음)은 자신의 마음에 감춰져 있다고 말씀하셨습니다. 그것은 라-가(rāga), 도사(dosa), 모하(moha)가 없는 마음입니다. 그것은 아래에서 설명된 것처럼, 빠밧사라 찟따(pabhassara citta), 즉 오염이 안된 생각이 함께 하는 마음입니다.

  • * 뿌툿자나의 생각(또는 찟따)은 라-가, 도사, 및 모하로 오염됩니다. 그것은 자연적인 ‘괴로움 없는 마음’이 감각 즐거움을 극대화하려는 뿌툿자나의 행위에 의해 더 덮여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뿌툿자나는 빤짜 까-마로 인한 사-미사 웨다나-만 안다 

 

3. 우리 인간은 다섯 감각(눈, 귀, 코, 혀, 및 몸)으로 경험하는 것에 기반하여 즐거운(수카/소마낫사, sukha/somanassa), 스트레스받는(두카/도마낫사, dukha/domanassa), 그리고 중립적(아둑카마수카, adukkhamasukha) 웨다나-(vedanā)를 생성합니다.

 

  • * 뿌툿자나는 수카/소마낫사 웨다나-(sukha/somanassa vedanā)를 극대화하고 두카/소마낫사 웨다나-(dukha/domanassa vedanā)를  최소화하고 싶어합니다. 대부분의 뿌툿자나는 다른 어떤 유형의 웨다나-를 모릅니다.

  • * 그러므로, 그들은 두카/도마낫사 웨다나-를 겪을 때마다, 수카/소마낫사 웨다나-를 주는 활동을 함으로써 그것들을 극복하려고 합니다.

  • * 예를 들어, 우울할 때, 많은 사람들은 술을 마시거나 약물을 복용하는 것에 의존하며, 그것이 우울증을 없애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충분한 성관계를 갖지 못하여 우울해질 때, 어떤 사람들은 성폭행에 의존합니다. 그 해결책은 항상 또다른 감각 입력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4. 그러므로, 뿌툿자나는 행복은 우리가 다섯 감각으로 경험하는 외부 것, 즉 루빠(보는 것), 삿다(듣는 것), 간다(냄새), 라사(음식), 및 뽓땁바(신체 접촉)에 있다고 믿습니다.

 

  • * 그들은 수카/소마낫사 웨다나-를 주는 것처럼 보이는 외부 것들을 축적하고자 힘씁니다. 그것들(집, 차, 음악, 향기로운 것, 맛있는 음식, 성적 즐거움)에는 돈이 듭니다. 그래서, 물질적 부를 얻기 위해 무척 노력합니다.

  • * 부를 축적하는 과정은 부도덕한 행위로 이어질 수 있고 까-마 로까(아빠-야-, 인간 영역, 및 6가지 천상)에 갇히게 할 수도 있습니다. 까-마 로까는 오감이 모두 활성화되는 곳입니다. 더 높은 브라흐마 로까-(Brahma lokā)에는 간다(냄새), 라사(음식), 뽓땁바(신체 접촉)라는 세 가지 밀접한 접촉이 없습니다.

  • * 다섯가지 유형의 감각 즐거움(빤짜 까-마)이 있는 까-마 로까(kāma loka)는 까-마(kāma)가 최적화되고 그곳의 유정체는 닙바-나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니라-미사 수카를 아는 뿌툿자나는 거의 없다

 

5. 부처님 시대 전에도, 일부 금욕 수행자들은 빤짜 까-마(pañca kāma)가 즉각적인 수카/소마낫사 웨다나-(sukha/somanassa vedanā)를 주지만 순고통(net suffering)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 * 예를 들어, 우울증이 있는 사람은 약물을 복용하여 기분이 좋아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약물을 복용하는 것은 위험한 건강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우울증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양의 약물이 필요할 것이며, 그것은 건강의 악화를 가속화할 것입니다. 요즘에는 ‘약물을 과도하게 복용하여 죽음에 이르렀다’는 말을 꽤 흔히 듣습니다. 

  • * (부처님 시대 전에도) 일부 고대 요기(금욕 수행자)들은 까-마 앗사-다(kāma assāda)의 그런 나쁜 결과를 깨달았습니다. 그들의 해결책은 (감각적 유혹에서 벗어나) 깊은 숲속에 숨어서 아나리야 자-나(anariya jhāna)를 육성하는 것이었습니다. 그것은 진흙 뭉치(지편)나 불과 같은 중립 대상(까시나 대상)에 집중함으로써 감각적 생각이 마음에 일어나지 않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데, 그것이 까시나 명상입니다. 그것의 매우 잘 알려진 버전이 마음을 호흡에 집중하는 ‘호흡 명상’입니다. 

  • * 그런 노력은 자-나로 이어질 수 있는데, 그것은 까-마 라-가(kāma rāga), 즉 ‘감각적 즐거움에 대한 갈망’을 억누름으로써 일시적으로 까-마 로까(kāma loka)를 초월하는 정신 상태가 되는 것입니다. 그것은 죽음 후에 브라흐마 로까(범천 영역)에 태어남으로 이어질 수 있지만, 미래에 아빠-야-(악처)에 태어나는 것을 피할 수는 없습니다. ‘방 안의 코끼리’ 섹션의 ‘두 번째 코끼리(Elephant in the Room 2 – Jhāna and Kasina)’ 서브섹션을 참조하세요.

  • * 아빠-야에 태어나지 않기 위해서는, ‘즐거움은 외부 대상에 내재되어 있다’는 잘못된 세계관을 우선 제거해야 합니다. 위 #1을 참조하세요.  

 

성자(아리야)의 세계관

 

6. 붓다께서는 ‘마음의 자연 상태’는 라-가, 도사, 및 모하라는 오염원으로부터 벗어나 있다고 말씀하셨습니다. 그것을 달리 말하면, 단지 ‘빠밧사라 찟따(pabhassara citta)만’이 그런 순수한 마음으로 일어날 수 있습니다

 

먼저, ‘빠밧사라(pabhassara)’는 무슨 의미일까요?

 

  • * 그 낱말은 3가지 음에서 기원하는데, ‘빠(pa)’는 ‘반복해서’를 의미하고, ‘바(bha)’는 ‘바와(bhava)’와 관련되어 있고, ‘사라(sara)’ 또는 ‘차라(chara)’는 ‘관여함/참여함(싱할라어로는 ‘සැරිසැරීම)’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pabhassara가 아닌) ‘s’가 하나만인 낱말인 ‘빠바사라 찟따(pabhasara citta)는 윤회 여정, 즉 재탄생 과정으로 이어지는 오염된 찟따입니다.

  • * ‘pabha sara’의 반대는 ‘pabha assara’이고, ‘assara’는 ‘참여(관여)하지 않음’을 의미합니다. 그것은 ‘pabhassara(빠밧사라)’로 운이 맞춰집니다.

  • * 따라서, 마음을 깨끗하게 하여 ‘pabhassara citta(빠밧사라 찟따)’를 일으키는 사람은 31영역에 다시 태어나지 않을 것입니다. 즉 아라한은 ‘pabhassara citta(빠밧사라 찟따)’를 일으킵니다. ‘빠밧사라 찟따, 빛나는 마음, 및 바왕가’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 * 이것이 필자가 빠알리어는 음성 언어(구어)라고 말하는 이유입니다. 의미는 소리(음)를 기반으로 합니다. 필자는 웹사이트를 통해 많은 예를 들었습니다.

 

빠밧사라 찟따(오염없는 '생각')

 

7. ‘pabhassara citta(빠밧사라 찟따)’는 앙굿따라 니까야의 ‘Accharāsaṅghātavagga’에 있는 두개의 구절(#51 및 #52)에 간결히 묘사되어 있습니다.

 

  • * 거기, #51에는 “Pabhassaramidaṁ (Pabhassaraṁ idaṁ) bhikkhave, cittaṁ. Tañca kho āgantukehi upakkilesehi upakkiliṭṭhaṁ. Taṁ assutavā puthujjano yathābhūtaṁ nappajānāti. Tasmā ‘assutavato puthujjanassa cittabhāvanā natthī’ti vadāmī”ti.”로 기술되어 있는데, 그 의미는 “빅쿠들이여, 마음은 (본질적으로) 오염되지 않았으므로 재탄생의 원인이 아니다. 그러나, 그것은 (보통) 오염원에 의해 더럽혀진다. 무지한 보통 사람(뿌툿자나, puthujjano)은 그것을 진정으로 이해하지 못한다. 그래서 나는 무지한 보통 사람에게 명상(찟따 바-와나-)를 가르치지 않는다.”입니다.

  • * 그리고, #52에는 “Pabhassaramidaṁ, bhikkhave, cittaṁ. Tañca kho āgantukehi upakkilesehi vippamuttaṁ. Taṁ sutavā ariyasāvako yathābhūtaṁ pajānāti. Tasmā ‘sutavato ariyasāvakassa cittabhāvanā atthī’ti vadāmī”ti.”로 기술되어 있는데, 그 의미는 “빅쿠들이여, 마음은 (본질적으로) 오염되지 않았으므로 재탄생의 원인이 아니다. 마음은 오염에서 벗어날 수 있다. 배운 성스런 제자(숫따와- 아리야사-와꼬, sutavā ariyasāvako)는 그것을 참으로 이해한다. 그래서 나는 성스런 제자에게 명상(찟따 바-와나-, citta bhāvanā)을 가르친다.”입니다.

  • * 기본 ‘순수한 마음’은 빠밧사라 찟따-(pabhassara cittā)만 생성합니다. 그러나, 그것은 오염층의 아래에 숨겨져 있습니다. 중요한 점은 그 층을 벗겨내고 순수한 마음을 회복시킬 수 있다는 것입니다. 다음 여러 포스트에서 그것을 논의하겠습니다. ‘’ 섹션의 ‘도표로 본 불교’에 있는 ‘괴로움 없는 순수한 마음을 회복(Recovering the Suffering-Free Pure Mind)’ 서브섹션 아래의 포스트들을 보세요.

 

닙바-나를 얻는 것(아라한과)은 숨겨진 순수한 마음을 드러내는 것을 수반한다

 

8. 그러므로, 마음이 ‘괴로움에서 벗어난’ 상태는 우리 모두 안에 있습니다. 그것은 우리의 오랜 윤회 여정에서 많은 오염원의 층으로 철저히 덮여 있습니다. 우리가 해야하는 모든 것은 그 순수한 마음을 드러내는 것입니다. 

 

  • * 그것이 이해될 때까지는 붓다의 세계관을 아직 파악하지 못한 ‘앗수따와- 뿌툿자노(assutavā puthujjano)일 것입니다.

  • * 우리가 해야 할 것은 외부 세계를 변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우리 자신의 마음을 깨끗이 하는 것임을 (지혜로)  한번 알게 되면, 닙바-나가 무엇인지 이해하기가 훨씬 더 쉬워질 것입니다. 그것은 세계관의 패러다임 변화입니다.

 

9. 빠띳짜 사뭅빠-다(Paṭicca Samuppāda)에서, 아윗자-(avijjā)의 한가지 의미는 위 것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뿌툿자나는 아비상카-라를 행하고(아윗자- 빳짜야 상카-라) 감각 즐거움을 구함으로써 부를 얻기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 그러나 그런 노력은 항상 괴로움으로 이어지는데, “..upādāna paccayā bhavō, bhava paccayā jāti, jāti paccayā jarā, marana, soka-paridēva-dukkha-dōmanassupāyasā sambhavan’ti.”입니다.  

 

  • * 그러므로, 우리가 들러붙는 것(그리고 그런 들러붙음을 기반으로 아비상카-라를 생성하는 것)은 우리가 그것들에 들러붙는 것을 지속시키게 하는 힘을 지니고 있지 않다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 * 대신에, 그 외부 것들이 매력적인 특성(까-마 구나, kāma guna)을 지니고 있다고 생각하게 하는 것은 우리의 ‘전도된 세계관’입니다. 

  • * 위 #7에서 붓다께서 말씀하신 바와 같이, 그것을 먼저 이해하지 않고는 진정으로 명상(그리고 열반에 도달)할 수 없습니다.

 

순수한 마음(빠밧사라 찟따)를 드러내는 것은 흙으로 덮인 보석을 깨끗이 하는 것과 같다

 

10. 아무리 귀중한 보석이라도 여러 겹의 흙으로 덮여 있으면 일반 돌과 구별할 수 없습니다.

 

  • * 우리는 축적된 오염층을 벗겨내기 시작함으로써 감춰진 보석(빠밧사라 찟따만 일으키는 순수한 마음)을 드러내기 시작해야 합니다.

  • * 감춰진 보석을 덮고있는 첫 번째(그리고 가장 두꺼운) 오염층은 세상 것들이 내재된(본질적인) 매력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다는 잘못된 견해입니다. 이것은 또한 삭까-야 딧티(Sakkāya Diṭṭhi)의 한 버전입니다.

  • * 그 층이 제거되면, 감춰진 빛나는 보석을 엿볼 수 있습니다. 그것이 닙바-나의 소따빤나 아누가-미 단계입니다. 그 후에는, 숨겨진 보석에 대한 확신을 가지고 있으므로 닙바-나로 가는 길에서 돌아서는 일은 없습니다. 이 소따빤나 아누가-미 단계에 도달하는 것은 붓다 담마를 이해하는 것(‘dassanena pahātabbā’)만을 포함합니다. 빠하-땁바-(pahātabbā)는 ‘제거’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닷사네나 빠하-땁바-(dassanena pahātabbā)는 ‘봄(견해)으로 제거’를 의미합니다.

  • * 나머지 오염의 제거하기 위해서는 사띠빳타-나/아-나-빠-나사띠 바-와나-(Satipaṭṭhāna/Ānāpānasati Bhāvanā)(위 #7의 ‘찟따 바-와나-’와 같은 ‘바-와나-야 빠하-땁바-’, 즉 ‘정식 명상을 통한 제거’)가 필요합니다.

 

참된 행복은 괴로움이 없는 것이다

 

11. 여러분은 ‘수카 웨다나-(sukha vedanā)를 향상시키는 방법을 붓다께서 가르치신 것에 대해서는 삼장 전체의 어디에도 없다는 것을 알아차렸는지요? ‘Nibbāna Sukha Sutta (AN 9.34)’에서는 ‘닙바-나 수카(Nibbāna sukha)’는 모든 웨다나-가 없는 것이라고 설명합니다.

 

  • * 붓다께서는 항상 둑카 웨다나-(dukha vedanā)를 제거하는 것에 대해 말씀하셨습니다. 붓다께서는 두카(dukha)(하나의 k를 가짐), 즉 괴로움은 제거될 수 있다고 가리켜 보였습니다. 그것이 제1성제가 제거될 수 있는 괴로움, 즉 둑카 삿짜(Dukkha Sacca)에 대한 것인 이유입니다. 여기서 둑카(dukkha)(두개의 k를 가짐)(dukha + khaya)는 제거될(khaya) 수 있는 두카(dukha)라는 의미를 내포합니다.

  • * 붓다께서는 이 세상에서 가질 수 있는 많은 유형의 수카 웨다나-(다섯 감각으로 경험됨)가 있다는 것에 이의를 제기하지 않으셨습니다. 감각적 즐거움을 즐기는 이 다섯 가지 수단은 ‘빤짜 까-마(pañca kāma)입니다.

  • * 그러나, 붓다께서는 빤짜 까-마는 ‘괴로움 없는 닙바-나’, 또는 ‘빠밧사라 찟따’만을 일으키는 ‘순수한 마음’을 포기하는 대가로만 경험될 수 있다고 지적하셨습니다. 빤짜 까-마를 즐기는 마음은 항상 오염된 마음입니다

  • * 까-마(kāma)라는 낱말은 ‘kha + ama’에서 유래하며, ‘kha’는 ‘멈추다 또는 제거하다’를 의미하고, ‘ama’는 닙바-나(Nibbāna)의 다른 명칭입니다. 까-마(kāma)를 즐길수록 괴로움이 완전히 없는 닙바-나에서 더 멀어집니다.

  • * 빤짜 까-마(pañca kāma)는 11가지 낮은 영역(4가지 아빠-야-, 인간 영역, 및 6가지 데와 영역)에서 누릴 수 있는 ‘다섯 가지 유형의 까-마(5가지 육체적 감각으로 경험)를 의미합니다. 그것들은 ‘감각적 즐거움’(사-미사 수카, sāmisa sukha)을 위한 가장 많은 수단을 제공하기 때문에, 그 영역들은 (까-마가 우세한) ‘까-마 로까’에 있다고 말합니다.

 

12. 필자는 빤짜 까-마(pañca kāma)를 포기하고 아나리야 자-나(anariya jhāna)를 육성한 요기(금욕 수행자)들이 경험하는 니라-미사 수카(nirāmisa sukha)에 대해 간략히 논의했습니다. 그 마음 성향은 브라흐마의 마음 성향과 같습니다. 빤짜 까-마(그리고 관련된 사-미사 수카)는 브라흐마 영역에는 없습니다.

 

  • * ‘니라-미사 웨다나-(nirāmisa vedanā)는 사-미사 웨다나-(sāmisa vedanā)를 초월한 것, 또는 ‘더 강한 웨다나-’를 의미합니다. 그러나 둘 다 31영역에 속하고, 그것들은 닙바-나에서 멀어지게 합니다.

  • * 루빠와짜라 브라흐마-(rupavacara Brahmā)(또는 ‘자나-’를 경험하는 요기)에게는 2가지 유형의 까-마(루빠와 삿다에 들러붙음)가 여전히 나타납니다. 그러나 그 루빠-(rupā)와 삿다-(saddā)는 음식, 냄새, 또는 섹스와 같은 ‘밀접한(olārika) 접촉’을 수반하지 않습니다. 

  • * 아루빠와짜라 브라흐마-(arupavacara Brahmā)(또는 ‘아루빠와짜라 사마-빳띠’를 경험하는 요기)에게는 그 두 가지 유형도 없습니다. 그러나 그들에게는 ‘Nibbāna Sukha Sutta (AN 9.34)’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웨다나-의 흔적이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모든 유형의 웨다나-는 31영역 세상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13. 그러면 ‘닙바-나 수카’ 또는 ‘열반의 지복’은 무슨 의미일까요?

 

  • * ‘Nibbāna Sukha Sutta (AN 9.34)’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열반의 지복(Nibbānic bliss)’은 모든 웨다나-(또는 찟따)도 없는 상태입니다. 찟따(citta)는 루빠, 웨다나-, 산냐-, 상카-라, 및 윈냐-나(다섯 무더기)를 수반하지 않고는 일어날 수 없습니다. 5가지 모두가 닙바-나(Nibbāna)에는 없습니다.

  • * 열반의 지복은 니로다 사마-빳띠(또는 산냐-웨다이따 니로다)에 들어 있는 아라한들이 이 생에서도 경험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아라한들이 니로다 사마-빳띠(nirodha samāpatti)에 들어 있지 않다면, 모든 아라한들은 육체에 오는  수카 웨다나- 또는 두카 웨다나-를 경험할 것입니다.

  • * ‘닙바-나 수카’ 또는 ‘열반의 지복’에 대한 가장 가까운 비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아기 때부터 만성 두통을 겪고 있었던 사람을 생각해 보세요. 그 사람은 두통없는 순간을 결코 경험하지 못했습니다. 그 두통이 사라지면 그 사람은 어떤 느낌일까요? 그 사람에게 그 해방감은 웨다나-가 아니라 지복의 경험입니다. 열반의 지복은 (아라한이 죽은 후에 영구적으로 영원히 유지되는) 그런 해방입니다. 

  • * 열반의 지복은 소따빤나 아누가-미 단계에서 그 기미를 시작으로 성스런 길에서 진전함에 따라 자랍니다. 아라한이 죽은 후에는 고통/괴로움의 흔적조차 남지 않을 것입니다.

{"google":["PT Serif"],"custom":["Nanum Gothic","Noto Sans KR","Nanum Barun Gothic"]}{"google":["PT Serif","PT Sans"],"custom":["Nanum Gothic","Noto Sans KR","Nanum Barun Gothic"]}
{"google":["Noto Sans KR"],"custom":["Nanum Goth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