퓨어 담마(Pure Dhamma)

붓다의 진정한 가르침을 회복하기 위한 탐구


{"google":["PT Serif","Noto Sans KR"],"custom":["Nanum Gothic","Nanum Barun Gothic"]}

 

아닛짱 위빠리나-미 안냐타-바-위 ㅡ 결정적 구절

 

원문: ‘Is There A Self?’ 섹션의 ‘Aniccaṁ Vipariṇāmi Aññathābhāvi – A Critical Verse’ 포스트

 

아닛짱 위빠리나-미 안냐타-바-위(Aniccaṁ vipariṇāmi aññathābhāvi)는 감각적 즐거움을 추구하는 것의 결실없음(무익함)을 간결하게 표현한 구절입니다. 그 참된 의미를 이해하면 닙바-나의 소따빤나 단계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2023년 9월 22일 작성

 

아닛짜 본질 ㅡ 다섯 무더기와 관계

 

1. 이전 포스트인 ‘아닛짜 본질 ㅡ 세간적 즐거움을 쫓는 것은 무의미하다’에서, 부처님의 가르침을 이해하지 못한 보통 인간은 좋아하지 않는 감각 경험, 즉 침울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서 단 한가지 선택만 한다는 사실에 대해 논의했는데, 그들은 더 많은 감각적 즐거움을 추구합니다.

 

  • * 그러나, 거기서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붓다께서는 이전에 알려지지 않은 선택을 설명하셨습니다. 우리의 오염된 마음 아래에는 ‘괴로움이 없는 순수한 마음’이 있습니다. 세속적/감각적 즐거움을 추구할 때, 우리 행위는 ‘순수한 마음’을 더욱 숨기는 경향이 있습니다. 

  • * 따라서, 우리는 즐거움을 추구하는 것이 모래성을 쌓는 것과 같은 비생산적 행위라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아이들이 모래성을 쌓는 것을 즐기더라도, 자라면서, 그들은 그것이 비생산적이라고 깨닫습니다. 그래서, 그들은 자발적으로 그것을 포기하고 특정 직업을 공부하거나 배우는 것과 같은 생산적인 활동에 노력을 집중합니다. 모래성을 쌓는 것은 ‘아닛짜 본질’을 지니고 있으며, 이는 비생산적이라는 의미입니다. 마찬가지로, 감각적 즐거움을 쫓는 것은 비생산적인(그리고 또한 위험한) 활동인데, 그것을 이 포스트 시리즈에서 논의할 것입니다.

  • * 붓다께서는 우리가 감각적 즐거움을 추구할 때 어떻게 ‘순수한 마음’에서 멀어지는지를 자세히 묘사하셨습니다. 이제 그것을 논의해 보겠습니다. 붓다께서는 다섯 무더기(빤짝칸다) 측면에서 감각 경험을 묘사하셨습니다. 붓다께서는 감각 경험에 들러붙는 것은 빤짝칸다(pañcakkhandha)에 대한 갈망/우빠-다-나(upādāna)와 동일하다는 것, 즉 감각적 즐거움을 갈망하는 것은 빤쭈빠-다-낙칸다(pañcupādānakkhandha)와 동일하다고 설명하셨습니다.

 

각 감각 접촉은 다섯 무더기(빤짝칸다)를 증가시킨다

 

2. 각 감각 경험은 2가지 유형의 루빠를 수반하는데, (시각 대상, 즉 ‘완나 루빠’와 같은) 외부 루빠와, (‘짝쿠 빠사-다 루빠’와 같은; 그것은 실제로 보는 육체적 눈이 아님) 내부 루빠가 그것입니다. 6가지 그런 쌍이 있습니다.

 

  • * 감각 사건에서, 외부 루빠는 하다야 왓투(hadaya vatthu, 마음의 자리)에서 내부 루빠와 접촉합니다. 그것은 다수의 정신적 현상, 즉 웨다나-(vedanā), 산냐-(saññā), 상카-라(saṅkhāra), 및 윈냐-나(viññāṇa)가 일어나는 것으로 이어집니다. 간략하게 말하면, 웨다나-는 수카, 둑카, 또는 중립 느낌이고, 산냐-는 감각 대상에 대한 인식이며, 상카-라는 마음에 일어나는 다양한 정신 요소(쩨따시까)를 포함하고, 윈냐-나는 그 모든 정신 현상의 총체이며 또한 감각 입력에 관하여 가능한 기대(더 추구할 것인지 또는 피할 것인지)입니다.

  • * 그 5가지 실체(루빠, 웨다나-, 산냐-, 상카-라, 윈냐-나)는 전통적으로 다섯 무더기(빤짝칸다, pañcakkhandha)라고 불립니다. 여기서, 그것들이 무더기 또는 모음(칸다, khandha)으로 불리는 이유는 마음이 주어진 순간에 일어나는 그 실체를 아는 것뿐만 아니라 그것들에 대한 과거 경험을 포함하여 11가지 유형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빤짝칸다(보다 정확하게는, 빤쭈빠-다-낙칸다, pañcupādānakkhandha)는 감각 입력에 우리가 들러붙는 척도를 나타냅니다.   

  • * 우리는 또한 다음과 같이 그것을 조금 다른 방식으로 살펴볼 수도 있습니다. 

 

3. 우리는 생각과 함께 즐거움/기쁨 또는 즐겁지 않음/고통을 경험하고, 생각은 감각 입력(아-람마나, ārammaṇa)과 함께 일어납니다. 생각은 내부 루빠가 외부 루빠와 접촉하게 될 때 일어납니다. (비록 우리가 그것들 모두를 상기할 수 없지만 우리의 현재 마음 상태는 그것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서) 그 ‘루빠 무더기’는 지금까지 경험한 그 2가지 종류의 루빠를 모두 포함합니다. 생각은 우리가 외부 세상을 어떻게 이해하는지를, 즉 우리의 감각 경험을 포괄합니다.

 

  • * 우리 생각과 함께 일어나는 정신 요소(쩨따시까)는 각 경험의 다양한 측면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감각 입력을 느끼고(웨다나-), 인식하여 그것에 대한 우리의 지각을 형성합니다. 그리고 그다음에 ‘마음이 만든 웨다나-’(삼팟사-ㅡ자-ㅡ웨다나-)가 그 초기 웨다나-와 산냐-에 기반하여 일어납니다. 그것이 웨다나- 및 산냐- 무더기(웨다낙-칸다 및 산냑-칸다)의 기초입니다.

  • * (탐욕, 기쁨, 화냄, 등과 같은) 여러 다른 정신 요소가 웨다나-와 산냐-에 기반하여 일어나는데, 상카-라 무더기(상카-락칸다, saṅkhārakkhandha)가 그것을 나타냅니다.

  • * 전체 감각 경험은 윈냐-나(viññāṇa)입니다. 그것은 또한 우리가 경험하는 것에 관한 우리의 기대를 포함합니다. 그것은 윈냐-낙칸다(viññāṇakkhandha)라는 다섯번째 무더기입니다.

 

각 감각 경험은 순수한 마음, 즉 빠밧사라 찟따를 숨기는데 도움을 준다

 

4. 어떤 감각 입력(아-람마나)에 들러붙으면, 우리는 상카-라(즉, 아비상카-라)를 축적하기 시작합니다. 그것은 ‘깜마를 축적한다’는 의미입니다.

 

  • * 그것은 우리의 윤회 족쇄(상요자나)와 숨겨진 오염원(아누사야)을 강화시킵니다.

  • * 심각한 깜마를 축적하지 않거나 상요자나 또는 아누사야를 추가하지 않더라도, 보통 사람(뿌툿자나)은 결코 기존 오염원을 정화하기 시작할 수 없습니다.

  • * 다르게 말하면, 뿌툿자나는 항상 ‘순수한 마음’ 또는 ‘닙바-나’에서 멀어지는 한 방향으로 움직이는데, 감각 입력에 들러붙는 정도에 따라 때로는 천천히 그리고 때로는 더 빨리 움직입니다. 빠알리어로, 이것은 ‘아-짜야가-미(ācayagāmi)(‘aachayagaami’로 발음), 즉 ‘닙바-나에서 멀어짐’이라고 불립니다.

  • * 성자(아리야, Ariya)가 되어 성스런 길을 따르기 시작할 때에만, 다른 길(아빠짜야가-미, apacayagāmi)(‘apachayagaami’로 발음, 참고 사항 1 참조)을 갈 수 있습니다.

  • * 붓다께서는 여러 숫따에서 비유를 해 주셨습니다. 폭류(빠알리어로 ‘ogha’)는 사람을 피난처에서 멀리 떠나게 할 것입니다. 뿌툿자나(보통 사람)는 폭류, 즉 윤회 여정에 휩쓸려가는 무력한 사람과 같습니다. 최소한 소따빤나 아누가미(Sotapanna Anugāmi)가 될 때, 폭류를 거슬러 어떻게 안전한 곳에 도달하는지를 알기 시작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Oghapañhā Sutta (SN 38.11)’를 참조하세요.

 

빤짝칸다에 더하는 것은 아닛짜 본질을 지닌다

 

5. 그러므로, 이제 다음 사실이 분명해야 합니다. 즉 감각 입력(아-람마나)에 들러붙을 때마다, 그것은 고통이 없는 ‘순수한 마음’, 즉 ‘빠밧사라 찟따(pabhassara citta)’에서 멀어지는 것을 돕기만 한다는 것입니다. 괴로움에서 궁극적으로 벗어나는 것에서 멀어지게 하는 모든 행위 또는 어떤 것은 결실이 없습니다. 즉, 그것은 모래성을 쌓는 것과 같이 아닛짜 본질을 지닙니다.

 

  • * 그것을 이해할 수 있으면, 소따빤나 아누가-미(Sotapanna Anugāmi) 단계에 도달하는 데 현저한 진전을 이루었을 것입니다.

  • * 다수의 숫따에서, 여러분은 붓다께서는 “cakkhuṁ niccaṁ vā aniccaṁ vā” ti?” 질문을 빅쿠들에게 하셨다는 것을 아마 보았을 것입니다. 이 구절에 대한 올바른 번역은 “눈(짝쿠)는 닛짜 본질인가, 아닛짜 본질인가?” 입니다. 그다음, 질문은 다른 다섯가지 감각 요소인, 귀(소따, sota), 코(가-나, ghāna), 혀(지와-, jivhā), 몸(까-야, kāya), 및 마음(마노, mano)에 대해 반복됩니다. 예를 들어, ‘Cakkhu Sutta (SN 18.1)’를 참조하세요. (주: 숫따 센트럴 사이트의 많은 중요한 번역과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영어 번역의 경우와 같이, 링크된 주소의 영어 번역은 잘못되었습니다.) 

  • * 숫따에 따라, 상응하는 외부 루빠(루빠, 삿다, 간다, 라사, 폿탑바, 담마-)에 대해 동일하게 질문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Rūpa Sutta (SN 18.2)’를 참조하세요. 다른 숫따들에서는 다섯 무더기(루빠, 웨다나-, 산냐-, 상카-라, 윈냐-나)에 대해 질문됩니다. 예를 들어, ‘Anicca Sutta (SN 22.12)’를 참조하세요. 여기서, 모든 6가지 유형의 루빠는 모두 ‘루빠(rupa)’(즉, 루빠 무더기, 루빡칸다) 다발로 묶이고, 다른 4가지 무더기도 마찬가지입니다. 

  • * 여기서 요점은 우리가 감각 입력에 들러붙는 때마다, 내부 및 외부 루빠가 작용할 뿐만 아니라 빤쭈빠-다-낙칸다(pañcupādānakkhandha)도 ‘아-짜야가-미(ācayagāmi)’, 즉 닙바-나(Nibbāna)에서 멀어지는 잘못된 방향으로 자란다는 것입니다.

 

아닛짱 위빠리나-미 안냐타-바-위 ㅡ 올바른 의미

 

6. ‘Cakkhu Sutta (SN 25.1)’는 위의 내용을 이해하는 것이 어떻게 소따빤나 단계로 이어지는지를 설명합니다. 이것은 짧은 숫따인데, 우리는 대부분의 그 핵심 사항을 다룰 수 있습니다.

 

붓다께서는 “Cakkhuṁ, bhikkhave, aniccaṁ vipariṇāmi aññathābhāvi”라고 말씀하셨는데, 위 링크에서는 “수행자들이여, 눈은 무상하고, 노화되고, 소멸된다”로 잘못 번역되어 있습니다. 그다음, 나머지 유형의 감각 기능, 즉 내부 루빠인 소따(sota), 가-나(ghāna), 지와-(jivhā), 까-야(kāya),  및 마노(mano)에 대해 반복됩니다. 

 

  • * 올바른 해석은 #4에 설명된 것처럼, (뿌툿자나로서) 짝쿠(눈)이 감각적 즐거움을 누리기 위해 사용될 때마다 닙바-나에서 멀어지거나 ‘폭류에 의해 피난처에서 멀어진다는 것을 알면 이해될 수 있습니다.

  • * 감각적 즐거움을 누리기 위해 눈을 사용하는 것은  잠깐 동안의 순간적 즐거움을 위해 모래성을 쌓는 것과 같으며, 즉 비생산적인 활동입니다. 그것이 바로 그 구절에 있는 아닛짱(aniccaṁ)의 의미입니다.

  • * 위빠리나-마(vipariṇāma)빠리나-마(pariṇāma)의 반대입니다. 그 두 낱말의 의미를 이해해 보겠습니다. 영어에서, 진화(빠리나-마, pariṇāma)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 좋아지는 어떤 것의 시간적 진행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면, 다윈의 ‘진화 이론’(빠알리어/싱할라어에서 ‘pariṇāma vāda’)은 원숭이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진보되어 인간이 된다고 말합니다. 위빠리나-마(vipariṇāma)는 진화의 반대(devolution)이며, 무엇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잘못된/반대 방향으로 이동합니다. 눈을 감각적 즐거움을 누리는데 사용할 때, 닙바-나에서 멀어집니다. 

  • * 안냐타-바-위(aññathābhāvi)는 ‘자연적/선호적 상태에서 벗어남’을 의미하며, 여기서 안냐타(aññatha)는 ‘나쁜 방향으로 벗어남’을 의미하고 ‘잇타(ittha)’ 또는 ‘닙바-나의 안정 상태’의 반대입니다. 많은 숫따에서, “Khīṇā jāti, vusitaṁ brahmacariyaṁ, kataṁ karaṇīyaṁ, nāparaṁ itthattāyā” ti abbhaññāsi.” 구절은 아라한과(Arahanthood) 달성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Dutiyaanuruddha Sutta (AN 3.130)’를 참조하세요. 따라서, 안냐타-바-위(aññathābhāvi)잇탓따-야-(itthattāyā)의 반대이며 위빠리나-마(vipariṇāma)와 매우 유사한 의미를 가집니다.

  • * 그러므로, 매우 간략하게 표현된 그 구절의 올바른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빅쿠들이여, 감각적 즐거움을 얻기 위해 짝쿠를 사용하는 것은 모래성을 쌓는 것과 같고, 따라서 짝쿠는 아닛짜 본질을 지니며, 그것은 그대들을 닙바-나(순수한 마음)에서 멀어지게 하고 (내리막 길에서) 더 많은 고통으로 데려갈 것이다.” 

  • * 우리가 닙바-나를 향해 이동하기 시작하지 않거나 아빠짜야가-미(apacayagāmi)가 되지 않는다면(#4 참조),  미래에 아빠-야(악처)에 재탄생하는 것이 계속 열려 있다는 것을 결코 잊지 말아야 합니다.

 

7. 숫따 SN 25.2 ~ SN 25.9에서는 감각 접촉으로 일어나는 여러 실체들에 대해 동일한 구절이 반복되는데, 그런 감각 접촉으로 일어나는 각 실체는 루빠(rupa), 윈냐-나(viññāṇa), 팟사(phassa)(saṁphassa, 삼팟사), 웨다나-(vedanā), 산냐-(saññā), 쩨따나-(cetanā), 땅하-(taṇhā), 및 다-뚜(dhātu)입니다. 시리즈의 마지막 숫따(SN 25.10)는 다섯 무더기, 즉 루빠(rupa), 웨다나-(vedanā), 산냐-(saññā), 상카-라(saṅkhāra), 및 윈냐-나(viññāṇa)에 대해 그 구절을 반복함으로써 요약합니다.

 

  • * 거의 모든 기존 영어 번역에서, #6에 있는 핵심 구절의 번역에 결정적인 오류가 나타납니다. 성자가 설명하지 않는 한, 그것은 올바른 설명을 듣지 못한 보통 사람(뿌툿자나)에게는 타당한 해석입니다.

  • * 숫따에서 논의된 대부분의 용어는 일반적으로 정신 현상을 지칭한다는 것을 깨닫는 것이 중요합니다. 붓다께서 짝쿠(cakkhu)를 논의할 때, 그것은 육체적 눈에 대한 것이 아니라 감각적 즐거움을 누리기 위해 눈을 아-야따나(āyatana)로 사용하는 것(즉, 짝카-야따나, cakkhāyatana)에 대한 것입니다. 다른 다섯가지 내부 아-야따나도 마찬가지입니다. 여섯가지 유형의 루빠를 언급할 때, 그것은 외부 루빠에 관한 것이 아니라 그것들에 대해 마음이 생성한 ‘마음이 만든 버전’, 즉 루빠-야따나(rupāyatana), 삿다-야따나(saddāyatana), 간다-야따나(gandhāyatana), 라사-야따나(rasāyatana), 폿땁바-야따나(phottabbāyatana), 및 마나-야따나(manāyatana)에 관한 것입니다.

  • * 그것은 문제의 구절을 엄격하게 정신적 실체(윈냐-나, 팟사(삼팟사), 웨다나-, 산냐-, 쩨따나-, 등) 및 내부와 외부 루빠에 적용하는 위의 일련의 숫따로부터 분명합니다.

 

‘아닛짱 위빠리나-미 안냐타-바-위’의 잘못된 해석

 

8. 대부분의 영어 번역에서, 위 구절은 일반적으로 육체적 눈과 물리적 루빠를 지칭하는 것으로 번역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많은 사람들이 그것은 육체가 노화되고 죽는 것에 대한 것이라는 개념을 갖습니다. 예를 들어, 위 #6에서 논의된 ‘Cakkhu Sutta (SN 25.1)’의 영어 번역은 “Cakkhuṁ, bhikkhave, aniccaṁ vipariṇāmi aññathābhāvi”를 “수행자들이여, 은 무상하고, 노화되고, 소멸된다”로 번역합니다.

 

  • * 대부분의 번역자들은 윈냐-나(viññāṇa)와 같은 정신적 속성에 대한 구절을 기계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번역합니다. 예를 들어, ‘Viññāṇa Sutta (SN 25.3)’에서, “Cakkhuviññāṇaṁ, bhikkhave, aniccaṁ vipariṇāmi aññathābhāvi” 구절은 “수행자들이여, 눈-의식(안식)은 무상하고, 노화되고, 소멸된다”로 번역되어 있습니다.

  • * 그러나, 모든 유형의 윈냐-나는 일어나고 사라집니다(또는 육체는 태어나고 죽습니다). 붓다께서 그런 명백한 사실을 설명하실 필요가 있을까요? 

 

위의 내용을 이해하기 시작하는 사람들은 최소한 소따빤나 아누가미다

 

9. 계속해서Cakkhu Sutta (SN 25.1)’에서 붓다께서는 “Yo, bhikkhave, ime dhamme evaṁ saddahati adhimuccati—ayaṁ vuccati saddhānusārī..”라고 말씀하십니다. 그 의미는 “누군가가 (이해에 기초하여) 믿음으로 그 구절(#6)의 의미를 이해한다면, 그 사람은 삿다-누사-리-(saddhānusārī)다.”입니다. (주: 다시 말하지만, 영어 번역은 전혀 명확하지 않습니다.) 그다음 붓다께서는 더욱 명확히 말씀하시는데, “삿다-누사-리-(saddhānusārī)는 지옥, 축생계, 또는 아귀계에 다시 태어나게 하는 어떤 행위도 할 수 없다. 또한, 그들은 소따빤나가 되지 않고는 죽지 않을 것이다.”라고 말씀하십니다.

 

  • * 다음 구절(표식 2.1)에서, 붓다께서는 “Yassa kho, bhikkhave, ime dhammā evaṁ paññāya mattaso nijjhānaṁ khamanti, ayaṁ vuccati: ‘dhammānusārī..”라고 말씀하십니다. 그 의미는  “누군가가 어느 정도의 지혜로 숙고한 후, 그 구절(#6)의 의미를 이해한다면, 그 사람은 담마-누사-리-(dhammānusārī)다.”입니다. 그다음 붓다께서는 담마-누사-리-(dhammānusārī)는 또한 죽기 전에 소따빤나가 될 것이라고 더욱 명확히 말씀하십니다.

  • * 마지막 구절(표식 2.4)에서, 붓다께서는 “Yo, bhikkhave, ime dhamme evaṁ pajānāti evaṁ passati, ayaṁ vuccati: ‘sotāpanno avinipātadhammo niyato sambodhiparāyano’” ti 라고 말씀하십니다. 그 의미는 “위 구절의 의미를 완전히 이해한 소따빤나는 아빠-야-(apāyā)에 재탄생하는 것에서 벗어나는 것이 보장되고, 아라한과를 얻게 되어 있다.”입니다.

  • * 삿다-누사-리-(saddhānusārī)담마-누사-리-(dhammānusārī)에 대해서는 ‘소따-빤나 아누가-미 - 더 이상 사악처에 태어나지 않음’ 포스트에서 논의했습니다.

 

위 구절을 이해하는 것은 삭까-야 딧티를 제거하는 한 가지 방법이다 

 

10. “Cakkhuṁ, bhikkhave, aniccaṁ vipariṇāmi aññathābhāvi” 구절을 이해하기 시작하면, 감각적 즐거움을 쫓는 것은 아닛짜 본질의 행위고 폭류에 거슬러 가고 순수한 마음을 향해 가는 성스런 길을 결코 시작할 수 없다는 것을 (지혜로) 보았습니다. 그 이해는 삭까-야 딧티를 제거한 것과 같고, 또한 위찌낏차-(vicikicchā)와 실랍바따 빠라-마-사(silabbata parāmāsa)라는 다른 두가지 상요자나(saṁyojana)를 제거한 것과 같습니다.

 

  • * 소따빤나 단계에 도달하거나 삭까-야 딧티를 제거하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그래서, 여러분이 위에서 묘사한 대로 이전에 ‘아닛짜 본질’을 말하는 것에 대해 생각해보지 않았더라도 염려할 필요가 없습니다. 일단 설명이 되면, 그 사람이 이미 소따빤나/소따빤나 아누가-미였다면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참고 사항

 

1. 수많은 년 전(1800년대)에 채택된 독특한 ‘띠삐따까 영어’ 표기법을 모르는 사람들은 ‘초기 유럽 학자들이 채택한 '띠삐따까 영어' 규약 ㅡ 제1부’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띠삐따까(Tipiṭaka)의 영어 버전은 1900년대 초에 이 형태로 쓰여졌고, 그것은 숫따 센트럴(Sutta Central) 사이트를 포함하여, 대부분 영어 웹 사이트에서 오늘날 사용되는 버전입니다. 빠알리 낱말을 정확하게 발음하는 법을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google":["PT Serif"],"custom":["Nanum Gothic","Noto Sans KR"]}{"google":["PT Serif"],"custom":["Nanum Gothic","Noto Sans KR","Nanum Barun Gothic"]}
{"google":["Noto Sans KR"],"custom":["Nanum Goth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