퓨어 담마(Pure Dhamma)

붓다의 참된 가르침을 회복하기 위한 탐구


{"type":"img","src":"https://cdn.quv.kr/f5120tiws%2Fup%2F5c9ef7f87c581_1920.png","height":80}
  • 붓다 담마
  • 주요 담마 개념
  • 리빙 담마
  • 방 안의 코끼리
  • 담마와 과학
  • 세 단계 실천
  • 빠띳짜 사뭅빠다(연기)
  • 자아가 있는가?
  • 바와나(명상)
  • 아비담마
  • 담마빠다(법구경)
  • 숫따(경) 해석
  • 붓다 담마ㅡ상급
  • 음성법문
  • JBM 법문-녹취
  • 원문 홈
  • {"google":["PT Serif"],"custom":["Nanum Gothic","Noto Sans KR","Nanum Barun Gothic"]}

     

    초기 유럽 학자들이 채택한 '띠삐따까 영어' 규약 ㅡ 제1부

     

    원문: Historical Background 섹션의 ‘“Tipiṭaka English” Convention Adopted by Early European Scholars – Part 1’ 포스트

     

    라틴 글자로 빠알리 낱말을 적는 것은 1866년에 영국 정부에 의해 채택된 규약을 사용합니다. 영어와는 다르게, 글자들은 ‘하나의 기호 ㅡ 하나의 소리’ 특징을 가집니다. 필자는 표준 영어로 쓰는 것과 구별하기 위해 그것을 ‘띠삐따까 영어 규약’이라고 부릅니다. 

     

    2020년 2월 8일 작성; 2022년 10월 14일 개정; 2023년 5월 22일 개정; 2024년 4월 10일 개정

     

    배경

     

    1. 붓다께서 빠리닙바-나(반열반)에 드신지 불과 3개월 만에 제1차 불교 회의(담마 상가-야나-, Dhamma Sangāyanā)가 개최되었습니다. 부처님의 선도적인 제자들은 45년 동안 축적된 부처님의 가르침을 정리/체계화하는 것의 중요성을 깨달았습니다. 자료를 ‘세 바구니(Tipiṭaka, 띠삐따까)’로 정리/체계화하는 것은 붓다께서 빠리닙바-나에 드신지 200여년 후에 열린 제3차 불교 회의에서야 완료되었습니다.

     

    • * 띠삐따까(Tipiṭaka)의 자료는 대략 처음 400년 동안 한 세대에서 다음 세대로 구두로 전승되었습니다. 제4차 불교 회의가 되어서야 띠삐따까(Tipiṭaka)가 기록되었습니다.

    • * 띠삐따까(Tipitaka)(또는 빠알리 캐논)는 2000여년 전인 1세기 초에 스리랑카의 마탈레에서 기록되었습니다. 빠알리어는 구어이고 문자가 없습니다. 띠삐따까는 싱할라 문자로 기록되었습니다.

    • * 자세한 내용은 ‘붓다 담마의 보존’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영어로 빠알리 낱말 쓰기 ㅡ 다른 규약

     

    2. 빠알리 낱말을 어떤 언어로 쓰는 데는 두 가지 특정한 문제가 있습니다. 이것은 영어로 번역을 포함하지 않습니다. 그것은 빠알리 텍스트를 라틴(로마) 글자로 취음(transliterating)하는 것에 관한 것입니다. 빠알리 텍스트를 (번역이 아니라) 취음하기 위해 여기서는 라틴 글자가  사용되었습니다. 이것은 라틴 글자에 익숙한 사람들(영어 화자)이 빠알리 낱말을 읽고 발음할 수 있게 합니다. ‘빠알리 낱말 ㅡ 쓰기와 발음’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 * 먼저, 빠알리어(Pāli)는 음성 언어(구어)로, 이것은 낱말들이 원음을 나타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많은 낱말들은 소리가 나는 방식에서 그 의미가 명확합니다. ‘핵심 빠알리 용어를 배우는 것이 왜 필요한가?’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 * 그러나, ‘표준 영어’에서는 동일한 문자 조합이 다른 소리를 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th’는 ‘them’에서 ‘thief’에서와 다르게 발음됩니다. 그러므로, ‘표준 영어’로 쓰는 것은 빠알리 낱말을 쓰는 것에 문제를 일으킵니다.

    • * 두 번째 문제는 ‘표준 영어’로 쓰여진 빠알리 낱말이 매우 길어진다는 것입니다. 필자는 많은 스리랑카 사람들이 ‘anicca’를 ‘anichcha’(싱할라어로 අනිච්ච)로 쓰는 것을 봅니다. 왜냐하면 그것이 그렇게 발음되기 때문입니다. 

    • * 표준 발음을 갖고 낱말이 너무 길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초기 유럽인들(1800년대 후반)이 채택한 규약을 준수해야 합니다. 먼저, 이 두 가지 문제를 좀 상세히 논의하겠습니다.

    • * 먼저 ‘음(소리)’ 문제를 다루겠습니다.

     

    영어 ‘th’음은 낱말에 따라 다르다

     

    3. 우리는 ‘th’가 낱말 ‘them’에서 낱말 ‘thief’에서와 다른 소리(음)를 나타낸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 * 음소(phoneme)는 언어에서 가장 작은 대조 부분입니다. 다시 말해서, 그것들은 두 개의 낱말 사이의 차이를 만드는 가장 작은 구성 요소입니다. 이중음자(digraph)라는 용어는 단일 음소만을 나타내는 두 글자(문자)의 조합을 묘사합니다.

    • * them, father, 및 writhe과 같은 낱말에서, 이중음자th(유성음)이고 음소는 /t͟h/입니다. 이것은 싱할라어로 ‘’ 음이고, 우리가 아래에서 보게 될 것이다.

    • * 반면에,  thief, Catholic, 및 both와 같은 낱말에서, 이중음자는  th(무성음)이고 음소는 /th/입니다. 이것은 싱할라어로 ‘’ 음입니다.

    • * 위의 전문 용어에 대해서는 염려하지 마세요. 여기서 요점은 그 영어 낱말들을 발음할 때,  올바른 ‘표준 영어’를 알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 * 그것이 새로운 ‘띠삐따까 영어(Tipiṭaka English)’ 규약을 채택한 이유 중 하나였습니다. 이제 두 번째 이유에 대해 논의해 보겠습니다.

     

    빠알리 낱말은 표준 영어에서 매우 길게 될 수 있다

     

    4. 이제 ‘표준 영어’ 규약이 왜 영어(라틴) 문자로 쓰여지면 긴 낱말로 이어지는지를 살펴보겠습니다. 간단한 빠알리 낱말 ‘citta’를 예로 들어 보겠습니다. 원래 띠삐따까(Tipiṭaka)에서 그것은 싱할라어로 ‘චිත්ත’로 쓰여졌습니다.

     

    영어의 ‘ch’ 음은 예를 들어 ‘china’와 ‘chain’에서 볼 수 있습니다. ‘’ 음을 내기 위해서는 두 개의 영문자가 필요합니다. 같은 식으로, ‘ත’ 음은 ‘Theme’ 또는 ‘both’와 같이 영어로 ‘th’라는 두 글자가 필요합니다.

     

    • * 그러므로, ‘표준 영어’에서 ‘චිත්ත’은 ‘chiththa’로 재생될 것입니다. 보다시피, ‘citta’의 다섯 글자 대신 여덟 글자가 필요할 것입니다.

    • * 빠알리어가 더 복잡할 경우, ‘표준 영어’로 해당 낱말을 재생하는 것은 번거로울 것입니다. 그것이 [표준 영어와는] 다른 ‘띠삐따까 영어(Tipiṭaka English)’ 규약을 사용하는 두 번째 이유인 것 같습니다. 아래를 참조하세요.

     

    ‘띠삐따까 영어’의 진화

     

    5. 초기 유럽인들이 영어 문자(라틴 문자)을 사용하여 빠알리 띠삐따까(Pāli Tipiṭaka)를 쓰기 시작했을 때, 그들은 위 두 가지 문제에 직면했습니다. 그들은 원음을 ‘명확하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표현해야 할 필요성을 깨달았습니다. 위 두 가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그들은 1800년대에 ‘띠삐따까 영어(Tipiṭaka English)’ 규약을 채택했습니다.

     

    • * 그들이 채택한 규약을 ‘띠삐따까 영어(Tipiṭaka English)’라고 부르겠습니다.

    • * 그 ‘띠삐따까 영어(Tipiṭaka English)’ 규약은 ‘표준 영어’와 다릅니다.

     

    6. 필자는 1870년에 출판된 James D' Alwis의 오래된 책(참고문헌 1)을 우연히 접하였는데, 이 책은 스리랑카(당시에는 ‘실론_Ceylon’이라고 불림)에서 발견된 빠알리 문헌을 목록화하는 역사적 과정을 기술하고 있습니다. 그 책은 아마존(Amazon)에서 구할 수 있습니다.

     

    • * 그 프로젝트의 씨앗(원인)은 1868년에 한 정부 요원이 ‘정부의 수석 번역가’에게 인도에서 산스크리트 문헌을 수집하고 편집하는 프로젝트를 지원해 달라고 요청한 것이었습니다.

    • * 1869년에, 정부의 수석 번역가는 실론(Ceylon)에 있는 거의 모든 산스크리트어 필사본이 ‘인도에서 온 것’이라고 대답했습니다. 그는 [인도 외에] 실론(Ceylon)에 존재하는 빠알리어 및 싱할라어 필사본을 수집하고 편집하는 유사한 노력을 시작하는 것이 가치가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습니다.

    • * 그 제안은 1870년 초에 승인되었습니다. 빠알리어/싱할라어 문헌과 불교에 관한 일을 했던 James D' Alwis가 선택되어, 주로 불교 사원(pansala)에서 그런 필사본을 수집하고 편집하였습니다.

    • * James D' Alwis는 당시 영국 정부의 공무원이었습니다. 그 당시 영국 공무원들은 아시아 국가에서 접한 모든 고대 문헌을 복구하고 보존하기 위해 협동하여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불교(붓다 담마)의 현재 부흥 배경'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 * 위의 배경은 참고문헌 2의 pp. xv-xvii에서 Malalasekera 박사의 설명으로 확인/뒷받침됩니다.

     

    ‘띠삐따까 영어’를 위한 원래 규약

     

    7. 목표는 모든 빠알리어 필사본을 수집하여 그것들을 영어(라틴) 문자로 작성하는 것이었습니다. James D' Alwis의 초기 작업은 (책의 xxvii 페이지에서 인용된 바와 같이) “부록에 실린, 보고서에 있는 ‘정부가 승인한 체계’ ”를 따랐습니다.

     

    • * 부록의 전체 페이지에는 싱할라어의 전체 문자(및 채택된 해당 영어 글자)가 수록되어 있습니다. Complete Orthography – Sinhala to English 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 * 그 페이지(책의 234페이지에 있음)에는 싱할라어 문자와, 그 소리(음)를 나타내기 위해 채택된 라틴 문자가 있습니다(1866년 8월 28일에 채택됨). 그것은 ‘띠삐따까 영어(Tipiṭaka English)’ 규약의 첫 번째 버전이었습니다. 아래에서 볼 수 있듯이 James D' Alwis의 추천에 따라 하나의 변경 사항이 더 채택되었습니다.

    • * 그 페이지를 읽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다음은 자음 부분을 확대한 것입니다.

    Pāli Words – Sinhala to English Script – Consonants 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 * 이제, ‘띠삐따까 영어(Tipiṭaka English)’에서 채택된 몇 가지 규약에 대해 논의해 보겠습니다.

     

    t’만 ‘’음을 나타낸다

     

    8. 싱할라어로 ‘’ 글자는 Theme 또는 north에 있는 ‘th’ 음을 나타냅니다. 그러나 ‘띠삐따까 규약’은 ‘t’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 * 그러므로, ‘일반(표준) 영어’에서 theme은 ‘띠삐따까 영어’에서 ‘teme’가 됩니다.

    • * ‘gati’라는 낱말은 ‘gathi’로 발음되는데, theme에 있는 것과 같은 th’ 소리(음)입니다. 그러나 ‘띠삐따까 영어’ 규약에서는 ‘gati’로 씁니다.

    • * ‘Tipiṭaka’라는 낱말도 ‘’ 음으로 시작합니다. ‘표준 영어’에서 그것은 ‘Thipitaka’가 됩니다.

     

    ‘표준 영어’에서 anatta는 ‘anaththa’가 됩니다.

     

    • * 그러므로, ‘띠삐따까 영어(Tipiṭaka English)’ 규약에 따르면 낱말 길이가 현저히 짧아집니다. ‘ch’ 및 ‘th’ 음이 있는 더 복잡한 낱말을 사용하면, 해당 영어 낱말의 길이가 매우 길어질 수 있습니다.

     

    d’만  ‘’음을 나타낸다

     

    9. 또 다른 것은 ‘this’와 같이 발음되는 ‘’ 음입니다. ‘띠삐따까 영어(Tipiṭaka English)’에서 ‘d’ 글자는 ‘this’ 또는 ‘that’에 있는 ‘th’ 음을 나타냅니다

     

    • * 예를 들어, ‘띠삐따까 영어’에서 빠알리 낱말 ‘ස’은 ‘dasa’이며, ‘the’ 또는 ‘that’에 있는 ‘th’ 음처럼 발음해야 합니다.

    • * 물론, ‘dasa’라는 낱말은 ‘10가지 부도덕한 행위’를 의미하는 ‘dasa akusala’에 나옵니다.

    • * 더 많은 예는 sadda, hadaya, 및 Dēva입니다.

     

    위 테이블에서 ‘’음은 ‘ch’로 되어 있다

     

    10. (#7에 있는) 위의 테이블에는 ‘표준 영어’에서와 같이 ‘ch’로 나타낸 ‘’ 음이 있는 것이 흥미롭습니다. 따라서 ‘ච’ 음을 나타내기 위해 ‘c’만 사용하기로 나중에 결정되었습니다.

     

    • * D' Alwis의 책에 있는 텍스트는 ‘섞인 규약’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p. 136에는, ‘Kacchchāna’라는 이름이 있는데, 현대 텍스트에서는 ‘Kaccāna’입니다.

    • * ‘vivicchati’(싱할라어로 විවිචිඡති)라는 낱말은 p. 73에서 ‘vivichchhati’로 나타나는데, ‘ch’는 ‘’을 나타내었고 ‘chh’는 ‘’ 음을 나타내었습니다. 우리는 그들이 왜 그것을 바꾸기로 결정했는지도 알 수 있습니다!

    • * Edward Müller의 ‘The Dhammasangani’가 1885년에 출판되었을 때(참고문헌 3), 그들은 ‘’ 음을 나타내기 위해 ‘c’를 사용하는 현행 규약을 채택했습니다.

     

    현재 규약 ㅡ ‘c’만 ‘’음을 나타낸다

     

    11. 예를 들어, ‘’ 글자는 빠알리 구절에서 자주 나타나며, 그것은 ( chai tea에서와 같이) ‘ch’ 음을 가집니다. ‘일반(표준) 영어’에서, 빠알리 낱말 anicca(අනිච්ච)는 ‘anichcha’가 될 것입니다. 여러분은 그것이 왜 영어로 매우 긴 낱말로 이어지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필자도 그렇게 하곤 했고, 아직도 일부 스리랑카 사람들이 그런 식으로 낱말을  쓰는 것을 봅니다.

     

    • * 그러므로, 거의 모든 경우에, 하나의 영어 글자 ‘c’는 ‘띠삐따까 영어(Tipiṭaka English)’에서 ‘ch’ 음을 나타냅니다.

    • * ‘chai tea’는 ‘띠삐따까 영어’로 ‘cai tea’가 된다는 것에 주목하세요!

     

    ‘띠삐따까 영어’ 규약은 어디에서나 적용된다 

     

    12. ‘’ 음은 항상 ‘t’로 표시되며, 다음은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몇 가지 예입니다.

     

    • * Atta, Anatta, gati, sōta, tanhā, tējō, Tilakkhana, Tisarana, āyatana

     

    ’ 음은 다음과 같이 항상 ‘d’로 표시됩니다.

     

    • * hadaya, sadda, dōsa, Deva, desanā, diṭṭhi, dukkha, dugati, pasāda

     

    마지막으로, ‘’ 음은 다음과 같이 항상 ‘c’로 표시됩니다.

     

    • * Anicca, citta, cakkhu, cuti, paccayā, sacca, rūpāvacara, cētasika, cetanā

     

    위의 낱말들에 대한 발음은 아래 오디오에서 들을 수 있습니다.

    Pāli-words-Tipitaka-English-Post-1

     

    실례와 자막이 있는 빠알리 문자

     

    13. 다음 비디오는 (영어로) 빠알리어를 배우는데 매우 유용할 것입니다. 게다가, 발음에 대해 탁월한 지침을 줍니다.

    https://youtu.be/n5igsiSw_Pw 

     

    참고 문헌

     

    1. 1. James D’Alwis의 ‘A Descriptive Catalogue of Sanskrit, Pāli, and Sinhalese Literary Works of Ceylon, Volume I’ (1870년)

    2. 2. G. P. Malalasekera의 ‘Pāli Literature of Ceylon” (2010년 판; 첫 판은 1928년)

    3. 3. Edward Müller의 ‘The Dhammasangani’ (1885년)

     

    ‘띠삐따까 영어(Tipiṭaka English)’ 규약에 대한 몇가지 더 중요한 특징은 다음 포스트, ‘Tipiṭaka English” Convention Adopted by Early European Scholars – Part 2’에서 논의됩니다.

    {"google":["PT Serif"],"custom":["Nanum Gothic","Noto Sans KR","Nanum Barun Gothic"]}{"google":["PT Serif"],"custom":["Nanum Gothic","Noto Sans KR","Nanum Barun Gothic"]}
    {"google":["Noto Sans KR"],"custom":["Nanum Goth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