퓨어 담마(Pure Dhamma)

붓다의 진정한 가르침을 회복하기 위한 탐구


{"google":["PT Serif","Noto Sans KR"],"custom":["Nanum Gothic","Nanum Barun Gothic"]}

 

감각 입력에 기반한 인간 마음의 오염

 

원문: Contamination of the Human Mind Based on a Sensory Input

 

인간 마음의 오염은 빠르게 일어날 수 있습니다. 오염의 범위(정도)는 감각 입력과 그 순간에 각자의 가띠에 달려 있습니다.

 

2023년 8월 20일 작성; 2023년 8월 21일 개정(#4)

 

영문 도표 다운로드/인쇄: B3. Contamination of Mind from Kāma Dhātu Stage

 

배경

 

1. 마음은 항상 활성화되어 있지 않습니다. 잠잘 때, 우리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마음이 활성화/분주해지기 위해서는 5가지 육체적 감각(눈, 귀, 혀, 코, 몸) 중 하나로부터 감각 입력을 받아야 합니다. 아니면 마음 자체가 담마-(dhammā)를 받아야 합니다. 깨어 있을 때, 우리는 무수한 감각 입력으로 폭격을 받으며, 그 때문에 마음이 깨어 있는 시간 동안에 완전히 점령된[활성화된] 것처럼 느껴집니다. 

 

  • * 많은 감각 입력을 동시에 경험하는 것 같이 느껴지더라도, 마음은 한 번에 하나의 입력만 처리할 수 있습니다. 감각 입력은 패킷(packet)으로 마음에 들어오며, 각 패킷은 뇌에 의해 처리됩니다. 뇌는 5가지 감각입력을 병렬로 처리할 수 있지만, 마음은 한 번에 하나의 패킷만 처리합니다. 하지만, 그것들이 매우 빠르게 일어나므로, 우리는 동시에 일어나는 것으로 느낍니다.

  • * 각 패킷은 수십억분의 1초밖에 지속되지 않는 찟따 위티(citta vithi)를 일으킵니다. 마음은 (6가지 감각의) 다른 유형들 사이에서 번갈아 가며 그것들을 매우 빠르게 분류할 수 있습니다. ‘정말 놀라운 속도로 빠른 생각(찟따)의 순간적 진화’, ‘시각은 일련의 스냅사진 - 영화 비유’ 포스트와 그곳의 참조를 읽어보면 좋습니다.

  • * 뇌는 마음보다 훨씬 느립니다. 뇌는 하나의 ‘데이터 패킷’을 처리하는데 적어도 백분의 1초가 걸리는데, 마음 자리(하다야 왓투)는 그것을 수십억분의 1초 내에 처리합니다. 따라서, 마음은 대략 수백만배 더 빠릅니다. ‘시각은 일련의 스냅사진 - 영화 비유’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타고난 바왕가 상태’

 

2. ‘타고난 바왕가 상태(natural bhavaṅga state)’는 각자가 태어날 때의 바왕가(bhavaṅga)입니다. 아라한과를 얻은 후에도, 그것은 변하지 않습니다.

 

  • * 새로운 감각 입력에 초점을 맞추는 그 맨 처음 찟따의 시작에서, 타고난 바왕가 상태로부터 마음은 전환되어, 입력되는 감각 입력에 초점을 맞춥니다. 

  • * 하지만, 바탕 레벨, 즉 ‘초기’ 루빠 산냐(rupa saññā)는 ‘타고난 바왕가 상태’에  기반합니다. 

 

‘가띠’와 ‘타고난 바왕가 상태’ 사이의 관계

 

3. 다른(다양한) 영역에 태어남은 새로운 바와(bhava)를 움켜잡는 순간의 가띠에 따른 것입니다. 붓다께서는 ‘Gati Sutta (AN 9.68)’에서 다섯 가지 주된 가띠를 가리켜 보이셨습니다. 처음 세 가지(니라야, 동물을 의미하는 ‘띠랏차-나’, 뻿띠위사야)는 아빠야(apaya)에 태어남으로 이어지고, 네 번째(마눗사)는 인간 영역을 칭하고, 다섯 번째(데와)는 6가지 데와 영역과 20가지 브라흐마 영역에 태어남으로 이어집니다. 많은 숫따에서, 붓다께서는 모든 데와(Deva)와 브라흐마(Brahma)를 단지 ‘데와(Deva)’로 칭하셨습니다. (주: 숫따의 영어 번역에서,  ‘가띠’는 ‘태어남의 장소’로 번역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가띠는 ‘강한 가띠’만 태어남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영어에서는 적합한 낱말이 없는 더 일반적 용어입니다. 오른쪽 위의 ‘검색 상자’를 사용하여 ‘가띠(gati)’를 검색하면, 많은 포스트를 볼 수 있습니다.)

 

  • * 위에 열거된 다섯 가지 일차적 ‘가띠(gati)’는 확연히 다릅니다.

  • * ‘가띠(gati)’의 각 주된 범주 내에서도, 변형(차이)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인간은 다양한 가띠와 중복되는 가띠를 갖고 있으며, 각 사람의 가띠도 변할 수 있고 변할 것입니다. 동물 내에는 수많은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 * 우리는 인간과 동물 영역에만 익숙하므로, 그 두 가지를 비교해 보겠습니다.

 

감각 입력의 초기 ‘루빠 산냐’는 ‘타고난 바왕가’에 의존한다

 

4. 인간과 동물은 모두 ‘까-마 바와(kāma bhava)에 있으므로, 인간과 동물(또는 까-마 로까에 있는 모든 유정체)은 그 ‘타고난 바왕가’에 기반한 ‘초기 루빠 산냐-’와 함께 ‘까-마 다-뚜(kāma dhātu)’ 단계에서 시작합니다.

 

  • * 그러나, 그들은 서로 다른 가띠를 가지므로, 동물의 ‘타고난 바왕가 상태’는 인간의 그것과는 매우 다릅니다. 

  • * 그러므로, 동일한 감각 입력은 동물에 비교하여 인간에게는 매우 다른 유형의 ‘초기 루빠 산냐-’를 일으킬 것입니다.

  • * 그들은  둘 다 다섯 가지 감각(오감)에 기반한 ‘까-마 바와(kāma bhava)에 속한다는 점에서만 공통적입니다. 그러나, 까-마 바와(kāma bhava)내에서, 다른 영역에서 경험된 ‘초기 루빠 산냐-’는 다를 것입니다.

 

5. 명확히 하기 위해, 인간과 호랑이를 생각해 봅시다. 인간은 ‘인간 가띠’를 가지고 태어나고, 호랑이는 ‘호랑이 가띠’를 가지고 태어납니다. 결국, 가띠는 그 탄생의 원인이 되는 깜마의 유형에 기반합니다. 호랑이로 태어나려면, 원인이 되는 깜마에는 ‘폭력적인 행위’에 관여하는 경향이 수반되어야 합니다. 호랑이는 다른 동물을 죽이고 잡아먹으려고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반면에, 인간 탄생은 ‘좋은 깜마’로 인한 것입니다.

 

  • * 따라서, 인간에게 ‘초기 루빠 산냐’의 바탕 레벨은 호랑이의 그것과는 매우 다릅니다. 또한, 호랑이와 돼지는 비록 둘 다 동일한 동물 영역에 속하지만, 호랑이의 가띠는 돼지의 가띠와는 다릅니다. 

  • * ‘초기 루빠 산냐-’의 이러한 차이는 모든 오감과 관련된 ‘바탕 레벨의 산냐-’ 유형에서 나타납니다. 따라서, 다양한 유형의 가띠를 가진 종들은 시각 대상, 소리, 냄새, 맛, 및 감촉에 대한 ‘초기 루빠 산냐-’가 매우 다릅니다.

 

6. 마음이 새로운 감각 입력을 받을 때, ‘타고난 바왕가 상태’에서 벗어나, 그 감각 입력을 분석하는 시작 단계(‘다-뚜’ 단계)로 갑니다. 이전 포스트인, ‘각 찟따는 왜곡된 산냐-와 함께 시작된다’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 * 그러나, 그 이른 단계에서, 마음은 여전히 (‘타고나 바왕가 상태’에 해당하는) 태어날 때의 가띠를 가집니다. 따라서, 그 자가 현재 가진 가띠가 아니라, 그 더 이른 가띠로 세상을 인식합니다.

  • * 그 때문에 산냐-의 초기 레벨은 뿌툿자나(puthujjana)든 아라한(Arahant)이든 관계없이 모든 인간에게 대략 공통적입니다.

  • * 그들은 모두 설탕의 달콤함이나 배설물의 악취를 경험할 것입니다.

 

달콤함, 짠맛 등은 웨다나-가 아니라, 산냐-다!

 

7. 웨다-나(Vedanā)에는 보통 5가지 주된 유형이 있는데, 수카/소마낫사, 둑카/도마낫사, 및 아둑카마수카(중립)이 그것입니다. 다양한 상황에서 그것들은 사-미사(sāmisa), 니라-미사(nirāmisa), 또는 니라-미사따라(nirāmisatara) 범주로도 나눌 수 있습니다.

 

  • * 그러나, 달콤함, 짠맛, 냄새 등은 ‘바탕 레벨 또는 초기 루빠 산냐-’에 기반한 산냐-입니다.

  • * 위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동물의 ‘초기 루빠 산냐-’는 인간의 그것과는 매우 다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돼지가 악취나는 배설물을 볼 때, 돼지에게는 ‘마음을 즐겁게 하는 루빠 산냐-’가 일어납니다. 인간이 배설물을 볼 때는, ‘혐오스러운(역겨운) 루빠 산냐-’가 일어납니다.

  • * 인간 영역 내에서도, 사소한 차이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다양한 남성이 다양한 여성에게 끌리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입니다. 그 모든 다양한 변형은 궁극적으로는 각자의 가띠와 연결될 수 있습니다. 가띠가 바뀔 수 있기 때문에, 각자의 선호도도 바뀔 수 있습니다.

 

초기 ‘루빠 산냐-’는 ‘까-마 라-가’를 가지지 않는다

 

8. 이 ‘초기 루빠 산냐-’는 연관된 어떤 ‘까-마 라-가’도 가지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 결정적으로 중요합니다.

 

  • * 이 ‘초기 루빠/까-마 산냐-’는 단순히 특정 영역의 특성입니다. 인간은 동물과는 다른 세상을 인식합니다. 우리는 우리 육체가 그 ‘초기 루빠 산냐-’에 맞게 만들어졌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습니다.

  • * 예를 들어, 소는 풀을 좋아하는 천성을 가집니다. 아무도 그들에게 열매가 아니라 풀을 먹어야 한다고 가르칠 필요가 없습니다. 그들의 소화 시스템은 열매가 아니라 풀을 잘 처리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인간은 풀을 먹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데, 그 소화 시스템도 풀을 잘 처리할 수 없습니다. 

  • * 그러나, 각자의 ‘루빠 산냐-’가 오염되지 않는 것은 이 아주 초기 단계일 뿐입니다.

  • * 붓다만이 이 빠른 과정을 볼 수 있다는 것에 또한 주목해야 하는데, 우리는 설명을 들은 후에야 그것이 이치에 맞다는 것을 알 수만 있습니다. 

 

초기 ‘루빠 산냐-’ 단계 후에, 현재 가띠가 넘겨 받는다 

 

9. 마음이 오염됨에 따라, 까-마 라-가가 현재의 가띠를 기반으로 효력을 발휘하기 시작합니다.

 

  • * 감각 입력의 과정이 진전됨에 따라, 마음은 각자의 현재 가띠에 기반하여 ‘외부 루빠’에 대한 그 자신의 버전을 만들기 시작합니다.

  • * 모든 유형의 오염된 가띠는 성스런 길에서 진전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사라질 것입니다. 아라한은 어떤 오염된 가띠도 남아 있지 않습니다.

  • * 외부 루빠에 대해 마음이 만든 인상(‘짝쿠윈네이야- 루-빠-’, ‘소따윈네이야- 삿다-’부터 ‘까-야윈네이야- 폿탑바-’까지)은 최종적으로 (순식간에) 나타나는데, 그것은 현재의 가띠에 달려 있습니다.

 

‘마음이 만든 루빠’(짝쿠윈네이야- 루-빠-)

 

10. 그러므로, 각 사람의 마음은 그 마음이 감각 입력에 부여하는 가치 기준(또는 까-마 구나, kāma guṇa)를 기반으로 ‘외부 루빠에 대해 마음이 만든 인상’으로 그 자신만의 버전을 만들 것입니다. 그것은 자신의 현재 가띠를 기반으로 할 것입니다.

 

  • * 이것은 ‘Kāmaguṇa Sutta (AN 9.65)’에 간결하게 기술되어 있습니다. 

  • * 다섯 가지 감각 입력(빤짜 까-마, pañca kāma)에 의존하여, 마음은 외부 감각 입력에 대한 자신만의 버전을 만드는데, 그것이 ‘짝쿠윈네이야- 루-빠-’, ‘소따윈네이야- 삿다-’부터 ‘까-야윈네이야- 폿탑바-’까지입니다.

  • * 따라서, 뿌툿자나는 까-마 구나(kāma guṇa)로 감각 입력에 들러붙어서, 마음이 만든 소마낫사(somanassa)와 도마낫사(domanassa) 웨다나-(vedanā)를 생성하기 시작할 수 있습니다. 

  • * 그러나, ‘세상의 그 진짜 본질을 보는’ 아라한은 까-마 구나를 가지지 않는데, 따라서 그런 소마낫사 또는 도마낫사 웨다나-는 일어나지 않을 것입니다.

 

소마낫사/도마낫사 웨다나-는 마음이 만든 것이다

 

11. 수카, 둑카, 및 아둑카마수카(중립) 웨다나-는 그것들이 깜마 위빠까로 인해 일어나는 (부상으로 인한 것과 같이) 육체적(사-라리까, sārīrika) 웨다나-인 점에서 실제적입니다.

 

  • * 반면에, 소마낫사와 도마낫사 웨다나-는 마음이 만든 것이고 아라한에게는 일어나지 않습니다. 그것들은 수카, 둑카 웨다나-로 인해 즐겁게 되거나 낙담하게 될 때 일어납니다. 추가로, 그것들은 또한 마음의 ‘까-마 다-뚜’ 단계에서 일어나는 ‘초기 루빠 산냐-’로 인해 일어납니다.

  • * 그런 ‘소마낫사/도마낫사 웨다나-’(마음이 만든 웨다나-)는 감각 입력과 함께 오는 ‘초기 루빠 산냐-’에 들러붙으면 빠르게 증가할 것입니다. 그것은 순식간에 일어납니다!

 

12. 예를 들어, 소마낫사 웨다나-는 배설 무더기를 보는 돼지에게 일어날 수 있는데, 동일한 광경이 뿌툿자나(보통 사람)에게는 도마낫사 웨다나-로 이어질 것입니다. 두 유정체는 그것에 서로 다르게 들러붙을 수 있는데, 돼지는 소마낫사 웨다나-로 그것을 추구할 것이고, 인간은 도마낫사 웨다나-로 (그것을 제거하거나 피하려고 하면서) 그것에 대응할 것입니다.

 

  • * 아라한 단계 아래의 누구에게나 까-마 라-가(kāma rāga)로 그런 소마낫사와 도마낫사 웨다나-에 들러붙는 것이 가능합니다. 그것은 뿌툿자나에게는 자주 일어나고 소따빤나에게는 훨씬 덜 일어납니다.

  • * 마음의 점진적 오염은 우리가 논의할 바와 같이, (각자의 까-마 구나에 기반한) 까-마 산냐-에 그 들러붙음과 함께 시작됩니다.

 

소마낫사/도마낫사 웨다나-는 ‘초기 까-마 산냐-’에 기반하여 일어난다

 

13. 첫 단계는 기존의 ‘오염된 가띠’를 육성하는 것을 멈추는 것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마음이 대상에 들러붙게 될 때, (찟따 위티를 통해) 생각 과정이 어떻게 점진적으로 오염되는지를 이해해야 합니다. 물론, 좋아함, 싫어함, 또는 무지함을 통해 들러붙게 될 수 있습니다. 좋아함과 싫어함으로 시작하는 것이 더 쉬운데, 그것은 오염과정을 보기가 쉽기 때문입니다.

 

  • * 예를 들어, 여러분이 나쁜 적을 본다고 가정해 보세요. 그것은 동요되고/화나는 마음이 증가하는 것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생각(찟따 위티)을 시작하게 합니다. 맛있는 음식이나 끌리는 사람을 볼 때는 그 반대가 일어납니다. 마음은 즐거운 느낌으로 들러붙지만, 그것은 또한 들뜬 마음과 현명하지 못한 행위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 두 가지 중 어느 것도 중단되지 않으면, 다시 같은 것을 행하는 경향이 증가할 뿐입니다. 즉 가띠가 강화될 것입니다.

 

아누소따가-미-(뿌툿자나)와 빠띠소따가-미-(성자)

 

14. ‘Anusota Sutta (AN 4.5)’는 세상의 사람들을 네 가지 유형으로 설명합니다.

 

  • * ‘흐름에 따라 가고’(즉, 감각적 즐거움을 추구하고) 윈냐-나를 오염되게 하는 자는 닙바-나에서 멀어지는 ‘아누소따가-미(anusotagāmi)’라고 불립니다.

  • * 그 다음 두 가지 유형은 [세상의] 조류에 역행하는 여정을 시작한 자, 또는 길을 따라 중간에 도달한 (즉, 성스런 길에) ‘빠띠소따가-미(paṭisotagāmī)’입니다. 

  • * 마지막 범주는 여정을 완료한 자(아라한)입니다.

 

15. 우리는 흐름에 따라 가는 경향에 저항해야 하고, 흐름/조류에 반대로 가야합니다. 따라서, 고통(괴로움)을 극복하기 위해서, 우리는 빠띠소따가-미-(paṭisotagāmī)가 되어야 합니다. (‘paṭisota’는 ‘흐름에 반대하여’를 의미하고, ‘gāmī’는 ‘그것을 하는 자’를 칭합니다.)

 

  • * 감각적 즐거움을 삼가(절제)해야 하므로, 처음에는 그것은 그렇게 쉽지 않은 과정인 것 같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점차적으로 행해야 합니다. ‘불자는 감각적 욕망을 제거하는 것이 필수적인가?’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알코올/마약 중독자는 우선 음주 또는 마약 복용으로 즐거움으로 구하는 것의 결과를 이해해야 합니다. 괴로움과 우울증을 극복하는 더 나은 방법이 있다는 것입니다. 더 강한 양으로 감각적 즐거움을 추구하는 것은 ‘숨겨진 고통없는 빠밧사라 찟따’에서 멀어져 ‘[세상] 흐름에 따라 가게’합니다. 쉬운 방법은 없습니다! 

  • * 그렇지 않으면 영속적인 고통의 수렁에 빠지게 될 것임을 이해하기 시작할 때, ‘감각적 즐거움을 포기하는 것’이 쉬워집니다. 더욱이, 초기 단계에서 최소한 ‘정신적 괴로움’에서 벗어남을 경험하기 시작할 것입니다. 그러면, ‘감각적 즐거움은 고통/괴로움이다’는 것을 보기 시작할 것입니다. 그 봄은 눈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지혜(빤냐-)로 보는 것입니다.

 

빠띠소따가-미-의 길

 

16. 마음이 ‘덜 오염된 상태’(즉 감춰진 ‘빠밧사라 찟따, pabhassara citta’를 드러내는)를 향한 여정은 아-나-빠-나사띠/사띠빳타-나(Ānāpānasati/Satipaṭṭhāna)의 기본입니다.

 

  • * 아-람마나(ārammaṇa)(감각 입력)를 쫓는 것을 통해 ‘마음이 점진적으로 오염되는 것’과 관련된 단계를 이해하는 것은 매우 유익할 것입니다. 대략적인 개요는 다음 포스트에서 논의될 것입니다.

  • * 관심있는 사람들은 메모를 하여 연결 관계를 만들 필요가 있습니다. 필자는 가능한 한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이 포스트를 여러번 재작성하였습니다. 이것과 같은 포스트에서 필요한 배경자료 전체를 검토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Forums’에서 자유롭게 질문하세요.

  • * 이 시리즈의 모든 포스트들은 ‘’ 섹션의 ‘도표로 본 불교’에 있는 ‘괴로움 없는 순수한 마음을 회복(Recovering the Suffering-Free Pure Mind)’ 서브섹션에 있습니다.

{"google":["PT Serif"],"custom":["Nanum Gothic","Noto Sans KR"]}{"google":["PT Serif","PT Sans"],"custom":["Nanum Gothic","Noto Sans KR","Nanum Barun Gothic"]}
{"google":["Noto Sans KR"],"custom":["Nanum Goth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