퓨어 담마(Pure Dhamma)

붓다의 진정한 가르침을 회복하기 위한 탐구


{"google":["PT Serif","Noto Sans KR"],"custom":["Nanum Gothic","Nanum Barun Gothic"]}

 

소따-빤나 단계에 도달했는지 어떻게 아는가?

 

원문: Three Levels of Practice 섹션의 ‘How Does One Know whether the Sotāpanna Stage is Reached?’ 포스트

- 2017년 3월 23일 개정; 2018년 5월 15일 개정; 2018년 9월 22일 개정; 2019년 8월 12일 개정; 2020년 2월 11일 개정

 

소따-빤나 단계에 도달했는지 스스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사악처(아빠-야, apāya)에  태어나기에 적합한 특성(gati, 가띠)을 제거했다는 것이 명백해집니다.

 

소따-빤나는 첫 번째 목표

 

1. 바웃다야-(Bhauddhayā, 불교도)가 구하는 가장 귀중한 것은 닙바-나(Nibbāna)의 소따-빤나(Sotāpanna) 단계입니다. ‘소따-빤나가 그 어떤 왕, 황제, 백만장자보다 더 나은 이유’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 * 궁극적 목표는 아라한뜨후드(Arahanthood, 아라한과)입니다. 소따-빤나(Sotāpanna)는 7번의 바와(bhava) 내에 아라한뜨후드(Arahanthood)를 얻게 됩니다.

  • * 7번의 바와(bhava)는 7번의 탄생보다 많습니다. 왜냐하면 주어진 바와(bhava) 내에 많은 탄생이 있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바와 및 자띠 - 존재 상태와 거기로 태어남’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 * 그래서, 그 단계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방법을 알아야 합니다. 그 사람 자신 외에는, 오직 부처님만이 주어진 사람이 막가 팔라(magga phala, 도과)를 달성했는지 여부를 알 수 있습니다. ‘소따-빤나 단계에 대한 잘못된 통념’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 * 위의 그 포스트에서 논의했듯이, 심지어 부처님 다음으로 담마를 잘 아셨던 사리뿟따 존자께서도 그것(다른 사람의 도과 달성여부)을 아실 수 없었습니다. 오늘날 어떤 사람들은 다른 사람이 소따-빤나 단계에 도달했는지 알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그리고 그렇게 하여 돈을 법니다).

 

2. 소따-빤나(Sotāpanna)는 닙바-나(Nibbāna로 가는 길을 본 사람입니다. 여전히 해야 할 일이 더 있지만, 멀리서 닙바-나를 엿볼 수 있습니다. [소따-빤나에게는] 닙바-나로 가는 길이 분명해졌습니다.

 

  • * 또 다른 포스트에서 필자는 비유로 설명했습니다. 특정 산을 찾아 그 정상에 도달하고자 하는 여행자가 마침내 멀리서 그 윤곽을 볼 수 있습니다. 여전히 산기슭(산 밑)으로 가서 위로 올라가야 합니다. 힘든 일의 대부분은 그 산의 위치를 찾고 그 산에 가까이 가는 것이었습니다. ‘소따-빤나 아누가-미와 소따-빤나’ 포스트와 ‘소-따빤나 단계’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닙바-나는 재탄생 과정(윤회)의 멈춤

 

3. 붓다 담마(Buddha Dhamma)에서 궁극적인 목표는 31영역 이 세상 어떤 곳에도 재탄생하는 것을 멈추는 것입니다. 그것은 이 재탄생 과정(윤회)에 머물면, 겪어야 할 고통(괴로움, 시달림)만 있다는 것을 깨닫는 것과 같습니다. 특히, 사악처(아빠-야, apāya)에 재탄생할 때의 위험을 이해해야 합니다.

 

  • * 이 깨달음에 이르는 유일한 방법은 31영역 이 세상의 진정한 본질인 아닛짜(anicca), 둑카(dukkha), 아낫따(anatta)를 이해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것은 무상(impermanence), 고통(suffering), 및 무아(no-self)가 아닙니다. ‘아닛짜, 둑카, 아낫따 – 잘못된 해석’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 * 그 대신에, 31영역 이 세상에서 행복의 신기루에 도달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결실없다는 것을 깨닫고, 이 재탄생 순환(윤회)에서는 정말로 어쩔 수 없고 무력하게 된다는 것을 자신에게 확신시키는 것입니다.

  • * 그러므로, ‘이 세상 것들에 대한 갈망을 포기함’으로써 미래의 고통(괴로움, 시달림)을 멈추기 위해 부지런히 일해야(수행해야) 하며, 이 재탄생 순환(윤회)의 사막에서 유일한 오아시스인 닙바-나(Nibbāna)에 도달하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그것은 물질 세계의 짐에서 마음을 해방하는 것입니다.

 

띨락카나를 이해하면 삶의 관점이 바뀜 

 

4. 일단 그 생각이 자리잡으면, 자신의 태도, 행위, 및 삶에 대한 관점이 영원히 바뀝니다.

 

  • *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아이가 두 개의 숫자를 더하는 방법을 일단 배우게 되면, 그것을 잊을 리가 없습니다. 두 번 다시 의심하는 일은 없을 것입니다. 만약 어른이, 심지어 선생님이 ‘2 더하기 3은 6이다’라고 말하더라도, 그 아이는 그것에 동의할 리가 없습니다.

  • * 소따-빤나 단계를 달성하는 것은 그와 같습니다. 깊이 보면, 재탄생 과정의 위험함을 알 수 있습니다. 건강, 부 또는 명성으로 인한 행복이든 그 어떤 것이든 장기적으로 볼 때 가치가 없습니다. 소따-빤나는 붓다 담마의 가치를 진정으로 이해했고, (이해를 바탕으로 한) 그 믿음은 미래 재탄생 내내 우선할 것입니다.

  • * 그것은 ‘마법의 효과’가 아닙니다. 살아 있는 존재(유정체)는 업 에너지의 연속적인 흐름입니다. ‘환생이란 무엇인가? - 생명 흐름의 개념’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소따-빤나 팔라(Sotāpanna phala) 순간에 일어나는 일은 그 생명 흐름의 가띠(gati, 성향)가 돌이킬 수 없게 바뀌는 것입니다. 소따-빤나 성자는 지옥 중생(강한 미움의 성향), 뻬따(강한 탐함의 성향), 아수라(더부살이 성향), 동물(그 모두가 혼합됨, ‘띠리산_tirisan’은 ‘모든 세가지 산_san’)에 적합한 모든 가띠(gati, 성향)를 영구적으로 제거하였습니다.

  • * 평가하는 한 가지 방법은 (소따-빤나 단계를 향해 행한 기간 동안) 자신의 그런 가띠(gati)가 얼마나 좋게 바뀌었는가를 보는 것입니다. 현저한 변화를 볼 수 있어야 합니다. 가띠(gati, gathi)에 대한 논의를 보려면 오른쪽 상단에 있는 검색 박스를 사용하세요.

 

이 세상의 진정한 본질을 본다는 것

 

5. 또 다른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거울을 보고 비춰진 우리 이미지(상)를 볼 때 우리는 그것이 다른 사람이나 자신이 아니라 단지 이미지(상)라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그것을 깨닫기 위해 두 번 생각할 필요가 없습니다.

 

  • * 그러나 거울이나 물에 비춰진 것을 보고 짖는 개를 보셨지요? 개는 그것이 다른 개라고 생각하고 짖습니다. 개는 비춰지는 현상의 실제를 알지 못합니다.

  • * 이와 마찬가지로, 보통 사람은 각자의 물질적 부를 매우 높게 평가합니다. 그러한 물질적인 것들, 직함, 인정 등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이든 할’ 의향이 있습니다.

  • * 그러나 소따-빤나는 그런 분투의 결실없음을 본능적으로 압니다. 소따-빤나는 여전히 감각적 즐거움을 누릴 수 있고, 그래서 예를 들면 여전히 맛있는 음식을 먹고 성적 행위를 하는 것을 좋아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부부관계 이외의 성적 행위를 하거나 지나치게 탐하는 등의 극단으로는 [어떤 상황이나 환경에서도]  가지 않습니다.

  • * 소따-빤나는 로-바(lōbha)는 까-마 라-가(kāma rāga)로, 도-사(dōsa)는 빠띠가(paṭigha)로 그 레벨을 줄였습니다. 다시 말해, 다섯 가지 장애로 인해 마음이 완전히 덮힌 탐욕이나 증오는 ‘들러붙음(attachment)’과 ‘싫어함(dislike)’의 레벨로 줄어들었습니다. “ ‘로-바, 도-사, 모-하’ 대 ‘라-가, 빠띠가, 아윗자-’ ”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 * 가장 중요한 것은 사악처에 재탄생할 정도의 부도덕한 행은 어떤 경우에도 결코 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우리 모두는 거울 속의 우리 이미지가 실제가 아니라는 것을 알고 있고, 그래서 그 비춰진 것과 말하려고 하지 않습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소따-빤나는 본능적으로 심대하게 부도덕한 행위를 하는 것을 피합니다. 그런 행위 등의 결과에 대해 생각할 필요도 없이 [그런 심대하게 부도덕한 행위를] 피합니다.

 

자-나는 기분전환 활동일 수 있음

 

6. 사전에 어떤 자-나(jhāna, 선정)에도 도달할 수 없어도 소따-빤나(심지어 아라한뜨)가 될 수 있습니다. 부처님 당시에는 많은 사람들이 데사나(desana, 법문)를 듣고 아라한과에 도달했습니다. 소따-빤나 단계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우빠짜라(Upacara, 근접)와 아눌로마(anuloma, 순응) 사마디(samadhi, 삼매)로 충분합니다. 또한 자-나(jhāna)와 막가 팔라(magga phala)는 서로 다른 두 가지입니다. ‘리빙 담마’ 섹션의 ‘사마디, 자나, 막가 팔라’ 서브 섹션을 참조하세요. 

 

  • * 그것은 소따-빤나(Sotāpanna)가 재탄생할 수 있는 곳을 보면 분명해집니다. 소따-빤나는 인간계 또는 그 이상의 영역(천상계, 범천계)에 재탄생할 수 있습니다.

  • * 그러나 제1아나리야 자-나(제1세간 선정)을 얻으면, 브라흐마(Brahma, 범천) 영역에 태어납니다. 따라서 [아리야 자-나(ariya  jhāna, 출세간 선정)가 아닌] 아나리야 자-나(anariya jhāna, 세간 선정)만이라도 얻은 소따-빤나(Sotāpanna)는 인간계에 재탄생하지 않습니다. 

  • * 한편, 소따-빤나가 아니지만 아나리야 자-나(세간 선정)을 얻은 자도 브라흐마 영역(범천계)에 태어납니다. 그러나 그 자는 [세간 선정도 얻지 못한 소따-빤나에 비해] 사악처에 탄생하는 것에서도 벗어나지 못했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 * 위에서 설명한 것은 89가지 찟따(citta)에서 121가지 찟따(citta)로 확장한 것과 일치합니다. 추가적인 40가지 찟따(citta)는 다양한 (아나리야, anariya) 자-나(jhāna) 레벨의 사람들이 닙바-나(Nibbāna)의 4단계에 도달할 때 발생합니다. ‘The 89 (121) Types of Citta’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그러나 이것들은 대부분 사람들의 관심사가 아닌 전문적 세부 사항입니다. 필자는 단지 일관성을 보여주고 싶었습니다.

 

아리야 자-나와 아나리야 자-나 경험은 동일함 

 

7. 우리는 또한 자-나(jhāna, 선정) 경험은 아나리야 자-나(anariya jhāna, 세간 선정)의 경우와 아리야 자-나(Ariya jhāna, 출세간 선정)의 경우가 동일하다는 것을 명심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것들은 루빠와짜라(rupavacara, 색계)와 아루빠와짜라(arupavacara, 무색계)의 정신 상태입니다. 그것들은 여전히 31영역 이 세상에 속합니다.

 

  • * 붓다 출현 전에도 제8 아나리야 자-나(제8 출세간 선정)까지 달성하고 신통력도 길렀던 요기(yogi, 금욕 수행자)들이 있었습니다. 아나리야 자-나(anariya jhāna)로 쩨또 위뭇띠(ceto vimutti, 마음 해탈)가 된 것은 빤냐- 위뭇띠(paññā vimutti, 지혜 해탈)로 막가 팔라(magga phala, 도과)를 얻은 것과는 다릅니다. 전자에서는 오염원이 가라앉은(눌려진) 상태이고, 후자에서는 오염원이 제거된 상태입니다.

  • * 물론, 아나리야 자-나(anariya jhāna)도 달성하면, 위빠사나-(vipassanā)를 하고(아닛짜, 둑카, 아낫타를 이해) 도과(magga phala)를 얻기가 더 쉽습니다.  

 

아리야 자-나와 아나리야 자-나는 본질적으로는 매우 다름

 

8. 단지 아꾸살라(akusala) 생각과 감각적 즐거움(까-마 라-가, kāma rāga)에 대한 갈망을 억누르는 것만으로 아나리야 자-나(anariya jhāna, 세간 선정)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 * 반면에, 아리야 자-나(Ariya jhāna, 출세간 선정)를 달성하려면 감각적 즐거움(까-마 라-가, kāma rāga)에 대한 갈망(아누사야, anusaya)를 제거해야 합니다. 따라서 첫 번째 아리야 자-나(Ariya jhāna)를 달성하려면 아나-가-미(Anāgāmi)가 되어야 합니다. ‘Possible Outcomes of Meditation – Samādhi, Jhāna, Magga Phala’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 * 다음 데사나(desana, 법문)에서 와하라까 테로(Waharaka Thero)께서 자-나(jhāna)와 막가 팔라(magga phala)의 차이를 설명하고 계십니다(싱할라어 법문이기는 하지만, 다른 사람들을 위해 그 핵심부분만 추출하였습니다).

웹 링크: Waharaka Thero - Difference between Magga Phala and Jhāna in Sinhala

 

변화는 자신이 스스로 볼 수 있음

 

9. 소따-빤나 단계에 도달하기 전에도, 다른 사람뿐만 아니라 모든 유정체에 대한 행동과 태도의 변화를 알 수 있습니다. 그 모든 것들은 길(팔정도)을 따르기 시작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변합니다.

 

  • * 그러나, 소따-빤나(Sotāpanna) 단계에 도달한 후에 현저한 변화가 있습니다. 그 변화는 하루 안에 눈에 띄지 않을 수 있습니다. 되돌아 보았을 때, 생활방식에 일부 중대한 차이가 나타나는 데 몇 주 또는 몇 달이 걸릴 수 있습니다.

  • * [소-따빤나 단계에 도달하면] 사람들과 많이 어울리는 경향이 줄어듭니다. 담마(Dhamma)를 배우고 아직 명확하지 않은 개념을 숙고하는 데 점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합니다. 이 세상의 진정한 본질(특성)에 대해 더 많이 발견하는 것은 대단히 즐겁습니다.

  • * 또한 전에는 눈치 채지 못한 것들을 알아 차리기 시작합니다. 사람들의 ‘자기 유발’ 시달림(괴로움)의 분명한 사례들을 보게 되는데, 사람들이 ‘더 열심히 파티’를 하면서 인생을 즐기려고 하지만, 그 과정에서 지치기만 할 뿐이라는 것을 보게 됩니다.

  • * 소따-빤나 단계를 확신할 수 있는 매우 명확한 방법은 삭까-야 딧티(sakkāya diṭṭhi), 위찌낏짜(vicikiccā) 및 실랍바따 빠라-마사(silabbata parāmāsa)라는 3가지 상요-자나(samyōjana)가 없는지 확인하는 것입니다.Sakkaya Diṭṭhi is Personality (Me) View?’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자신의 성취를 선언해야 할까?

 

10. 그 다음, 이런 의문이 있습니다. 누군가가 자신이 도달한 막가 팔라(magga phala) 상태를 선언하는 것이 적절한가, 또는 붓다께서 허용하셨는가?

 

  • * 띠삐따까(Tipiṭaka, 삼장)에 명시된 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누군가가 존경, 돈, 인기(주목, 평판) 등을 받을 속셈으로 특정 막가 팔라(magga phala)에 도달했다고 거짓되게 선언한다면, 그것은 나쁜 깜마(kamma, 업)입니다. 그것은 전통적인 [테라와다] 빅쿠(bikkhu)에게는 빠-라-지까(pārājika)가 되어, 자동적으로 빅쿠의 자격을 잃고, 그 행위로 인해 니라야(niriya, 지옥)에 태어날 수 있습니다.

  • * 막가 팔라(magga phala) 상태의 선언이 금지되지는 않았습니다. 소따-빤나에 도달한 사람이 특히 다른 자들의 이익을 위해 그렇게 하기를 원한다면 선언할 수 있습니다. 마하- 빠리닙바-나 숫따( ‘Mahā Parinibbāna Sutta, DN 16’ )에서는, “까따모 짜 소, 아-난다, 담마-다-소 담마빠리야-요, 예나 사만나-가또 아리야사-와꼬 아-깐카마-노 앗따나-와 앗따-낭 브야-까레이야: ‘키-나니라욤히 키-나띠랏차-나요니 키-나뻿띠위사요 키-나-빠-야둑가띠위니빠-또,  소따-빤노하마스미 아위니빠-따담모 니야또 삼보디빠라-야노’띠.”(“Katamo ca so, ānanda, dhammādāso dhammapariyāyo, yena samannāgato ariyasāvako ākaṅkhamāno attanāva attānaṃ byākareyya: ‘khīṇanirayomhi khīṇatiracchānayoni khīṇapettivisayo khīṇāpāyaduggativinipāto, sotāpannohamasmi avinipātadhammo niyato sambodhiparāyaṇo’ti.”)로 설해져 있습니다.

  • * 막가 팔라(magga phala)에 도달한 사람의 대부분은 그 도달을 선언하지 않습니다. 그것은 자랑거리가 아닙니다. 그것은 자-나(jhāna)도 마찬가지로 자랑거리가 아닙니다. 많은 사람들이 신통력을 얻으려고 자-나(jhāna)를 개발하기 시작하지만, 일단 그곳에 도달하면, 그들은 그 신통력도 결실없음(실속없음)을 벌써 보았습니다.

  • * 특히, 전생을 볼 수 있는 신통력을 개발할 때, 자신(그리고 다른 이들)이 전생에서 겪은 것에 대해 끔찍함을 느끼게 됩니다. 더 이상 전생을 되돌아 보려고 하지 않습니다.

 

띠삐따까(삼장)에 있는 예/설명

 

11. 이제 띠삐따까(Tipiṭaka)의 일부 일화를 논의하여 위에서 언급한 몇 가지 점을 명확하게 하겠습니다.

 

  • * 위사-까(Visāka, 부처님의 주요 여성 재가 제자 중  한 분)는 어린 나이에 소따-빤나 단계에 도달했습니다. 그러나 그 분은 120세에 죽을 때까지 자-나(jhānā) 또는 더 높은 단계의 막가 팔라(magga phala)도 개발하지 않고 그 단계에 머물렀습니다. 붓다께서는 위사-까가 여러 번(필자가 기억하기로는 11번) 인간으로 다시 태어날 것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 * 마찬가지로, 아름답고 값비싼 수도원인 제따와나라마야(Jetavanaramaya)를 지은 부유한 사업가인 아나타삔디까(Anathapindika)는 부처님으로부터 처음 데사나(desana, 법문)를 듣고 소따-빤나 단계에 도달했습니다. 그 분은 죽어 뚜시따(Tusita, 6가지 천상세계 중의 하나) 영역에 태어났습니다. 그 천상 세계도 까-마 로-까(kāma lōka, 욕계)에 속하기 때문에, 그 분은 아리야 자-나(Ariya jhāna)에는 결코 도달하지 않았다는 것이 분명합니다.

  • * 마하-나-마(Mahānāma)는 싯다르타(Siddhartha) 왕자의 가족과 친척 관계였던 부유한 사람이었습니다. 붓다께서는 그가 소따-빤나 단계에 도달했다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러나 마하-나-마는 사업 활동을 할 때, 종종 하인들에게 짜증과 화를 내고 고함을 지르기도 하였습니다. 그런 표출이 있은 후에는, “내가 여전히 이와 같이 화를 내게 된다면, 아직 소따-빤나 단계에 이르지 못했음이 틀림없다”고 생각하곤 했습니다. 그래서 부처님을 찾아가서 무슨 일이 있었는지 설명하고 붓다께서 그렇게 선언하신 것이 확실한지 묻곤 했습니다. 마하-나-마는 붓다께서 3번째로 확인을 해 주실 때까지, 여전히 자신이 소따-빤나 단계에 이르렀는지 의구심을 지니고 있었습니다. ‘Paṭhama Mahānāma Sutta, SN 55.21’ 를 참조하세요..

  • * 핵심은 증오(dōsa, 도-사)와 화냄(paṭigha, 빠띠가) 사이에는 차이가 있다는 것입니다. 빠띠가(paṭigha)는 아나-가-미(Anāgāmi) 단계에서만 제거됩니다.

 

띠삐따까(삼장)에 있는 추가 설명

 

12. 그 다음, 카스트의 높은 계급에 속했던 사라까-니 브라-흐민(Sarakāni brāhmin)도 있었습니다. 그 브라-흐민은 술을 마시고 자주 취하곤 했습니다. 베다 브라-흐민(vedic brāhmin)들인 그의 친척들은 그들의 일원이 될 자격이 없다고 하면서 그와 의절하였습니다. 그도 또한 소따-빤나 단계에 도달했지만, 그 성취 후에도 음주습관을 버릴 수 없었습니다. 그가 죽었을 때, (위에서 언급한) 마하-나-마(Mahānāma)는 붓다께 사라까-니(Sarakāni)가 어디에 태어났는지 여쭈었습니다. 붓다께서는 사라까-니(Sarakāni)는 소따-빤나 단계에 도달했으며 천신(데와, deva)으로 태어났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사라까-니의 친척들은 이 말씀을 듣고 경멸적으로 크게 웃었으며, “사라까-니가 소따-빤나라면, 우리 모두는 아라한이다”라고 표명했습니다.  마하-나-마(Mahānāma)가 돌아가 이것을 붓다께 보고했을 때, 붓다께서는 그 무지한 브라-흐민들은 겉으로 드러난 것을 근거로 판단하는 것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그 설명은 사라까-니 숫따(Sarakāni sutta)에 있습니다(숫따의 다양한 번역을 찾으려면 구글 검색을 해 보세요).

 

  • * 물론, 그 일화는 부도덕한 활동을 계속하더라도 여전히 소따-빤나 단계에 도달할 수 있음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우리가 이해해야 할 것은 알코올을 마시는 것 그 자체는 다사 아꾸살라(dasa akusala, 10가지 부도덕한 행위) 중 하나가 아니지만,  술을 많이 마시면 다사 아꾸살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사라까-니(Sarakāni)는 아마도 그의 오랜 습관을 어느 정도 지속했지만 ‘술에 취하지’는 않았을 것입니다. 소따-빤나는 강한 탐욕(로-바, lōbha)만 제거합니다. 까-마 라-가(kāma rāga, 감각적 즐거움에 들러붙음)는 아나-가-미(Anāgāmi) 단계에서만 제거됩니다.

  • * 마하-나-마 숫따(Mahānāma sutta, 위에서 언급한 ‘마하-나-마’에게 설한 경)에서 붓다께서는 소따-빤나의 실라(sila, 도덕적 행위)를 다음과 같이 설명하셨습니다. “빠-나-띠빠-따- 빠띠위라또- 호-띠, 아딘나-다-나- 빠띠위라또- 호-띠, 까메-수 밋차-짜-라- 빠띠위라또- 호-띠, 무사-와-다- 빠띠위라또- 호-띠, 수라-메-라야 맛자빠마- 닷따-나 빠띠위라또- 호-띠.”(“pānātipātā pativiratō hōti, adinnādānā pativiratō hōti, kamēsu micchācārā pativiratō hōti, musāvādā pativiratō hōti, surāmēraya majjapamā dattānā pativiratō hōti.”)입니다. 오계의 깊은 의미를 깨닫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오계 – 붓다께서 의미하신 바’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 * 위에서 ‘빠띠위라또- 호-띠(pativiratō hōti)’는 ‘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그보다 ‘좋아하여 하지는 않는다’를 의미합니다. 결국, 소따-빤나(Sotāpanna)는 (‘아리야 자-나’에 도달하지 않았다면) 아직 까-마 로-까(kāma lōka) 중 높은 영역에서는 벗어나지 못했으며, 사악처에서만 벗어났습니다.

 

‘아스미 마-나’는 아라한 단계에서만 제거됨

 

13. 어떤 사람들은 소따-빤나 단계에 도달하기 위해 ‘나(me)’라는 감각 또는 ‘자기(self)’라는 감각을 제거하려고 힘쓰지만, 그것은 아라한뜨(Arahant) 단계에서만 제거됩니다.

 

  • * 31 영역에 묶여 있는 한, ‘자기(self)’라는 감각은 있습니다. 이 ‘가띠(gati)’는 위 #4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아빠-야(apāya)에 재탄생하는 것에 적합한 가띠(gati)에서 시작하여 단계적으로 제거됩니다. 아나-가-미(Anāgāmi)라도 ‘자기’라는 감각이 남아 있지만, 감각적 즐거움에 대한 들러붙음은 대부분 없을 것입니다. 고등학교를 졸업하지 않고는 대학 시험에 합격할 수 없습니다.

  • * 각 단계를 통해 체계적으로 나아가야 합니다. ‘닙바-나로 가는 방법 - 아-사와의 제거’ 포스트와, ‘Conditions for the Four Stages of Nibbāna’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 * 31영역의 이 물질 세계에 묶여있는 한, ‘자기(self)가 있다’거나 ‘자기가 없다(no-self)’고 말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그것들은 잘못되고 극단적인 견해입니다. ‘주요 담마 개념’ 섹션의 ‘아닛짜, 둑카, 아낫따’ 서브 섹션을 참조하세요.

  • * 아닛짜(anicca), 둑카(dukkha), 아낫따(anatta)에 대한 잘못된 개념으로 하는 명상은 [이해가] 성장하지 않습니다. 올바른 유형의 명상을 하고 있다면, 자신의 이해가 성장됨을 느낄 수 있습니다. ‘13. Kammattana (Recitations) for the Sōtapanna Stage’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부처님만이 다른 사람의 성취를 알 수 있음

 

14. 마지막으로, 부처님만이 다른 사람이 막가 팔라(magga phala)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도과] 성취를 선언하는 것이 성스런 목적에 도움이 될 때, 그 자신의 성취를 스스로 선언하는 사람의 예가 많이 있습니다.

 

  • * 띠삐따가(Tipiṭaka)에 따르면, 처음 4번의 불교 결집 모임(담마 상가-야나-,  Dhamma Sangāyanā)에 참가한 자는 모두 아라한이였습니다. 그래서 그 4번의 상가-야나-(Sangāyanā)에 참가한 수천명의 아라한들은 모두 스스로 자신이 아라한임을 선언했음에 틀림없습니다.

  • * 아난다 존자는 첫번째 상가-야나-(Sangāyanā) 바로 전날 밤에  아라한과에 도달하셨습니다. 존자는 (신통력으로) 하늘을 날아서 결집 모임 장소에 와서 열쇠 구멍을 통해 내부 홀에 들어가셨습니다. 존자는 자신의 성취를 다른 아라한들이 어떤 의심도 가지지 않도록 그렇게 하셨습니다.

  • * 아라한들이나 붓다께서 그런 초능력 행위를 하는 경우는 비교적 적습니다. 아난다 존자의 아라한과 성취에 대해서는 다른 아라한들이 의심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수적이었습니다. 아난다 존자는 첫번째 상가-야나-(Sangāyanā)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맡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소따-빤나 아누가-미와 소따-빤나', ‘소따-빤나 막가/팔라를 얻기 위한 4가지 조건’, 및 ‘소따빳띠 앙가 - 소따-빤나의 4가지 특질’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google":["PT Serif"],"custom":["Nanum Gothic","Noto Sans KR","Nanum Barun Gothic"]}{"google":["PT Serif"],"custom":["Nanum Gothic","Noto Sans KR","Nanum Barun Gothic"]}
{"google":["Noto Sans KR"],"custom":["Nanum Goth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