퓨어 담마(Pure Dhamma)
붓다의 참된 가르침을 회복하기 위한 탐구
소따-빳띠 앙가 - 소따-빤나의 4가지 특질
원문: Three Levels of Practice 섹션의 ‘Sotapatti Anga – The Four Qualities of a Sotāpanna’ 포스트
- 2018년 7월 8일 작성; 2022년 5월 4일 개정; 2022년 9월 18일 재작성
소따-빳띠 앙가(Sotāpatti anga), 즉 소따-빤나(Sotāpanna)의 4가지 특질은 상윳따 니까-야(Samyutta Nikāya)의 ‘소따-빳띠 상윳따(Sotāpatti Saṃyutta)’에 있는 많은 숫따에 언급되어 있습니다.
소개
1. 소따-빳띠 상윳따(Sotāpatti Saṃyutta)’에는 닙바-나(Nibbāna)의 소따빤나 단계를 얻었는지를 확정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네 가지 특성/특질을 반복적으로 언급하는 숫따가 70개가 넘게 있습니다. 그 숫따의 시리즈는 ‘Cakkavattirāja Sutta (SN 55.1)’로 시작합니다.
-
* 필자는 소따-빤나(Sotāpanna)의 이 4가지 특질이 현재 문헌에서 별로 다루어지지 않은 것을 보고 놀랐습니다.
-
* 그것들을 아는 것은 소따빤나 단계에 이르렀는지를 확정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소따빤나와 관련된 소따-빳띠 앙가
2. 소따-빤나(Sotāpanna), 즉 소따-빤나 팔라(Sōtapanna phala)를 얻은 자의 4가지 특질은 소따-빤나 단계를 얻기 위해 충족되어야 하는 4가지 조건과 혼동하지 않아야 합니다.
-
* 그 4가지 조건은 ‘소따-빤나 막가/팔라를 얻기 위한 4가지 조건’ 포스트에서 볼 수 있습니다.
-
* 소따-빤나 단계를 얻기 위한 그 4가지 조건은 때때로 소따-빳띠 앙가(Sotāpatti anga)라고도 합니다. 예를 들어, 두띠야사-리뿟따 숫따( ‘Dutiyasāriputta Sutta, SN 55.5’ )를 참조하세요. 한편, 소따-빤나의 4가지 특질은 난디야삭까 숫따( ‘Nandiyasakka Sutta, SN 55.40’ )에는 소따-빳띠 앙가(Sotāpatti anga)로 열거되어 있기도 합니다.
-
* 그러므로, 4가지 조건을 지칭하는지 아니면 4가지 특질을 지칭하는지에 대해서는 소따-빳띠 앙가(Sōtāpatti anga)라는 말이 사용되는 문맥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3. 소따-빤나의 4가지 특질은 브라흐마짜리요가다 숫따( ‘Brahmacariyogadha Sutta, SN 55.2’ )에 간결하게 기술되어 있습니다. 붓다께서는 다음과 같이 물으십니다.
“짜뚜-히, 빅카웨, 담메히 사만나-가또 아리야사-와꼬 소따-빤노 호띠 아위니빠-따담모 니야또 삼보디빠라-야노. 까따메히 짜뚜-히?”
(“Catūhi, bhikkhave, dhammehi samannāgato ariyasāvako sotāpanno hoti avinipātadhammo niyato sambodhiparāyaṇo. Katamehi catūhi?”)
번역: “빅쿠들이여, 아리야사-와까 소따-빤나(ariyasāvaka Sotāpanna)는 아빠-야(apāya)에서 벗어났으며, 4가지 특질이 있다. 4가지는 무엇인가?”
그 다음 붓다께서는 다음과 같이 대답하십니다.
“이다, 빅카웨, 아리야사-와꼬 붓떼 아웩짭빠사-데나 사만나-가또 호띠: ‘이띠삐, 소 바가와- 아라항 삼마-삼붓도 윗자-짜라나삼마빤노 수가또 로까위두- 아눗따로 뿌리사담마사-라티 삿타- 데와마눗사-낭 붓도 바가와-’띠. 담메 아웩짭빠사-데나 사만나-가또 호띠… 뻬 … 상게 아웩짭빠사-데나 사만나-가또 호띠… 뻬 … 아리야깐떼히 실-레히 사만나-가또 호띠 아칸데히 … 뻬 … 사마-디상왓따니께히. 이메히 꼬, 빅카웨, 짜뚜-히 담메히 사만나-가또 아리야사-와꼬 소따-빤노 호띠 아위니빠-따담모 니야또 삼보디빠라-야노”띠.
(Then the Buddha gives the answer: “Idha, bhikkhave, ariyasāvako buddhe aveccappasādena samannāgato hoti: ‘itipi so bhagavā arahaṃ sammāsambuddho vijjācaraṇasampanno sugato lokavidū anuttaro purisadammasārathi satthā devamanussānaṃ buddho bhagavā’ti. dhamme aveccappasādena samannāgato hoti… pe … saṅghe aveccappasādena samannāgato hoti… pe … ariyakantehi sīlehi samannāgato hoti akhaṇḍehi … pe … samādhisaṃvattanikehi. Imehi kho, bhikkhave, catūhi dhammehi samannāgato ariyasāvako sotāpanno hoti avinipātadhammo niyato sambodhiparāyaṇo”ti.)
번역: “소따-빤나(Sotāpanna)는 이 세상 것들에 대한 뿌리깊은 갈망을 잃는 것(아웩짜, avecca)에서 오는, 붓다, 담마, 상가에 대한 숭배/믿음(빠사-다, pasāda)을 지닌다. 따라서 그는 사악처로 향하는 행위(깜마, kamma)를 하게 [계를] 깨뜨릴 수 없는 아리야깐-따 실-라(ariyakānta sīla, 성자들의 도덕적 행위)에 확립되어 있다. 이것들이 사악처(아빠-야)에서 벗어난 소따-빤나(Sotāpanna)의 특성을 정의하는 4가지다.”
-
* 먼저, ‘붓다와 담마와 상가의 지고한 덕성’이 이 숫따에 열거되어 있다는 것을 주목하세요. 위에서는 붓다의 9가지 덕성(특성)만 붉은 글씨로 인용되어 있습니다. 전체 숫따에서는, 담마와 상가의 덕성(특성)도 완전히 열거되어 있습니다.
‘아웩짭빠사-다’와 ‘아리야깐-따 실-라’
4. 소따-빤나(Sotāpanna)에 대한 이 묘사를 완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2가지 핵심 용어인 아웩짭빠사-다(aveccappasāda)와 아리야깐-따 실-라(ariyakānta sīla)를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
* 필자는 영어 문헌에서 아웩짭빠사-다(aveccappasāda)가 논의된 것을 보지 못했습니다. 그것이 언급된 곳에서, 그것은 ‘확고한 신뢰’로 묘사되어 있습니다.
-
* 그러나 그 확고한 신뢰의 이유가 그 말 그 자체에 숨겨져 있습니다. 이것을 ‘빠다 니룻띠(pada nirutti)(싱할라어로는 ‘pada nirukti’) 라고 하는데, 즉 그 말의 의미가 그 말 자체에 있다는 것입니다. 이제 그 숨겨진 의미를 논의해 봅시다.
아리야깐-따 실-라 = 확고한 도덕적 행위
5. 아직 아리야(Ariya)가 아닌 평범한(보통) 사람은 감각적 즐거움에 높은 가치를 둡니다. 대부분 사람들은 더 많은 감각적 즐거움을 얻기 위해서 부도덕한 행위를 하려고 하기도 합니다. 도덕적인 사람들 조차도 다른 사람들을 해치지 않고 도덕적 수단으로 얻을 수 있는 감각적 즐거움을 즐기는 것에 빠져 있습니다.
-
* 그러나 ‘도덕적 행위’는 [사람에게] 보장되지 않습니다. 가장 도덕적인 사람조차도 충분한 유인 또는 유혹 조건에서는 사악처로 가는 [나쁜] 행위를 하고 싶은 유혹을 받을 것입니다.
-
* 그런 강한 감각 입력(유혹)이 있을 때, 띨락카나(특히 아닛짜 특성)를 이해하지 못한 사람은 어느 시점에서(이 생이 아니라면 내 생에서) 사악처로 가는 행위를 하게 될 것입니다.
-
* ‘확고한/흔들리지 않는 도덕적 행위’는 소따빤나 아누가미(Sotapanna Anugami)에서 자라기 시작하여 소따빤나(Sotapanna)에서 확고하게 확립됩니다.
6. 어떻게 미래 괴로움(고통)이 일어나는지를 이해하기 전에는, 즉 사성제/빠띳짜 사뭅빠-다(연기)/띨락카나(삼특상)를 이해하기 전에는 ‘확고한/흔들리지 않는 도덕적 행위’를 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빠띳짜 사뭅빠다(연기)’ 섹션의 ‘빠띳짜 사뭅빠다, 띨락카나, 사성제(Paṭicca Samuppāda, Tilakkhana, Four Noble Truths)’ 서브 섹션을 참조하세요.
-
* 이것은 많은 사람들이 믿기조차 힘듭니다. 그들은 자신의 도덕성이 ‘깨질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우리는 그런 ‘도덕적인 사람들’이 우리가 생각하기에 도저히 할 수 없다고 하는 극악한 행위를 저지른다는 말을 때때로 듣습니다. 그 ‘깨질 수 없는 도덕성’은 오직 감각적 즐거움의 결실없음(실속없음)/위험함을 보아야만 얻을 수 있습니다.
-
* 이것이 붓다 담마(Buddha Dhamma)의 독특함입니다. (소따-빤나 단계에서) 사악처로 가는 행위를 절대로 저지르지 않고, 아라한뜨 단계에서는 단 하나의 다사 아꾸살라(dasa akusala)도 행하지 않는 마음이 되도록 할 수 있습니다.
7. 소따-빤나의 도덕적 행위는 미래 탄생에서도 영구히 깨지지 않습니다. 외부 감각 입력이 아무리 유혹적이라고 해도, 소따-빤나는 결코 ‘아빠-야로 향하는(apāyagāmi) 행위(깜마, kamma)’를 하지 않습니다. 그것에 의지력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그 마음은 그런 행위의 무익함/위험함을 완전히 파악(이해)했습니다.
-
* 소따-빤나의 이 깨질 수 없는 도덕적 행위를 ‘아리야깐-따 실라(ariyakānta sila)’라고 합니다. 깐-따(kānta, ‘ka’ + ‘anta’)는 붓다께서 거부하신 ‘과도한 감각 즐거움’과 ‘과도한 고행’이라는 두가지 극단(anta)을 제거함에 따라 얻어지는 ‘차분한 마음가짐(cooled mindset)’입니다.
-
* 아리야깐-따 실라(ariyakānta sila)는 부처님의 이 독특한 메시지를 이해한 성자(Ariya)에게만 확립되어 있습니다. 그 독특한 메시지는 31영역으로 된 이 광대한 세계에 어떻게 고통(괴로움, 시달림)이 일어나고, 어떻게 그 미래 고통이 멈춰질 수 있고, 고통이 없는 영구적인 상태(Nibbāna, 닙바-나)에 도달할 수 있는지에 대한 것입니다.
-
* 더욱이, 탈것(차량/수레)에 대한 빠알리어(및 싱할라어) 낱말은 ‘리야(riya)’이고, ‘리야(riya)’의 그침을 ‘아리야(Ariya)’라고 합니다. 윤회 여정의 수레 바퀴를 떼어낸 자를 ‘아리야’라고 합니다. ‘닙바-나는 이해하기 어려운가?’ 포스트의 #13을 참조하세요. 붓다(Buddha)(bhava uddha)는 같은 의미입니다. '부디스트' 또는 바웃다야-'는?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붓다의 ‘재탄생 과정이 있는 광대 세계관’를 이해해야 한다
8. 붓다께서 우리에게 설명이 없이는, 31영역 이 넓은 세계에 널리 퍼져 있는 괴로움(고통, 시달림)을 우리 스스로 이해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
* 사슴이 호랑이에게 산 채로 잡아먹히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보는(그리고 즐기는) 사람들이 얼마나 많습니까? 사슴에게는 그 경험이 얼마나 고통스러울까요? 입을 찌르는 갈고리에 매달려 숨쉴 수 없는 물고기가 느끼는 고통이 얼마나 클까요?
-
* 우리 마음은 동물이 고통을 느낄 수 있는 살아있는 존재(유정체)가 아니라고 생각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모든 생명체(유정체)는 고통과, 인식(지각)과, 다른 많은 정신적 특성을 경험합니다.
-
* 아비담마 용어에서, 느낌(웨다나, vedana)과 지각(산냐-, saññā)은 모든 유정체의 모든 마음(생각)과 함께 일어나는 보편 정신요소(쩨따시까, cetasika)입니다.
-
* 고통은 어디에나 있습니다. 우리가 관심을 기울이면, 사람들에게서도 너무나 많은 고통(괴로움, 시달림)을 볼 수 있습니다. 우리는 31 영역이라는 더 넓은 세계에 있는 고통의 많은 부분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다른 3가지 가장 낮은 영역과 동물(축생) 영역에서는 상상할 수 없는 고통이 있습니다.
단계별 과정 ㅡ 전제(필수) 조건
9. 그러나 그런 고통의 이유(또는 원인)는 재탄생 과정을 필요로 하는 깜마(kamma)의 법칙을 조사(그리고 확신)하지 않고는 이해할 수 없습니다.
-
* 이 때문에 먼저 31영역 이 세상에 대한 10가지 유형의 밋차- 딧티(micchā diṭṭhi, 잘못된 견해)를 없애지 않고는 붓다 담마(Buddha Dhamma)의 더 깊은 면을 이해할 수 없습니다.
-
* 10가지 유형의 밋차- 딧티(micchā diṭṭhi)를 제거하지 않은 자는 가장 높은 레벨에서 아윗자-(avijjā)를 지니게 되는데, 그것을 모-하(mōha)라고 합니다. 그러므로 저명한 과학자조차도 모-하(mōha)를 지닐 수 있습니다. 그것은 ‘책으로 아는 지식’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그것(모-하)을 제거하면, 아윗자-(avijjā) 레벨로 내려갑니다. ‘로-바, 도-사, 모-하’ 대 ‘라-가, 빠띠가, 아윗자-’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10. 10가지 유형의 밋차- 딧티(micchā ditthi)를 제거하고 나면, 고통의 진짜 원인은 잇짜-(iccā, 감각적 즐거움을 좋아함)로 인해 일어나는 땅하-(taṇhā, 들러붙음)라는 것을 보기(눈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지혜로 봄) 시작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땅하-(taṇhā)는 잇짜-(iccā, 갈망)에서 유래되었습니다.
-
* 다시 말하지만, 이것이 붓다 담마의 독특함입니다. 정상적인 사람은 감각적 즐거움이 없는 ‘행복한 존재’를 상상할 수 없지만, 아리야-(Ariya-, 성자)는 그 반대로, 즉 감각적 즐거움을 결실없음(실속없음)과 위험함으로 봅니다.
-
* 둑카 삿짜(dukkha sacca, 제1성스런 진리)와 띨락카나(Tilakkhana)를 이해하는 열쇠는 숨겨진 감각적 즐거움인 고통(괴로움, 시달림)을 보는 것입니다. 가장 나쁜 종류의 고통(괴로움, 시달림)은 감각적인 즐거움을 즐기려고 부도덕한 행위를 할 때 일어납니다. 그것이 소따-빤나(Sōtapanna)가 먼저 깨닫는 것입니다.
-
* 주: 잇짜(icca)와 아웩짜(avecca) 모두에서(또는 모든 곳에서), 글자 ‘c’는 ‘ch’음으로 발음됩니다. “초기 유럽 학자들이 채택한 '띠삐따까 영어' 규약 ㅡ 제1부”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니라-미사 수카와 아웩짭빠사-다
11. 소따-빤나 아누가-미(Sotāpanna Anugāmi) 단계에서 진리를 깨닫기 시작하면, 다른 종류의 ‘행복’을 경험하기 시작하는데, 그것이 니라-미사 수카(nirāmisa sukha)입니다.
-
* 이 니라-미사 수카(nirāmisa sukha)의 진짜 원인은 감각적 즐거움을 금욕한 것입니다. 다시 말하지만, 이것은 설명하기 어렵고 경험이 필요합니다.
-
* 그것과 함께, 부처님의 귀중함을 깨닫고, 부처님에 대해 깨지지 않는 믿음을 지니고, 부처님을 경배하게 됩니다. 이것을 부처님에 대한 아웩짭빠사-다 (aveccappasāda)라고 합니다.
아웩짭빠사-다(aveccappasāda) = 아와(ava) 잇짜(icca) 빠사-다(pasāda)
12. 이제 우리는 아웩짭빠사-다(aveccappasāda)의 진정한 의미를 알 수 있습니다. ‘아와(ava)’는 극복함을 의미하고, ‘잇짜-(iccā)’는 좋아함 또는 갈망함을 의미합니다. 이 두 낱말은 결합될 때, ‘아웩짜(avecca)’로 운이 맞춰집니다. 그리고, ‘빠사-다(pasāda)’는 경의/믿음을 의미합니다. ‘아웩짜(avecca)’와 ‘빠사-다(pasāda)’ 두 낱말이 결합되면, ‘아웩짭빠사-다(aveccappasāda)’로 운이 맞춰집니다.
-
* [붓다께서는] 이 세상의 고통(괴로움, 시달림)에 대해 그런 상상할 수 없는 원인을 발견하시고 (세속적 즐거움에 대한 ‘땅하-’ 또는 ‘잇짜-’를 제거함으로써) 그 고통에서 벗어나는 길을 찾으신 정말 예외적인 사람임에 틀림없습니다.
-
* 세속적 즐거움에 대한 잇짜-(iccā)의 위험함을 이해함에서 오는, 부처님에 대한 이 깨질 수 없는 믿음/경의, 그것이 붓데 아웩짭빠사-다(Buddhe aveccappasāda)입니다.
13. 물론, 붓다께서 가르치신 담마(Dhamma)에 대해 흔들리지 않는 믿음인 ‘담메 아웩짭빠사-다(Dhamme aveccappasāda)’를 지니며, 그것은 아빠-야(apāya)에서 해방되게 했습니다.
-
* 더욱이, 지금까지 참되고 순수한 담마를 전해주신 아리야(Ariya)들인 상가(Saṅgha)가 없이는 부처님의 이 독특한 담마를 배울 수 없을 것입니다. 평생 ‘가짜 담마’를 배우며 보내고 부처님의 메시지를 파악하지 못할 수 있을 것입니다. 우리는 오직 이 모든 세월 동안 띠삐따까(Tipitaka)를 충실하고 바르게 전승한 상가(Saṅgha) 때문에 올바른 붓다 담마(Buddha Dhamma)를 다행스럽게도 배우게 되었습니다.
-
* 그 깨달음이 상가에 대한 경의/믿음인 ‘상게 아웩짭빠사-다(Sanghe aveccappasāda)’로 이어집니다.
상가와 빅쿠
14. 빅쿠(bhikkhu)들이 반드시 상가(Saṅgha)에 포함되지는 않는 것에 주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 여덟 부류의 성스런 사람(앗따 뿌리사 뿍갈라, attha purisa puggala)만이 상가에 포함됩니다. ‘붓다와 담마와 상가의 지고한 덕성’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
* 그러나 빅쿠(bhikkhu)들에게는 항상 존경으로 대해야 합니다. 그들은 붓다 사-사나(Buddha Sāsana)를 나타냅니다.
-
* 필자가 아는 바로는, 재가자로서 아나-가-미(Anāgāmi)라 해도 어떤 빅쿠(Bikkhu)에게도 절을 합니다.
아닛짜 본질을 보는 것은 빠띳짜 사뭅빠-다를 이해하는 것이다
15. 붓다께서는 두 세트의 빠띳다 사뭅빠-다(PS)를 묘사하셨는데 이유가 있습니다. 한 세트(다양한 버전의 아꾸살라 물라 PS)는 세상의 기원, 즉 괴로움의 기원을 묘사합니다. 다른 것은 괴로움을 멈추기 위한 꾸살라 물라 PS를 묘사합니다.
-
* 우다야와야 냐-나(Udayavaya Ñāṇa)를 이해하는 것은 그 두 과정을 이해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우다야(udaya)’는 (세상/괴로움)의 일어남, 즉 아눌로마(정방향) PS입니다. ‘Paṭhamabodhi Sutta (Ud 1.1)’을 참조하세요. ‘와야(vaya)’는 그 과정의 멈춤, 즉 빠띨로마(역방향) PS 과정입니다. ‘Dutiyabodhi Sutta (Ud 1.2)’을 참조하세요.
-
* 이 세상에 있는 모든 것은 일어나지 않게 할 수 있습니다. 그것은 이 세상의 어떤 것도 에센스가 없다(실속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것들은 더 많은 괴로움을 가져올 수 있을 뿐입니다. 따라서, 아비상카-라(abhisaṅkhāra)로 세상의 즐거움을 추구한다면 (결국) 난감하게(어쩔 수 없게) 될 수 있을 뿐입니다.
-
* 위 불렛(글머리 기호) 문단은 아닛짜(anicca), 둑카(dukkha), 및 아낫따(anatta) 특성/본질을 요약합니다! 그 비전, 즉 삼마- 딧티(Sammā Diṭṭhi)는 부처님의 더 넓은(광대) 세계관을 이해할 때만에만 일어납니다. 자세한 내용은 ‘담마와 과학’ 섹션에 있는 ‘붓다의 세계관(‘Worldview of the Buddha)’ 서브섹션을 참조하세요.
‘아리야깐-따 실-라’와 ‘아웩짭빠사-다’는 삼마- 딧티를 통해 깨달아진다
16. 소따빤나는 성스런 팔정도에서 독특한 비전, 즉 삼마- 딧티(Sammā Diṭṭhi)를 가집니다. 소따-빤나(Sotāpanna)는 이 세상에 대한 궁극적 진리를 보았습니다. 그것은 ‘이전에 들어본 적이 없는’ 부처님의 담마입니다.
-
* 따라서, 소따-빤나(Sotāpanna)가 이 세상의 실제 본질에 대한 이 ‘숨겨진 진리’를 이해할 때, 감각 즐거움에 들러붙게 될 경우의 위험함을 보기 시작합니다.
-
* 그 ‘비전(시각)의 급격한 변화’는 자동적으로 붓다, 담마, 상가에 대한 믿음과 경의를 일으키고, 그래서 [붓다, 담마, 상가에 대한] 아웩짭빠사-다(aveccappasāda)가 생깁니다.
-
* 이 때문에 붓다, 담마, 상가를 ‘삼보(Triple Gem)라 하며, 경배할 가치가 있습니다. ‘붓다와 담마와 상가의 지고한 덕성’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
* 그러나, 소따-빤나는 보통 정도의 감각적 즐거움을 피할 수 없습니다. 대부분은 결혼 생활을 합니다. 아나가미 단계에서만 감각적 즐거움에 대한 갈망을 포기합니다. ‘위빨라-사(딧티, 산냐-, 찟따)는 상카-라에 영향을 미친다’ 포스트를 참조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