퓨어 담마(Pure Dhamma)
붓다의 참된 가르침을 회복하기 위한 탐구
4단계의 닙바-나에 대한 조건
원문: Tables and Summaries 섹션의 ‘Conditions for the Four Stages of Nibbāna’ 포스트
- 2016년 8월 3일 개정; 2018년 11월 19일 개정; 2022년 8월 21일 개정; 2023년 3월 22일 재작성
1. 아래 표는 각 단계의 닙바-나(Nibbāna)에 도달하기 위해 충족되어야 할 조건(즉, 제거되어야 할 인자)을 보여줍니다.
-
* 닙바-나(Nibbāna)의 각 단계는 다양한 방식으로 특징지을 수 있습니다. 즉, 10가지 아꾸살라 찟따(akusala citta)의 제거, 찟따와 관련된 14가지 유형의 아소바나 쩨따시까(asobhana cetasika, 아름답지 못한 심소)의 제거, 10가지 상요-자나(samyōjana)의 제거, 7가지 유형의 아누사야(anusaya)의 제거, 4가지 유형의 아-사와(āsava)의 제거, 3가지 유형의 땅하-(taṇhā)의 제거 등으로 특징지을 수 있습니다.
-
* 그 항목들을 설명하는 포스트들의 링크는 아래 #4를 보세요.
2. 예를 들어, 소-따빤나 단계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10가지 상요-자나(samyōjana)(열가지 족쇄/결박) 중의 3가지가 제거되고, 아꾸살라 찟따 1, 2, 5, 6, 및 11번이 제거됩니다(12가지 유형의 아꾸살라 찟따는 아래 #6를 참조하세요). 또한 소-따빤나 단계에서는 다른 찟따의 아빠-야가-미(apāyagāmi, 악처로 향함) 강도가 없어집니다. 찟따 9, 10번은 아나-가-미 단계에서 제거되고 더 낮은 단계에서 약해집니다. 나머지 찟따(3, 4, 7, 8, 및 12번)는 막가 팔라의 각 단계에서 약해지고 아라한 단계에서 제거됩니다. 빅쿠 보디의 책 “Comprehensive Manual of Abhidhamm”의 페이지 112에 좋은 도표가 있습니다.
|
상요-자나 |
아꾸살라 찟따 |
아누사야 |
아-사와(아-사야) |
낄레사(아소바나 쩨따시까) |
땅하- |
라-가 |
소-따빤나 |
삭까-야 딧티, 위찌낏짜-, 실랍바따 빠라-마-사. |
1,2,5,6,11번 찟따. 또한, 나머지 찟따의 아빠-야가-미 강도가 없어짐. |
딧티, 위찌낏짜-. |
딧타-사와 |
중지: 딧티, 위찌낏짜-.
감소: 나머지 쩨따시까 |
위바와 땅하- |
로바가 3가지 라-가로 감소 |
사까다-가-미 |
까-마 라-가(감소), 빠띠가(감소). |
9, 10번 찟따가 약해짐, 또한 3, 4, 7, 8번 찟따의 까-마 라-가가 약해짐. |
까-마 라-가(감소), 빠띠가(감소). |
까-마-사-와(감소) |
특별히 감소: 까-마 라-가와 빠띠가 |
감소: 까-마 땅하- |
모든 3가지 라-가가 더욱 감소됨 |
아나-가-미 |
까-마 라-가, 빠띠가. |
9,10번 찟따. 또한 3, 4, 7, 8번 찟따의 까-마 라-가가 제거. |
까-마 라-가, 빠띠가. |
까-마-사-와 |
중지 쩨따시까: 도사, 잇사, 맛차리야, 꾹꿋짜. |
까-마 땅하- |
까-마 라-가 |
아라한 |
루빠 라-가, 아루빠 라-가, 마-나, 웃닷짜, 아윗자-. |
3,4,7,8,12번 찟따(아꾸살라 찟따의 목록은 아래 참조) |
바와 라-가, 마-나, 아윗자-. |
바와-사와, 아윗자-사와. |
중지: 아소바나 쩨따시까의 나머지 |
바와 땅하- |
루빠 라-가, 아루빠 라-가. |
3. 까-마 요가, 바와 요가, 딧티 요가, 및 아윗자- 요가라는 ‘요가-(yogā)’에 기반한 또 다른 분류(범주)가 있습니다. ‘Yoga Sutta (AN 4.10)’를 참조하세요. 그러나 이 네가지는 위 표에 열거된 네 가지 유형의 아-사와와 동일합니다.
4. 아꾸살라 깜마(akusala kamma)를 짓는 능력은 또한 사람이 진전함에 따라 단계적으로 제거되고, 아라한 단계에서만 완전히 제거됩니다. 소따빤나는 그릇된 견해(밋차- 딧티, micchā diṭṭhi)를 가지는 그 하나의 아꾸살라 깜마만 완전히 제거한다는 것에 주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소-따빤나가 제거한 유일한 아꾸살라는 무엇인가?’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그러나, 이것은 많은 낄레사(정신적 오염원)를 제거하는 것으로 이어집니다. 표를 참조하세요.
5. 아-사와(āsava)와 아누사야(anusaya)는 ‘아-사와, 아누사야, 및 가띠’ 포스트에 논의되어 있습니다. 낄레사(kilesa)는 ‘딧티(사견), 삼마 딧티(정견)’ 포스트에 논의되어 있습니다. 다사 상요-자나(Dasa Samyōjana, 10가지 족쇄/결박)에 대한 논의는 ‘다사 상요-자나 - 재탄생 과정의 족쇄’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아소바나 쩨따시까(asobhana cetasika)의 14가지 유형은 ‘쩨따시까(정신 요소)’ 포스트에 논의되어 있습니다.
-
* 3가지 유형의 땅하-(taṇhā)에 대해서는 ‘까-마 땅하-, 바와 땅하-, 위바와 땅하-’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다른 방식은 3가지 유형의 라-가(rāga), 즉 까-마 라-가, 루빠 라-가, 및 아루빠 라-가로 범주화하는 것인데, 이에 대해서는 ‘로-바, 도-사, 모-하’ 대 ‘라-가, 빠띠가, 아윗자-’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6. 12가지 유형의 아꾸살라 찟따(akusala citta)는 ‘아꾸살라 찟따와 아꾸살라 위빠-까 찟따’ 포스트에 열거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여기에] 그것들을 나열하여 더 설명하겠습니다. 아래의 번호는 표에 있는 번호와 같습니다.
로-바(Lōbha, 탐함) 찟따(또한 모-하 뿌리도 가짐)
1) 그릇된 견해와 관련되고 유쾌함을 동반하며 습관으로(기꺼이) 행하는 찟따.
2) 그릇된 견해와 관련되고 유쾌함을 동반하며 마지못해 행하는 찟따.
3) 그릇된 견해와 관련되지 않고 유쾌함을 동반하며 습관으로(기꺼이) 행하는 찟따.
4) 그릇된 견해와 관련되지 않고 유쾌함을 동반하며 마지못해 행하는 찟따.
5) 그릇된 견해와 관련되고 평정함을 동반하며 습관으로(기꺼이) 행하는 찟따.
6) 그릇된 견해와 관련되고 평정함을 동반하며 마지못해 행하는 찟따.
7) 그릇된 견해와 관련되지 않고 평정함을 동반하며 습관으로(기꺼이) 행하는 찟따.
8) 그릇된 견해와 관련되지 않고 평정함을 동반하며 마지못해 행하는 찟따.
도-사(Dōsa, 미워함) 찟따(또한 모-하 뿌리도 가짐)
9) 미워함과 연관되고 불쾌함을 동반하며 습관으로(기꺼이) 행하는 찟따.
10) 미워함과 연관되고 불쾌함을 동반하며 마지못해 행하는 찟따.
모-하(Mōha, 미혹함) 찟따(모-하 뿌리만 있음)
11) 평정함을 동반하며 위찌낏짜-(의심)와 연관된 찟따(나쁜 결과를 모름).
12) 평정함을 동반하며 웃닷짜(동요/들뜸)와 연관된 찟따(산만함).
참고 사항:
1) 비록 최근 아비담마 문헌은 로-바(lōbha)와 도-사(dōsa) 찟따(citta)를 아상카-리까(asankhārika, 자발적)와 사상카-리까(sasankhārika, 비자발적)로 분류하고 있지만, 원래 아비담마에서 그것들은 그와 같이 분류되지 않았습니다.
2) 예를 들어, 2가지 도-사 물라 찟따(dōsa-mula cittā)는
i) 도-마낫사 사하가따 빠띠가 삼빠윳따 찟따(dōmanassa sahagata paṭigha-sampayutta citta),
ii) 도-마낫사 사하가따 사상카-리까 빠띠가 삼빠윳따 찟따(dōmanassa sahagata sasankhārika paṭigha-sampayutta citta)입니다.
-
* 첫 번째 찟따는 윤회 습관으로 인해 일어나는 찟따이고 따라서 더 강력합니다. 예를 들면, 쉽게 화내는 성향을 지닌 자가 보통 그런 강력한 찟따를 생성합니다.
-
* 반면에, 그런 성향이 없는 또 다른 자는 매우 강제하지 않으면 그런 찟따를 생성하지 않습니다. [가능한] 한계까지 밀어부치거나 인식된 감각적 즐거움이 유혹적일 경우 마지못해 합니다. 그러면, 그 사람은 실제로는 새로운 산(san)을 추가하거나 새로운 습관을 시작하는 것이며, 따라서 그것을 사상카-라까(sasankhārika)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