퓨어 담마(Pure Dhamma)

붓다의 참된 가르침을 회복하기 위한 탐구


{"type":"img","src":"https://cdn.quv.kr/f5120tiws%2Fup%2F5c9ef7f87c581_1920.png","height":80}
  • 붓다 담마
  • 주요 담마 개념
  • 리빙 담마
  • 방 안의 코끼리
  • 담마와 과학
  • 세 단계 실천
  • 빠띳짜 사뭅빠다(연기)
  • 자아가 있는가?
  • 바와나(명상)
  • 아비담마
  • 담마빠다(법구경)
  • 숫따(경) 해석
  • 붓다 담마ㅡ상급
  • 음성법문
  • JBM 법문-녹취
  • 원문 홈
  • {"google":["PT Serif"],"custom":["Nanum Gothic","Noto Sans KR","Nanum Barun Gothic"]}

     

    띠삐따까 주석서 ㅡ 도움되는가, 오도하는가?

     

    원문: Historical Background 섹션의 ‘Tipiṭaka Commentaries – Helpful or Misleading?’ 포스트

    - 2017년 12월 6일 작성; 2023년 2월 2일 재작성; 2023년 4월 29일 개정

     

    1. 필자는 최근에 띠삐따까(Tipiṭaka) 주석서들에 대한 에세이인 ‘Beyond the Tipiṭaka : A Field Guide to Post-canonical Pāli Literature’를 발견했습니다. 그것은 띠삐따까(Tipiṭaka)에 있는 결정적 개념을 명확히 하는 데 있어 그런 주석서들의 중요성을 설명합니다. 필자는 그 반대의 증거를 제시할 것입니다. 그런 주석서들은 모순된 설명을 가져왔습니다.

     

    • * 수년 동안, 필자는 인터넷 토론 게시판에서 아닛짜(anicca), 아낫따(anatta), 및 아니닷사나 윈냐-나(anidassana viññāna)와 같은 붓다 담마의 결정적 개념에 대한 열띤 토론을 보았습니다. 예를 들어, ‘아니닷사나 윈냐-나로 인한 아니닷사나, 압빠띠가 루빠’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 * 필자는 종종 사람들이 띠삐따까 숫따-(Tipiṭaka suttā)에 있는 결정적인 빠알리 낱말의 의미에 대해 논의하는 데 낭비하는 엄청난 시간에 대해 궁금해 합니다. 그들은 결론에 도달하지 못한 채 서로 다른 해석 사이를 왔다갔다 합니다. 필자는 그런 논의에서 어떤 문제도 완전히 해결되었다고 보기 어렵습니다. 같은 주제가 큰 진전 없이 해마다 논의됩니다.

    • * 이 혼란을 야기하는 한 가지 결정적 요인은 그 주석서들입니다. 그것들은 띠삐따까(Tipiṭaka)에 있는 부처님의 원래 가르침과 일치하지 않습니다. 다른 핵심 요인은 핵심 빠알리 낱말에 대한 잘못된 번역입니다. 이 두 가지 문제가 아래에서 논의됩니다.

     

    2. 이 포스트가 ‘부처님의 올바른 가르침’을 찾는 새로운 접근 방식에 대해 생각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잘못된 해석의 근원을 완전히 버림으로써, 많은 시간을 절약하고 진전을 이루는데 집중할 수 있습니다.

     

    • * 필자가 몇 년 전에 여러 다양한 버전의 불교를 진지하게 공부하기 시작했을 때, 이것은 필자가 부패한/오염된 버전을 제거하는 데 사용했던 전략이었습니다. 필자는 먼저 대승(Mahāyāna), 금강승(Vajrayaṃa, 티벳), 및 선(Zen) 버전을 제거했습니다. 필자는 와하라까 테로(Waharaka Thēro)님의 법문(dēsana)을 접한 후, 위숫디막가(Visuddhimagga)와, 다른 비교적 최근의 주석서들을 제거할 수 있었습니다. 이 단계들은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됩니다.

    • * 그 다음, 필자는 띠삐따까(Tipiṭaka)와 부처님 시대에 작성된 그것에 대한 3개의 고대 원본(원래) 주석만 남겼습니다. 아래를 참조하세요. [그러자] 수정같이 맑은 일관된 그림이 필자에게 나타났습니다.

    • * 다른 사람들도 같은 절차를 따를 수 있기를 바랍니다. 그 틀 내에서 모든 것이 이해될 수 있다면 더 많은 근원이 필요할까요? 철학의 원리인 '오캄의 면도날'(Occam’s razor, Ockham’s razor)이 말하듯이, 모순없이 가장 단순한 설명이 최고의 설명입니다.

     

    3. 필자의 결정적 주장(단언)은 띠삐따까(Tipitaka, 삼장)와 빠띠삼비다막가(Patisambhidamagga), 뻬따꼬빠데사(Petakopadesa), 넷띱빠까라나(Nettippakarana)라는 세 개의 원래 주석이 부처님의 원래 가르침을 명확히 하기에 충분하다는 것입니다.

     

    • * 이것은 필자의 성스런 스승인 와하라카 테로(Waharaka Thēro)에 의해 가능하게 되었는데, 스승님은 그 세 개의 원래 주석의 도움으로 핵심 빠알리 낱말의 참된 의미를 식별할 수 있었습니다. ‘와하라까 테로의 빠리닙바-나’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 * 이 웹사이트에서 필자는 와하라까 테로(Waharaka Thēro)님의 노력에서 나온 이 ‘자기 일관성’ 있는 그림을 제시합니다.

    • * 필자는 이 웹사이트에서 필자가 제시한 것을 올바른 버전으로 받아들이도록 누구에게도 요구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하세요. 증거를 보고 결정하는 것은 각자의 몫입니다. 필자가 아는 한, 이 사이트의 모든 것이 띠삐따까(Tipiṭaka)와 일치하며 ‘자기 일관성’이 있습니다. 필자의 목표는 100% 일관성이기 때문에 이 사이트에서 불일치되는 부분이 있으면 누구나 지적해 주기를 권장합니다.

    • * 자기 일관성(Self-consistency), 즉 모순이 없는지 확인하는 것은 현대 과학자들이 과학 이론의 타당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하는 과학적 절차입니다. ‘붓다 담마: 비인지성과 자기 일관성’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4. 위에서 언급한 3가지 원래 주석 외에 어떤 주석서를 참고할 필요가 없습니다. 필자는 오늘날 사용되는 다른 결정적 주석서들이 왜 부정확하고 일관성이 없는 설명을 하고 있는지를 길게 설명했습니다. ‘역사적 배경’ 섹션의 포스트들을 참조하세요.

     

    위에서 언급한 에세이(#1에 있는 것)는 띠삐따까(Tipiṭaka) 주석서의 중요성과 유효성(타당성)에 대한 일부 오해의 좋은 예입니다. 지금부터 아래에서 ‘주석서’라고 하는 것은 띠삐따까(Tipiṭaka)에 포함된 원래의 세 주석을 포함하지 않습니다.

     

    • * 아래에서, 인용 부호와 대자색으로 강조 표시된 내용은 위의 에세이에서 가져온 것이며, 해당 설명의 결함을 지적하는 필자의 의견이 그 아래(불렛)에 있습니다.

     

    5. “띠삐따까(빠알리 캐논)는 제3차 불교 회의(약 기원전 250년)에 최종 형태를 가지게 되었으며 기원전 1세기 어느 시점에 처음으로 쓰여졌다. 그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스리랑카와 인도 남부의 불교 학자와 승려들은 띠삐따까(Tipitaka) 자체에 대한 주석인 방대한 2차 문헌을 축적하기 시작했다..”.

     

    • * 사실이 아닙니다. 위의 #3에 언급된 원래의 세 주석(Patisambhidamagga, Petakopadesa 및 Nettippakarana)은 부처님 시대에 작성되었으며, 그것들은 여전히 띠삐따까(Tipiṭaka) 자체 안에 있습니다.

    • * 그 세 개의 원래 주석은 빠알리어로 되어 있지만, 다른 많은 주석서가 싱할라어로 쓰여졌고, 그 모든 싱할라 주석서들은 아래에 설명된 것처럼 모두 유실되었습니다.

     

    6. “이 문헌의 대부분은 스리랑카의 언어인 싱할라어로 기록되었지만, 싱할라어가 아닌 빠알리어가 테라와다의 공통어였기 때문에 스리랑카 이외의 불교 학자들은 그것들을 연구/공부할 수 없었다. 서기 5세기가 되어서야, 인도의 승려 붓다고사가 고대 싱할라 주석서를 모아서 그것들을 빠알리어로 번역하는 힘든 일을 시작했는데, 이 책들로 불교계에서 싱할라어를 사용하지 않는 사람들이 처음으로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

     

    • * 이 진술은 그 이후로 유실된 그 초기 싱할라 주석서들을 가리킵니다.

    • * 붓다고사의 위숫디막가(Visuddhimagga)와, 위뭇띠막가(Vimuttimagga, 해탈도론) 같은 다른 주석서들은 인도 학자들에 의해 빠알리어로 쓰여진 것은 맞습니다.

    • * 그 빠알리어에 대한 잘못된 번역은 그것들이 영어로 번역될 때 더 많은 문제를 야기했다는 점에 주목하는 것이 또한 중요합니다. 아래 #7을 참조하세요.

     

    7.  “이 주석서(Atthakatha, 앗타까타)들은 띠삐따까(Tipiṭaka)의 해당 구절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분석(구절별 및 낱말별)을 제공한다”.

     

    • * 먼저, 앗타까타(Atthakatha)(‘참된 설명’을 의미하는 싱할라 낱말)는 싱할라어로 쓰여진 띠삐따까(Tipiṭaka)에 대한 고대 주석서였습니다. 그것들은 모두 유실되었습니다. ‘붓다 담마의 보존’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 * 따라서, 그 앗타까타(Atthakatha)를 [싱할라 주석서와 동일한] 주석서로 언급하는 것은 오해를 불러 일으키는 것입니다. 대조적으로, 오늘날 유통되는 주석서는 고대 앗타까타(Atthakatha, 주석서)가 아니라 위숫디막가(Visuddhimagga)와 같은 더 최근의 것들입니다.

    • * 붓다고사(Buddhaghosa)의 임무는 싱할라 앗타까타(Sinhala Atthakatha)의 자료를 빠알리어(Pāli)로 번역하여 인도의 빅쿠들이 그것들을 읽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습니다. 불행히도, 그는 많은 베다 개념을 통합했습니다. ‘붓다고사의 위숫디막가 ㅡ 집중된 분석’을 참조하세요.

    • * 위숫디막가(Visuddhimagga)가 최근에 영어로 번역되었을 때 더 많은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오늘날 위숫디막가(Visuddhimagga)의 원래 빠알리 버전과 최근 영어 번역본은 모두 Amazon에서 구할 수 있습니다. 아래의 참고 문헌 1 및 2를 참조하세요.

     

    8.  “불교 초기에 대해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거의 모든 것이 이 후기 경전[주석서]에서 나온다”.

     

    • * 이것은 완전히 거짓입니다. (위숫디막가와와 같은) 후기 표준 주석서는 도움이 되기보다 ‘물을 흐리게’ 했습니다. ‘붓다고-사와 위숫디막가 ㅡ 역사적 배경’ 및 ‘붓다고사의 위숫디막가 ㅡ 집중된 분석’을 참조하십시오.

    • * 필자가 말하는 것은 그 포스트에 제시된 증거를 조사/검토하는 것입니다. 만약 [그 포스트의 내용에] 동의한다면, 사람들은 바로 위숫디막가를 신뢰할 수 있는 근원(출처)에서 제거할 수 있습니다. 그것 자체만으로 문제의 절반은 해결될 것입니다

    • * 두 번째 문제는 그 주석서들과 띠삐따까 숫따-(Tipiṭaka suttā)에 있는 결정적 빠알리 낱말에 대한 잘못된 번역입니다. ‘초기 유럽 학자들의 아닛짜 및 아낫따에 대한 잘못된 해석’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 * 이 웹사이트 전반에 걸쳐 증거를 제시했듯이, 띠삐따까(Tipiṭaka)와 세 개의 원래 주석만으로 충분히 우리를 안내할 수 있습니다.

     

    9. “첫째, 연대기와 주석서는 그 사이 세기들의 인물과 역사적 사건을 통해 우리를 띠삐따까(Tipiṭaka)의 고대 인도 세계로 연결시켜주는 시간적 연속성의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한다. 이러한 역사적 실마리가 없는 띠삐따까(Tipiṭaka)는 우리에게 고립된 시대착오적인 사람으로 영원히 있게 하고, 그 메시지는 신화와 우화의 구름 속에 사라지고, 그 페이지들은 고대 이집트 미라와 함께 박물관 전시 케이스에서 먼지가 쌓이도록 남겨지게 될 것이다…”.

     

    • * 띠삐따까(Tipiṭaka)에는 신화나 우화가 없습니다. 필자는 띠삐따까(Tipiṭaka)에서 [신화나 우화라는] 그 증거를 보여달라고 누구에게나 요구할 것입니다. 이것은 무책임하고 심각하게 잘못된 진술입니다.

     

    10. “둘째,  불교 초기에 대해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거의 모든 것이 이 후기 경전[주석서]에서 나온다”.

     

    • * 이 주석서들에는 부처님 시대에 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어떤 것도 없습니다. 그것들은 그것들이 쓰여진 시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는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위숫디막가(Visuddhimagga)는 부처님 후 약 800년 경에 쓰여졌습니다.

     

    11. “사람들은 붓다께서 반열반하신지 천 년이 지난 후에 쓰여진 경전 모음이 어떻게 부처님의 가르침을 확실하게 나타낼 수 있는지 합리적으로 궁금해 할 수 있다. 우리는 어떻게 그것들이 관련없는 여러 집적물로 채색된, 단순한 파생물이 아니라는 것을 어떻게 확신할 수 있을까? 우선, 이 문헌들 중 많은 부분이 확실히 부처님 이후 천 년이 지나 빠알리어로 처음 기록되었지만, 그 기초가 되는 대부분의 싱할라 버전은 훨씬 더 일찍 기록되었으며, 고대의 신뢰할 수 있는 구전 전통을 통해 전해졌다..”.

     

     

    12. “그러나 주석가 그들 자신의 자격은 어떤가? 그들의 말을 신뢰할 수 있는가? 담마에 몰두한 사원 생활을 하는 것 외에도 주석의 편집자들은 흠잡을 데 없는 문학적 자격을 가지고 있었다. 즉, 띠삐따까(Tipiṭaka)에 깊은 식견, 빠알리어 및 싱할라어에 숙달, 신중한 학술 작업에 대한 전문적 기술을 지니고 있었다. 우리는 그들의 능력이나 의도의 진실성을 의심할 이유가 없다”.

     

    • * 이것은 또한 중요한 문제입니다. 위에서 언급한 그 포스트들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붓다고사(Buddhaghosa)는 베다 브라만(Vedic Brahmin)이었고 그는 아나-빠-나(Anāpāna)를 호흡 명상으로 왜곡하고 까시나(kasina) 명상을 위숫디막가(Visuddhimagga)에 통합했습니다. 그런 까시나 명상은 띠삐따까(Tipiṭaka)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습니다.

    • * 많은 후기 주석가들처럼 붓다고사는 나가르주나와 같은 또 다른 철학자일 뿐입니다. 그런데, 나가르주나(Nagarjuna)는 또한 주석가였으며, 그의 작업은 마하-야-나(Mahāyāna, 대승) 버전의 불교의 부상으로 이어졌습니다.

    • * 필자는 마하-야-나(Mahāyāna, 대승)의 문제점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예를 들어, ‘대승 가르침이 지닌 핵심 문제’ 및 ‘묘법연화경(법화경) ㅡ 집중된 분석’을 참조하세요.

    • * 티베트 불교(Vajrayāna)와 중국 선(Zen)불교에도 동일한 종류의 주장을 할 수 있습니다. 이 모든 것은 띠삐따까(Tipiṭaka)의 원래 가르침에서 파생된 것입니다. ‘역사적 배경’ 섹션의 포스트들을 참조하세요. 어떤 결론을 내리기 전에 이 섹션을 읽는 것은 시간을 할애할 가치가 있습니다.

     

    13. “그리고 그들이 담마에 대해 직접 경험한 이해는 어떤가? 주석가가 무엇보다도 학자라면, 명상에 대해 권위 있게 글을 쓸 수 있을 만큼 충분한 명상 경험을 가졌을까? 이것이 더 문제다”.

     

    • * 이것은 필자가 동의하는 유일한 진술입니다. 그들은 실천에서 진전을 이루지 못한 '학자'이자 철학자일 뿐이었습니다.

    • * 이것은 오늘날에도 사실입니다. 많은 ‘학자’가 성스러운 길을 따르는 데 큰 진전이 없이 붓다 담마에 관한 책을 저술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명목상으로도 불교도가 아닙니다. 일부는 재탄생이나 닙바-나(열반)을 믿지 않는 ‘세속 불교도’입니다. ‘재탄생(윤회)과 닙바-나(열반)가 없는 불교는?’를 참조하세요.

    • * 필자는 그들을 비하하려는(깍아 내리려는) 것이 아닙니다. 그들은 도덕적인 삶을 사는 방법을 가르치는 데 있어 가치있는 목적에 기여합니다. 그러나 그 책/저널 논문/웹사이트는 띠삐따까(Tipiṭaka)의 더 심오한 가르침을 명확히 하는 데 사용될 수 없습니다.

     

    14. 현재 논의에서 빠진 핵심은 최소한 닙바-나(열반)의 소따빤나 단계에 도달하지 않고서는 아닛짜(anicca)와 아낫따(anatta)와 같은 결정적 개념을 이해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요즘 사람들은 ‘학문적 학자’인지 여부만 보고 그들의 자격을 가늠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 의학 교과서를 공부하기만 한 사람이 아니라, 개업(실행) 의사만이 환자를 정말로 이해하고 진단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 * 실제 가르침을 실천하고 최소한 닙바-나(열반)의 소타빠나 단계에 도달한 아리야(성자)만이 아닛짜(anicca), 윈냐-나(viññāna), 산냐-(saññā)와 같은 깊은 개념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런 깊은 개념에 대해 공부하거나 읽는 것만으로는 완전히 이해할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리빙 담마’ 섹션의 ‘산냐(지각)는 무엇인가?(What is Sañña (Perception)?)’ 서브섹션의 포스트들을 참조하세요.

     

    15. (요즘) 가장 많이 언급되는 주석서는 붓다고사(Buddhaghosa)의 위숫디막가(Visuddhimagga, 청정도론)와 우빠띳사(Upatissa)의 위뭇띠막가(Vimuttimagga, 해탈도론) (훨씬 적은 정도로 언급됨)입니다. 후자에 대한 원래의 빠알리 텍스트는 유실된 것으로 오랫동안 여겨졌습니다. 수세기 동안, 텍스트에 대한 논의는 5세기의 중국판에 의존했습니다.

     

    • * 우리가 밝혀낸(입증한) 바와 같이, 위숫디막가(Visuddhimagga)와 위뭇띠막가(Vimuttimagga)를 포함하여 후기 주석서는 빠알리어로 작성되었습니다.

     

    16. 그러므로, 그 후기 주석서는 두 가지 면에서 혼란을 야기합니다.

     

    • * 하나는 위에서 논의한 것처럼 주석가 자신의 잘못된 해석입니다.

    • * 다른 하나는 초기 유럽 학자들이 처음에 한 것으로서, 핵심 빠알리 용어를 잘못 번역한 것입니다. 예를 들어, ‘초기 유럽 학자들의 아닛짜 및 아낫따에 대한 잘못된 해석’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이것은 상황을 더욱 악화시켰습니다.

     

    이것은 그 후기 주석서를 참조하려는 사람들이 고려해야 할 두 가지 결정적으로 중요한 점입니다. 그  두 가지 점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17. 그리고, 일부 사람들은 중국의 아-가마(Āgama)를 인용합니다. 비록 그 원래 중국 문서가 진본일 수 있지만, 필자의 요점은 그것들도 또한 띠삐따까(Tipiṭaka)에서 파생되었기 때문에 추가 자료로서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 * 그것들은 중국어에 능숙하지만, 빠알리어, 싱할라어 또는 영어를 읽을 수 없는 사람들에게는 유용할 수 있습니다.

     

    18. 마지막으로, 필자의 요점을 다시 강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띠삐따까(Tipiṭaka)와  거기에 포함된 세 개의 원래 주석(빠띠삼비다막가, 뻬따꼬빠데사, 및 넷띱빠까라나)으로 부처님의 원래 가르침을 명확히 하기에 충분합니다. ‘붓다 담마의 보존’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 * 띠삐따까(Tipitaka)만을 사용하여, 필자는 또한 주로 붓다고사(Buddhaghosa)의 위숫디막가(Visuddhimagga, 청정도론)의 영향으로 인한 테라와다 불교의 현재 일부 잘못된 해석을 지적했습니다. ‘잘못된 테라와다 해석 ㅡ 역사 연대기’ 및 거기에 언급된 포스트들을 참조하세요.

    • * 웹사이트에는 여전히 약간의 불일치가 있을 수 있으며, 그것들의 일부를 지적해 주셔서 개선되게 한 독자들에게 감사드립니다. 그러나 필자는 핵심 개념이 올바르다는 것에 대해 높은 확신을 가지고 있습니다.

    • * 띠삐따까(Tipiṭaka) 또는 웹사이트 내에서 불일치한 부분이 있으면 주저없이 의견을 말해주세요. 그러나 필자가 위에서 상세히 말씀드린 이유 때문에, [띠삐따까를 제외한] 다른 출처에서  인용하지는 말아주세요. 이 웹사이트는 부처님의 가르침을 한 곳에서 영어로 일관되게(모순없이) 설명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필자는 띠삐따까에 대한 많은 영어 번역에서 일부 명백한 모순을 강조하는 새로운 섹션을 최근에 시작하였는데, ‘방 안의 코끼리’ 섹션입니다.

     

    참고 문헌

     

    1. Bhadantacariya Buddhaghosa의 Visuddhimagga (The Path of Purification – Pāli Edition) (Theravada Tipiṭaka Press, 2010년).

    2. Bhadantacariya Buddhaghōsa의 ‘The Path of Purification (Visuddhimagga)’ (빅쿠 냐-나몰리 역, BPS 판, 1999년). (‘빅쿠 냐-나몰리’의 ‘소개’ 부분은 역사적 배경을 제공함).

    {"google":["PT Serif"],"custom":["Nanum Gothic","Noto Sans KR","Nanum Barun Gothic"]}{"google":["PT Serif"],"custom":["Nanum Gothic","Noto Sans KR","Nanum Barun Gothic"]}
    {"google":["Noto Sans KR"],"custom":["Nanum Goth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