퓨어 담마(Pure Dhamma)

붓다의 진정한 가르침을 회복하기 위한 탐구


{"google":["PT Serif","Noto Sans KR"],"custom":["Nanum Gothic","Nanum Barun Gothic"]}

 

뿌라-나 및 나와 깜마 ㅡ 깜마 생성의 순서

 

원문: Three Levels of Practice 섹션의 ‘Purāna and Nava Kamma – Sequence of Kamma Generation’ 포스트

 

빠띳짜 사뭅빠-다(Paṭicca Samuppāda) 사이클은 아브야-까따 빠띳짜 사뭅빠-다(Avyākata Paṭicca Samuppāda)와 함께 ‘뿌라-나 깜마(purāna kamma)’ 단계에서 시작됩니다. 그러나 (미래의 재탄생으로 이어질 수 있는) 새롭고 강건한 깜마는 마음이 와찌 및 까-야 깜마를 의식적으로 생성하기 시작할 때에만 (아꾸살라물라 빠띳짜 사뭅빠-다를 통해) ‘나와 깜마(nava kamma)’ 단계에서 행해집니다.

 

2024년 01월 11일 작성

 

소개

 

1. 깜마 축적은 두 가지 독특한 단계에서 일어납니다.

 

i) 첫 단계에서,  뿌툿자나(puthujjana)의 마음은 최근 포스트들에서 논의한 왜곡된 산냐-(distorted saññā)에 기반하여 감각 입력(아-람마나, ārammaṇa)에 자동적으로 들러붙습니다. 그 들러붙음은 ‘산냐- 위빨라-사(saññā vipallāsa)’로 인한 것입니다. 따라서,  ‘산냐- 위빨라-사’는 ‘왜곡된 산냐-에 속은(착각한)’ 경우에만 일어납니다. ‘왜곡된 산냐-(산자-나-띠)에 속음 ㅡ 들러붙음(땅하-)의 기원’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ii) 물론, 마음은 최소한 아-람마나를 잠시나마 인식해야 하는데, 많은 감각입력은 우리가 알아차리지도 못하고 쏜살같이 지나갑니다. 마음이 감각 입력에 충분히 관심이 있으면, 자와나 찟따-(javana cittā)와 함께 깜마 축적의 두 번째 단계를 시작합니다.

  • * 적어도 위의 (i)과 함께 하는 감각 경험은 빤쭈빠-다낙칸다 (pañcupādānakkhandha)로 등록되고, 그 기록(나마곳따, namagotta)은 윈냐-나 다-뚜(외부 세계)에 보존될 것입니다.  그 기록은 하다야 왓투(hadaya vatthu), 또는 간답바(gandhabba)에 머무르지 않는다는 것에 주목하세요. (육체 내에 있는) 간답바는 뇌를 통해 윈냐-나 다-뚜(viññāṇa dhātu)로부터 기억을 되찾아야 합니다. ‘기억은 어디에 저장되는가? ㅡ 윈냐-나 다-뚜’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번뇌/오염물(아누사야, 상요자나, 가띠 등)만이 하다야 왓투/간답바)와 연관되어 있습니다.

 

감각 사건의 뿌라-나 및 나와 깜마 단계

 

2. 그러므로, 첫번째 들러붙음 단계는 항상 (‘뿌라-나 깜마’ 단계에서) 일어납니다. (초기의 아비상카라를 가진) 깜마는 이 단계에서 일어나지만 미래에 위빠-까를 가져올 정도로는 강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그것은 빤짜 우빠-다-낙칸다(pañca upādānakkhandha)의 또 다른 회전(라운드)를 시작합니다. 

 

  • * 그러므로,  마음(감각 사건)은 아라한 아래의 모든 이들에게는 결코 빤짝칸다 상태로부터 시작하지 않습니다. 빠밧사라(pabhassara) 마음은 아라한뜨 팔라(Arahant-phala, 아라한과) 순간에 마음(즉 하다야 왓투)에서 모든 10가지 상요자나(saṁyojana)가 제거된 후에만 일어납니다. 

  • * 두번째 단계의 들러붙음(‘나와 깜마’ 단계)이 일어나지 않으면, 자와나 찟따-는 일어나지 않습니다. (재탄생을 포함하여) 미래 위빠-까(vipāka)를 가져올 수 있는 강한 깜마는 자와나 찟따가 ‘나와 깜마(nava kamma)’ 단계 안에서 일어날 때에만 발생합니다.

 

3. 지금까지, 이 웹사이트에서 우리는 ‘나와 깜마(nava kamma)’ 단계를 주로 논의했습니다. 그러나, 필자는 ‘뿌라-나 깜마(purāna kamma)’ 단계를 처음에 간략히 소개할 때, 그 용어를 최근 포스트에서만 사용했습니다.

 

  • * 우리는 ‘뿌라-나 깜마(purāna kamma)’와 ‘나와 깜마(nava kamma)’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고 이전에 다음 도표의 개념을 논의했습니다.

영문 다운로드/인쇄:Purāna and Nava Kamma – 1

 

 

뿌라-나 깜마 단계

 

4. ‘뿌라-나 깜마(purāna kamma)’는 ‘초기 깜마’ 또는 ‘깜마 생성의 기본 레벨’로 번역될 수 있습니다.

 

  • * 그 단계는 ‘왜곡된 산냐-’에 기반하여 자동적으로 발생합니다. 논의한 바와 같이, 뿌툿자나는 항상 감각 입력의 ‘만들어진 버전’(‘왜곡된 산냐-’에 의해 변형된 것)을 얻습니다. 

  • * 빠띳짜 사뭅빠-다(PS, 연기) 과정은 항상 아-람마나(ārammaṇa)로 시작합니다. 아래 도표는 짝쿠 윈냐-나(cakkhu viññāṇa)가 어떻게 감각 입력으로 루빠(시각대상)와 함께 시작하는지를 보여줍니다. 감각 사건은 왼편의 ‘다-뚜 단계(dhātu stage)’에서 시작합니다. 아라한의 마음은 거기서 멈추는 반면, 뿌툿자나의 마음은 오른쪽으로 진화를 계속하여, 점점 더 오염됩니다.

영문 다운로드/인쇄:Purāna and Nava Kamma – 2

 

  • (필자는 싱할라어 법문 시리즈인 ‘බුදු දහම, මාර්ග ඵල සහ මග වැඩීම’에서 ‘윈냐-나의 확장’에 대한 ‘원뿔 표현’을 차용하였는데, 싱할라어를 사용하는 분들에게 적극 추천합니다.)

 

바힛다 및 앗잣따 윈냐-나

 

5. 뿌툿자나의 깜마 윈냐-나(kamma viññāṇa)는 까-마 다-뚜(kāma dhātu) 단계 직후에 마음이 ‘감춰진 오염/번뇌’(아누사야/상요자나)로 인해 ‘왜곡된 산냐(distorted saññā)’에 자동적으로 들러붙으면서 시작됩니다.  그것은 첫 찟따 위티(citta vithi)에서 상깝빠(오직 마노 상카-라-임)와 함께 발생합니다.

 

  • * 그 첫 들러붙음은 ‘왜곡된 산냐-’와 함께 ‘변형된 루빠(altered rupa)’가 마음에 제시되는 곳이며, 마음은 ‘바힛다 윈냐-나(bahidda viññāṇa)’라고 하는 깜마 윈냐-나(kamma viññāṇa)의 첫 번째 단계를 생성합니다. 이 ‘왜곡된 산냐-(distorted saññā)’는 육체(와 뇌)를 통해 전달된다는 점에 주목하세요. 그 때문에 아라한도 그 ‘변형된 루빠’를 경험할 것입니다.(그러나 그것에 들러붙지 않을 것입니다. 즉 ‘바힛다 윈냐-나’는 아라한에게 일어나지 않습니다.) 그 다음 단계는 뿌툿자나에게만 일어납니다.

  • * 다음 단계에서, 마음은 (바힛따 윈냐-나를 가치있는 것으로 받아들여) 더 많은 상깝빠와 함께 다시 들러붙고, 그것은 짝쿠 인드리야(cakkhu indriya)를 아-야따나(āyatana)로 사용하는 것으로 이어지는데, 따라서 이제부터 그 과정에서 ‘짝쿠(cakkhu)’는 ‘짝쿠 아-야따나(cakkhu āyatana)’를 의미합니다. 윈냐-나는 더 강하고 ‘앗잣따 윈냐-나(ajjhatta viññāṇa)’ 단계에 있습니다.

 

6. ‘Kammanirodha Sutta (SN 35.146)’: “Cakkhu, hikkhave, purāṇa kammaṁ abhisaṅkhataṁ abhisañcetayitaṁ vedaniyaṁ daṭṭhabbaṁ..”

 

번역: “짝쿠는 뿌라-나 깜마를 통해 일어난다. 그것은 아비상카-라에 의해 생성된( abhisaṅkhataṁ) 것으로 이해되고(daṭṭhabbaṁ), 아비산쩨따나-로 이어질 수 있고(abhisañcetayitaṁ) (마음이 만든) 웨다나-로 이어진다(vedaniyaṁ).”

 

  • * 대상을 볼 때, ‘눈 의식은 짝쿠(cakkhu)와 루-빠(rūpa)에 기반하여 일어납니다.’ 즉, ‘Cakkhuñca paṭicca rūpe ca uppajjati cakkhuviññāṇaṁ’입니다. 이 단계에서, 짝쿠 윈냐-나는 이미 ‘앗잣따 윈냐-나(ajjhatta viññāṇa)’ 단계에 있습니다.

  • * 여기서, ‘짝쿠(cakkhu)’는 ‘눈’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그것은 오염된 ‘짝쿠 아-야따나’를 의미합니다(대비하여, 아라한에게는 오염되지 않은 ‘짝쿠 인드리야’임). 그것이 바로 위 구절이 말하는 것이며, 그것은 마음이 ‘까-마 다-뚜’ 단계에서 ‘까-마 바와’로 넘어갔을 때 ‘왜곡된 산냐-’에 의해 오염되었을 때 이미 오염되었습니다.

  • * 이것은 위의 두 번째 도표에 나와 있습니다.

 

바힛다 윈냐-나는 ‘왜곡된 산냐-’로 인해 일어난다

 

7. 뿌툿자나의 마음은 마음에 들어오는 ‘루빠’가 외부 루빠의 참된 표현, 즉 설탕이 본질적으로 달콤하다는 것을 자동으로 믿습니다. 이것은 삼류 마술사의 ‘피상적 속임수’가 아니라 부처님만이 밝혀낼 수 있는 ‘교묘한 속임수’입니다. 인간 몸은 인간으로 태어난 사람들이 전생에 갈망했기 때문에 (업 영향에 의해) 그 ‘매력적인 산냐-’를 제공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 * 예를 들어, ‘두 가지 방식으로 일어나는 웨-다나-(느낌)’ 포스트의 #5 및 #6을 참조하세요.

  • * 감각적 즐거움에 우리가 탐닉하는 경향의 주된 이유는 이 ‘왜곡되고 마음이 만든 산냐-’입니다.  ‘까-마 라-가는 '왜곡된 산냐-'로 인해 일어난다’를 참조하세요(주: ‘왜곡된 산냐-’는 그 수법(트릭)이 어떻게 작용하는지 이해하지 못하는 이들에게만 ‘산냐- 위빨라-사’로 이어집니다.)

  • * 많은 사람들은 자신의 의지력으로 까-마 라가를 마음에서 제거해야 한다고 잘못 생각합니다. 그것은 상황을 더 나쁘게 만들어 ‘불행한 사람’이 되게 합니다. 반면에, 본질적인 ‘설탕의 달콤함’이나 ‘여성의 아름다움’이 없다는 것을 이해하면, 까-마 라가를 제거하기가 훨씬 쉽습니다.

 

들러붙음의 근본 원인 ㅡ ‘왜곡된 산냐-’

 

8.  위 도표에서 볼 수 있듯이, 이 ‘왜곡된 산냐-’는 ‘매력적인 감각 입력’에 우리가 들러붙는 근본 원인입니다. ‘그런 마음이 만든 즐거움을 더’ 얻으려고 노력할 때, 우리는 (동물 영역과 같은) 괴로움이 가득한 영역에 재탄생하는 것을 포함하여 ‘의도하지 않은 해로운 결과(깜마 위빠-까)’를 가져오는 아꾸살라 깜마에 관여합니다.

 

  • * ‘감각적 즐거움’을 즐기는 것은 좋은 마술쇼를 보는 것과 매우 유사합니다. 그 때문에 붓다께서는 윈냐-나를 ‘마술사’라고 칭하셨습니다.

  • * 필자는 그것이 결정적으로 중요하기 때문에 많은 최근 포스트들에서 이것을 강조하였습니다. ‘물-라빠리야-야 숫따 ㅡ 모든 것의 뿌리’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 * 우리는 두 단계로 그런 아꾸살라 깜마를 축적합니다. 첫 번째 미묘한 단계는 ‘뿌라-나 깜마 단계’며, 그때에 깜마 축적은 우리 마음이 알지 못하는 미묘한 레벨에서 시작합니다.

  • * 마음이 감각 입력에 충분히 들러붙으면, 우리는 와찌 및 까-야 상카-라에 기반한 말과 행동과 함께 새로운, 강한 깜마를 축적하기 시작합니다. 위의 첫 번째 도표에서 본 바와 같이, 그것은 아꾸살라 물라 빠띳짜 사뭅빠-다 과정에서 ‘땅하- 빳짜야-  우빠-다-나’ 단계에서 발생합니다. 그것이 ‘나와 깜마(nava kamma)’ 단계입니다. 

 

나와 깜마 단계

 

9. ‘Kammanirodha Sutta (SN 35.146)’: “Katamañca, bhikkhave, nava kammaṁ? Yaṁ kho, hikkhave, etarahi kammaṁ karoti kāyena vācāya manasā,..”

 

  • * 위의 두 번째 도표는 마음이 어떻게 감각 입력에 반복하여 들러붙음으로써 실시간으로 오염되는지를 보여줍니다(우리는 시각 입력으로 가정함).

  • * (아라한을 포함하여) 인간으로 태어난 모든 사람의 마음은 까-마 다-뚜(kāma dhātu) 단계에서 시작합니다. 그 육체(그리고 뇌)는 외부 루빠를 참되게 나타내는 대신에 ‘변형된 루빠’를 마음에 자동적으로 나타냅니다. 그 때문에 ‘왜곡된 산냐-’(예를 들어, 설탕의 달콤함)가 뿌툿자나 뿐만 아니라 아라한에게도 일어납니다.

  • * 그러나, 아라한의 마음은 그 ‘변형된 루빠’에 들러붙지 않을 것인데, 그 이유는 위 도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 마음이 어떻게 그 속임수가 일어나는지 완전히 파악(이해)했기 때문입니다.

 

까-마 다-뚜의 일반적인 들러붙음 순서

 

10. ‘Sanidāna Sutta (SN 14.12)’는 까-마 로까(kāma loka)에서 감각 입력에 기반한 깜마 축적에 수반된 단계의 일반적인 순서를 나타내 보입니다. 우리는 ‘우빠야와 우빠-다-나 ㅡ 들러붙음의 두 단계’ 포스트에서 그것을 논의했습니다.

 

  • * “Kāma dhātuṁ, bhikkhave, paṭicca uppajjati kāma saññā, kāma saññaṁ paṭicca uppajjati kāma saṅkappo, kāma saṅkappaṁ paṭicca uppajjati kāmacchando, kāmacchandaṁ paṭicca uppajjati kāma pariḷāho, kāma pariḷāhaṁ paṭicca uppajjati kāma pariyesanā.”, 즉 “까-마 다-뚜에 들러붙으면 까-마 산냐-로 이어지고, 까-마 산냐-에 들러붙으면 까-마 상깝빠로 이어지며, 까-마 상깝빠에 들러붙으면 까-막찬다로 이어지고.. 등 까-마 빠리예사나-로 이어진다.”입니다.

 

11. ‘인간 마음의 오염 ㅡ 상세한 분석’ 포스트에서, 우리는 까-마 로까에서 가능한 6가지 유형의 감각 입력을 논의하는 ‘Saññānānatta Sutta (SN 14.7)’에서 아래  구절을 논의했습니다. 따라서, 그것은 위 구절의 일반적 진술로 확장되었습니다.

 

Rūpa dhātuṁ, bhikkhave, paṭicca uppajjati rūpa saññā, rūpa saññaṁ paṭicca uppajjati rūpa saṅkappo, rūpa saṅkappaṁ paṭicca uppajjati rūpacchando, rūpacchandaṁ paṭicca uppajjati rūpa pariḷāho, rūpa pariḷāhaṁ paṭicca uppajjati rūpa pariyesanā”, “루-빠 다-뚜는 그 시각대상에 대한 인식을 일으킨다(rūpe saññā). (마음이 들러붙으면) 그 인식은 그것에 대한 생각을 일으킨다(rūpa saṅkapa). 생각은 그런 시각대상에 대한 갈망을 일으킨다(rūpacchanda). 시각대상에 대한 갈망은 시각대상에 대한 열정을 일으킨다(rūpa pariḷāha). 시각대상에 대한 열정은 시각대상에 대한 추구/조사를 일으킨다(rūpa pariyesanā).”입니다. 마지막 것에서, ‘빠리예사나-(pariyesanā)’는 ‘조사’를 의미하는데, 그때에 사람은 어떤 것에 관심이 있게 되고, 그것을 최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조사합니다. 

 

  • * 그 다음, 구절은 6가지 감각 모두에 대해 반복되며, “dhamma dhātuṁ paṭicca uppajjati dhamma saññā, dhamma saññaṁ paṭicca uppajjati dhamma saṅkappo, dhamma saṅkappaṁ paṭicca uppajjati dhammacchando, dhammacchandaṁ paṭicca uppajjati dhamma pariḷāho, dhammapariḷāhaṁ paṭicca uppajjati dhamma pariyesanā.”로 끝납니다.

 

모든 영역을 포함하는 더 넓은 시각

 

12. 위의 두 번째 도표는 까-마 로까에서 마음의 오염(즉, ‘깜마 윈냐-나’의 성장’ 또는 ‘빤짜 우빠-다-낙칸다’)을 시작하는 ‘왜곡된 산냐’의 결과를 설명합니다. 사실, 그것은 주로 인간 영역에서 일어납니다.

 

  • * 다소 유사한 ‘왜곡된 산냐’가 루빠 로까의 16가지 영역(루빠-와짜라 브라흐마 영역)과 아루빠 로까의 4가지 영역(아루빠-와짜라 브라흐마 영역)에서도 발생합니다. 그러나 그 영역들에서는 ‘깜마 축적’이 크게 일어나지 않습니다.

  • * 그 20가지 영역의 어떤 곳에 태어난 아나리야 요기(anariya yogi)는 거기서 그 수명의 끝까지 ‘자나-/사마-빳띠 수카(jhānic/samāpatti sukha)’를 경험합니다.

  • * 그 영역 중의 하나에 태어난 아리야(Ariya)도 ‘자나-/사마-빳띠 수카(jhānic/samāpatti sukha)’를 경험하며, 그것 또한 왜곡된 산냐-로부터 일어납니다. 그러나, 그들은 다시 그 왜곡된 산냐-에 들러붙음을 제거하고 더 높은 영역으로 나아가, 결국 아라한과에 이릅니다. 

 

삽베 상카-라- 아닛짜-

 

영문 다운로드/인쇄:Purāna and Nava Kamma -3

 

13. 마음은 (아람마나를 받으면) 반드시 세 가지 다-뚜 중의 하나에 먼저 향할 것입니다. 루빠 또는 아루빠 로까에서는 감각적 감각 입력을 받지 않으므로, 그들의 마음은 ‘루빠 다-뚜’ 또는 ‘아루빠 다-뚜’ 에 향합니다. 

 

  • * 예를 들어, ‘루빠 로까 브라흐마 영역’에 있는 아나리야 브라흐마는 ‘루빠-와짜라 자-나 수카’의 ‘왜곡된 산냐-’만 받으며, 자동적으로 ‘산냐- 위빨라-사’와 함께 그것에 들러붙습니다. 그들은 깜마를 더 축적하지 않지만, 브라흐마의 삶이 끝날 때 까-마 로까에 돌아올 것입니다. 까-마 로까와는 달리, 루빠 또는 아루빠 브라흐마 영역에서는 (강한) 깜마를 축적할 방법이 없습니다.

  • * 루빠 로까에 있는 아나-가-미(Anāgāmi)도 ‘루빠-와짜라 자-나 수카’의 ‘왜곡된 산냐-’를 얻지만, 그 산냐-의 ‘아닛짜 특성’을 볼 수 있고 그것에 들러붙음을 멈출 수 있습니다.

 

14. 그러므로, 아나리야(anariya)의 마음은 결코 ‘괴로움 없는 빠밧사라 마음’을 향해 갈 수 없습니다. 그것이 위의 세 번째 도표에서 볼 수 있는 결정적으로 중요한 점입니다. 

 

  • * 특히, 인간 뿌툿자나의 모든 행동, 말, 생각은 항상 그들의 마음이 ‘괴로움 없는’ 빠밧사라 마음에서  멀어지게 할 것입니다. 그것이 왜 (‘아윗자- 빳짜야- 상카-라-’를 통한) 아비상카-라 생성이 ‘아닛짜 본질’인지의 핵심 이유입니다. 즉, ‘삽베 상카-라 아닛짜-(sabbe saṅkhārā aniccā)’입니다. 

  • * 그것은 또한 뿌툿자나의 마음은 결코 ‘빠리나-미(parināmi)’ 방향 또는 ‘더 나은 쪽으로’ 움직이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것은 항상 ‘위빠리나-미(viparināmi)’ 또는 ‘더 나쁜 쪽’으로 움직입니다.

  • * 그것은 ‘아닛짱 위빠리나-미 안냐타-바-위 ㅡ 결정적 구절’ 포스트에 논의되어 있습니다.

 

뿌라-나 및 나와 깜마 단계 ㅡ 빠띳짜 사뭅빠-다와 관계

 

15.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뿌라-나 및 나와 깜마 단계는 아브야-까따 빠띳짜 사뭅빠-다 및 아꾸살라물라 빠띳짜 사뭅빠-다 과정에 각각 해당합니다.

 

{"google":["PT Serif"],"custom":["Nanum Gothic","Noto Sans KR","Nanum Barun Gothic"]}{"google":["PT Serif"],"custom":["Nanum Gothic","Noto Sans KR","Nanum Barun Gothic"]}
{"google":["Noto Sans KR"],"custom":["Nanum Goth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