퓨어 담마(Pure Dhamma)

붓다의 진정한 가르침을 회복하기 위한 탐구


{"google":["PT Serif","Noto Sans KR"],"custom":["Nanum Gothic","Nanum Barun Gothic"]}

 

찟따 위-티 ㅡ 감각 입력의 처리

 

원문: Abhidhamma 섹션의 ‘Citta Vithi – Processing of Sense Inputs’ 포스트

- 2018년 4월 26일 개정; 2019년 10월 17일 개정; 2021년 8월 9일 개정; 2022년 8월 31일 개정; 2023년 1월 28일 재작성(특히, #15)

 

소개

 

1. 생각(찟따, citta)은 개별적으로 일어나지 않습니다. ‘아비담마’ 섹션의 ‘필수 아비담마 ㅡ 기본(Essential Abhidhamma – The Basics)’ 서브섹션을 참조하세요. 그것들은 6가지 감각을 통해 감각 입력으로 인한 마음에 일어납니다. 그것들은 눈, 귀, 코, 혀, 및 몸에 각각 대응하는 ‘짝쿠_cakkhu’, ‘소-따_sōta’, ‘가-나_ghāna’, ‘지와-_jivhā’, 및 ‘까-야_kāya’ 인드리야(indriya)와, 마나 인드리야(mana indriya) (뇌에 위치함, ‘뇌 ㅡ 마음과 몸 사이의 인터페이스’ 포스트 참조)입니다.

 

  • * 5가지 육체 감각 중의 하나를 통한 감각 입력은 17개의 찟따(citta)로 된 찟따 위-티(citta vīthi)(찟따 시리즈) 내에서 마음에 의해 받아들여지고 분석됩니다. 그것들을 빤짜드와-라 찟따 위-티(pañcadvāra citta vīthi)입니다. 빤짜드와-라(Pañcadvāra) (‘pañca’ + ‘dvāra’, 여기서 ‘pañca’는 5이고 ‘dvāra’는 문)는 ‘5가지 (육체적) 문’을 의미합니다. ‘마음이란 무엇인가? 어떻게 외부세계를 경험하는가?’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 * 위-티(vīthi)는 ‘veethi’로 발음됩니다. 그것은 도로처럼 흐름이 연속적이기 때문에 ‘도로’를 의미합니다. 찟따(citta)는 ‘chiththā’로 발음됩니다.

  • * 그것은 빠알리 낱말의 철자 규칙은 ‘표준 영어(standard English)’와는 다르기 때문입니다. “초기 유럽 학자들이 채택한 '띠삐따까 영어' 규약 ㅡ 제1부”와,  “초기 유럽 학자들이 채택한 '띠삐따까 영어' 규약 ㅡ 제2부”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 * 빤짜드와-라 찟따 위-티(pañcadvāra citta vīthi)는 항상 17개의 찟따(citta)를 가지는 반면에, 마노-드와-라 찟따 위-티(manōdvāra citta vīthi)는 보통 그것에 10-12개의 찟따(citta)를 가집니다.

 

빤짜드와-라 찟따 위티

 

빤짜드와-라 찟따 위-티(pañcadvāra citta vīthi)에서 찟따(citta)의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빤짜드와-라 찟따 위티

 

시리즈 

번호

찟따 유형

기호

1

아띠-따 바왕가(Atīta Bhavanga) (바왕가 지나감)

AB

2

바왕가 짤라나(Bhavanga Calana) (바왕가 흔들림)

BC

3

바왕가 우빳쩨다(Bhavanga Upaccheda) (바왕가 차단)

BU

4

빤짜드와라왓자나(Pancadvaravajjana) (오문 전향 의식)

PD

5

짝쿠 윈냐나(Cakkhu Vinnana) (안문 감지 의식) - 하나의 예임

CV

6

삼빠띳차나(Sampaticchana) (받아들임 의식)

Sam

7

산띠라나(Santīrana) (조사 의식)

San

8

옷타빠나(Votthapana) (결정 의식)

V

9-15

자와나(Javana)

J

16, 17

따다-람마나(Tadārammana) (등록 의식)

T

 

2.  마음이 빤짜드와-라 찟따 위-티(pañcadvāra citta vīthi) 또는 마노-드와-라 찟따 위-티(manōdvāra citta vīthi)를 처리하고 있지 않을 때, 그것은 바왕가(bhavaṅga)라고 하는 ‘휴면 상태’에 있습니다. 바왕가(Bhavaṅga)는 ‘바와(bhava)’ + ‘앙가(aṅga)’로 합성된 말이며, 여기서 ‘앙가(aṅga)’는 ‘~의 일부(부분)’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바왕가(Bhavaṅga)는 유정체의 특별한 ‘바와(bhava)’를 나타내며, 이 경우에는 ‘인간 바와(human bhava)’를 나타냅니다. [바왕가에 대한] 전통적인 영어 용어는 ‘life continuum’(생명 연속/연속체)이지만, 여기서는 바왕가(bhavaṅga)라고 하겠습니다.

 

 

..B B B B B B B B ………….

 

그러나, 바왕가 찟따(bhavaṅga citta)는 찟따 위티(citta vithi)내에서만 일어날 수 있습니다.

 

  • * 마음이 바왕가(bhavaṅga) 상태에 있을 때, 우리는 아무것도 ‘느끼지’ 못합니다. 눈이 그 자체를 볼 수 없는 것처럼, 바왕가 상태에 있는 마음은 ‘그 자체를 볼’ 수 없습니다. 이 상태는 감각 입력 사이의 ‘휴면 상태’입니다. 사람이 깊은 잠을 자고 있거나 의식을 잃었을 때, 그 마음은 완전히 바왕가(bhavaṅga) 상태에 있습니다.

  • * 마음은 대체로 바왕가(bhavaṅga) 상태에 있습니다. 관심 대상이 5가지 육체 감각(‘짝쿠_cakkhu’, ‘소-따_sōta’, ‘가-나_ghāna’, ‘지와-_jivhā’, 및 ‘까-야_kāya’ 인드리야_indriya) 중 하나를 통해 들어 오면, 마음은 바왕가(bhavaṅga) 상태에서 벗어납니다. ‘마나 인드리야(mana indriya)’를 통해 들어오는 ‘담마-(dhammā)’도 그렇게(마음을 바왕가 상태에서 벗어나게) 할 수 있습니다.

  • * 나중에 보게 되겠지만, 마음이 매우 활동적인 상태에 있다고 느껴지더라도 대부분의 경우 바왕가(bhavaṅga) (B) 상태에 있습니다. 영화를 보는 동안에도, 마음은 주로 바왕가(bhavaṅga) 상태(다양한 유형의 ‘마노-드와-라_manōdvāra’와 ‘빤짜드와-라_pañcadvāra’ 찟따 위티 사이)에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의 뇌는 영화의 광경(시각 대상)과 소리를 빠른 속도로 분석해야 하기 때문에 한계까지(극도로) 스트레스를 받습니다. ‘시각은 일련의 스냅사진 - 영화 비유’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3. 위의 표에서 빤짜드와-라 찟따 위-티(pañcadvāra citta vīthi)를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B B B B B “AB BC BU PD CV Sam San V J J J J J J J T T” BT BT BT BT…..

 

이것은 가장 강한 찟따 위-티(citta vīthi)라는 것에 주목하세요. 이 찟따 위-티(citta vīthi)에는 많은 변형이 있는데, 어떤 것은 T 또는 J 찟따(citta)도 없습니다. 다양한 유형의 빤짜드와-라 찟따 위-티(pañcadvāra citta vīthi)는 빅쿠 보디(Bhikkhu Bodhi)의 ‘A Comprehensive Manual of Abhidhamma(2000년)’에 자세히 논의되어 있습니다.

 

  • * 위의 경우에, 강한 감각 입력으로 인해 바왕가(bhavaṅga)가 일시적으로 BT로 변경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찟따 위티가 없는 마음 상태 ㅡ 바왕가’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 * 위의 예에서, 우리는 ‘짝쿠 윈냐-나(cakkhu viññāna) 사건을, 즉 ‘눈 인드리야(eye indriya)’를 통해 마음에 그림(이미지)이 떠오르고 마음이 그 그림을 조사할 때 일어나는 것을 예로 들었습니다.

  • * 먼저, 마음이 ‘바왕가(bhavaṅga) 상태’에서 벗어나는데, AB(atita bhavaṅga, 아띠따 바왕가), BC(bhavaṅga calana, 바왕가 짤라나), BU(bhavaṅga upaccheda, 바왕가 우빳쩨다)라는 3개의 생각 순간이 필요합니다. 여기서 ‘아띠따(atita) 또는 ‘아티-타(atheetha)’는 ‘과거/지나간’을 뜻하고, ‘짤라나(calana)’ (‘chalana’로 발음됨)는 ‘움직임’ 또는 ‘진동함’을 뜻하며, ‘우빳쩨다(upaccheda)’ 또는 ‘우빠취체-다(upachchéda)’는 ‘멈춤’ 또는 끊어짐’을 뜻합니다.

  • * 그 다음, 마음은 ‘5가지 육체 감각, 즉 빤짜드와-라(pañcadvāra)(PD)를 바라보고, 5가지 감각 입력 중의 어느 것을 통해 그것이 오는지를 알아낸 다음, 관련된 문을 선택합니다. 여기 이 경우에, 우리는 짝쿠 윈냐-나(cakkhu viññāna)(CV)라고 가정했습니다.

  • * 그 다음, 삼빠띳차나 찟따(sampaṭicchana citta)로 그 그림(이미지)을 (받아들여) 무엇인지 알아보고, 산띠라나 찟따(santirana citta)로 (조사하여) 그 그림(이미지)이 어떤 유형인지(좋아하고, 싫어하고, 등)를 판단합니다. 그것들을 바탕으로 옷타빠나(votthapana)(V) 찟따가 어떤 행위를 할 것인지 확정합니다(결정짓습니다).

 

4. 찟따 니야마(citta niyama) (찟따의 법칙)에 따라, 빤짜드와라 찟따 위-티(pañcadvāra citta vīthi)는 항상 17개의 찟따를 가집니다. 높은 관심이 있는 대상에 대해서는 자와나 찟따(javana citta)가 있는 아띠마한따-람마나 찟따 위-티, atimahantārammana citta vīthi)가 일어납니다. 예를 들어, 시각 대상인 경우, 그 시각 대상에 높은 관심이 있으며 그 대상을 보기 위한 빛 조건이 좋습니다.

 

  • * ‘높은 관심’이 있는 그런 경우에, 매우 중요한 7개의 자와나 찟따(javana citta)가 옷타빠나 찟따(votthapana citta)로 만들어진 결정에 기반하여 일어납니다. 강력한 깜마는 자와나 찟따로 행해집니다.  ‘찟따의 자와나 ㅡ 정신력의 근원’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5. 마지막 두 개의 따다-람마나(Tadārammana, T) 찟따(citta)에서, 마음은 감각 대상의 ‘맛’ 또는 ‘에센스’을 맛봅니다(음미합니다). 그러면, 빤짜드와-라 찟따 위-티(pañcadvāra citta vīthi)가 종료되고, 바왕가(bhavaṅga ) 상태로 돌아갑니다. 매우 강한 (atimahāntārammana, 아띠마한-따-람마나) 찟따 위-티(citta vīthi)에만 그것(따다-람마나, T)이 있으며, 그런 강한 인상은 얼마 동안 ‘그 기억이 (드러나게) 유지됩니다’(즉, 바로 잊지는 않습니다).

 

  • * 그 ‘일시적(드러나는) 기억’이 없어질 때까지, 그것은 자신의 ’일시적 바왕가(temporary bhavaṅga)’가 됩니다. 예를 들어, 부모의 죽음에 대해 듣게 되면, 슬퍼하게 되고, 그 ‘슬픈 마음 상태’는 며칠 동안 계속될 것입니다.

  • * 그것에 대한 논의는 ‘찟따 위티가 없는 마음 상태 ㅡ 바왕가’ 및 ‘바와와 바왕가 - 알기 쉽게 설명됨!’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 * 물론, 모든 사건/일은 나-마곳따(nāmagotta)로 기록됩니다. 중요하지 않은 사건/일도 기록됩니다. 사건/일을 상기하는 능력은 각자의 역량/자질에 따라 다릅니다. 때로는, 평범한 사람에게도 그런 제한된 역량이 뿐냐 잇디(puñña iddhi)로 인해 가능합니다. ‘끊기지 않은 기억 기록(HSAM)에 대한 최근 증거’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망고를 맛보는 비유

 

6. 빤짜드와-라 찟따 위-티(pañcadvāra citta vīthi)는 마음이 외부 대상(시각 대상/광경, 소리, 맛 등)을 경험하는 절차/순서입니다. 다음 비유는 띠삐따까(Tipiṭaka)에 대한 일부 주석서에 있습니다.

 

  • * 지친 여행자가 망고 나무 아래에서 잠들어 있다고 가정해 보세요. 이 잠자는 상태는 ‘바왕가(bhavaṅga) 상태와 비슷합니다. 이제 잘 익은 망고가 [자고 있는] 여행자 가까이에 떨어집니다. 이 사건은 ‘눈의 문’에 매우 강한 강도의 시각 대상이 들어오는 것과 비슷합니다.

  • * 망고가 떨어져 여행자를 깨우고 고개를 들게 합니다. 이 사건(망고가 떨어지는 것)은 ‘눈의 문’에 시각 대상이 나타나는 것과 비슷하며, 바왕가(bhavaṅga)가 두 번 진동하고 그리고 끊어지게 합니다. 이제 그는 더 이상 잠들지 않습니다.

  • * 여행자는 눈을 뜨고 주위를 둘러 보며 그 교란에 대해 알아 봅니다. 그것은 마음이 감각 대상으로 주의를 돌리는(전향하는) 빤짜드와-라왓자나(pañcadvāravajjana, PD) 찟따(citta)와 비슷합니다.

 

7. 여행자는 떨어진 망고를 봅니다. 이것은 대상을 보는 눈 의식(CV)과 비슷합니다. 이제 그는 망고를 집어드는데, 이것은 짝쿠 윈냐-나(cakkhu viññāna)를 받아들이는 삼빠띳차나(sampaṭicchana, Sam) 찟따(citta)와 비슷합니다. 그런데, 삼빠띳차나(Sampaṭicchana)는 ‘산(san)’ + ‘빠딧짜(paṭicca)’에서 유래하였습니다. 기본 개념을 얻기 위해 이것에 대해 숙고해보면 좋습니다. ‘산(san)이란 무엇인가? 상사-라(삼사-라)의 의미’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 * 그 다음, 그는 망고가 먹기에 적합한지 검사합니다. 이것은 감각 대상을 조사하는 산띠라나 찟따(santirana citta) ( ‘san’ + ‘tirana’, 또는 ‘theerana, 여기서 ‘theerana’는 ‘감각 대상이 좋은지 나쁜지 조사/판단하는 것’을 의미함)와 비슷합니다.

  • * 그 다음, 그는 망고가 좋고 먹을 수 있다고 결정짓습니다. 그것은 옷탓빠나(votthapana)와 비슷합니다. ‘옷타(vottha)’ + ‘빠나(pana)’는 ‘무엇을 할 지 결정하는’ 것을 의미하며, 싱할라어로는 ‘පණ දෙනවා’(energize, 활기를 불어넣다/기운을 돋우다)를 의미합니다. 옷타빠나(votthapana)는 ‘voththapana’로 발음됩니다. 그것이 썩은 망고라면, 버릴 것입니다.

  • * 싱할라어(Sinhala)를 이해한다면, 빠알리어(Pāli)를 이해하는 것이 더 쉽습니다. 언급했듯이, 싱할라어는 빠알리어(Pāli)에 가까우며 산스끄리뜨어(Sanskrit)가 아닙니다.

 

8. 그는 망고를 일곱 번 물어, 먹고 맛을 즐깁니다. 그것은 감각 대상의 맛을 즐기는 7개의 자와나 찟따(javana cittā)와 비슷합니다. 이것들(7개의 자와나 찟따)이 ‘옷타빠나 찟따(votthapana citta)로 내린 결정에 따른 행위’입니다. 망고가 맞이 좋지 않다면, 마음은 망고를 버리기 위해 적절한 자와나 찟따(javana citta)를 생성합니다. 그런 복잡한 과정은 나중에 논의하겠습니다.

 

  • * 그 다음, 그는 잇빨에 붙어 있는 과일의 잔재와 즙을 혀로 모아서 두 번 삼킵니다. 그것은 자와나 찟따(javana citta)의 다음에 오는 두 개의 따다-람마나(tadārammana, T) 찟따(citta)와 유사합니다.

  • * 이 과정이 완료되면, 그는 다시 잠이 듭니다. 그것은 바왕가(bhavaṅga) 상태가 재개되는 것과 비슷합니다.

 

세 번의 마노-드와-라 찟따 위티는 각 빤짜드와-라 찟따 위-티에 따라온다

 

9. 띠삐따까(Tipiṭaka, 삼장)에 따르면, 각 빤짜드와-라 찟따 위-티(pañcadvāra citta vīthi)의 다음에는, 세 번의 마노-드와-라 찟따 위-티(manōdvāra citta vīthi)가 따라 옵니다. 그 세 번의 찟따 위-티(citta vīthi)의 자와나 찟따(javana citta)는 점점 강해지고, 마지막 마노-드와-라 찟따 위-티(manōdvāra citta vīthi)의 자와나 찟따(javana citta)는 뇌에 지시하여 육체가 행동하게(그리고 말하기 시작하게) 합니다.

 

  • * 이에 대해서는 향후 포스트에서 자세히 논의하겠습니다. 그러나 빤짜드와-라 찟따 위-티(pañcadvāra citta vīthi)에 의해 시작된 사고(생각) 과정의 연속을 완성하는 데는, 세 번의 마노-드와-라 찟따 위-티(manōdvāra citta vīthi)가 더 필요합니다. 사람이 ‘몰입(몰두)’할 때(예를 들어, 끌리는 그림을 계속 보는 경우), 그 사이에는 반복적으로 바왕가(bhavaṅga) 상태로 되돌아가는 마음으로 그런 수많은 그런 ‘1 + 3 과정’[한 번의 빤짜드와-라 찟따 위-티에 세 번의 마노-드와라 찟따 위-티가 따르는 과정]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 * 우리가 대상을 볼 때 무엇이 일어나는지를 예를 들어, 과학적 측면에서 이해하면, 이 과정을 시각화하기가 더 쉬워집니다. ‘찟따와 쩨따시까 ㅡ 윈냐-나가 일어나는 방법’ 포스트(특히, #4부터 시작하여)를 참조하세요.

 

이제 전형적인 마노-드와-라 찟따 위-티(manōdvāra citta vīthi)를 살펴 보겠습니다. 

 

마노-드와-라 찟따 위티

 

마노-드와-라 찟따 위티

 

시리즈 번호

찟따 유형

기호

1

바왕가 짤라나(Bhavanga Calana) (바왕가 흔들림)

BC

2

바왕가 우빳쩨다(Bhavanga Upaccheda) (바왕가 차단)

BU

3

마노드와라왓자나(Manodvaravajjana) (의문 전향 의식)

MD

4-10

자와나(Javana)

J

11, 12

따다-람마나(Tadārammana) (등록 의식)

T

 

10. 위의 표에서 마노-드와-라 찟따 위-티(manōdvāra citta vīthi)를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B B B B B “BC BU MD J J J J J J J T T” B B B B B…..

 

  • * 여기서 ‘바왕가(bhavaṅga) 상태’에서 벗어나는 데는 단지 두 번의 생각 순간이 필요합니다. 즉, BC (bhavaṅga calana, 바왕가 짤라나), BU (bhavaṅga upaccheda, 바왕가 우빳쩨다) 생각 순간입니다.

  • * 마음은 이미 아-람마나(ārammana, 생각 대상)를 알고 있습니다.

  • * 마노-드와-라 찟따(manōdvāra citta, MD)는 [‘빤짜드와-라 찟따 위-티’에서] 결정이 내려지는 옷타빠나 찟따(votthapana citta)와 동일합니다.

  • * 그 다음, 7개의 자와나 찟따(javana citta)가 일어나고, 찟따 위-티(citta vīthi)는 두 개의 따다-람마나(Tadārammana, T) 찟따(citta)로 끝납니다.

  • * 빤짜드와-라 찟따 위-티(pañcadvāra citta vīthi)의 경우처럼, 우리는 또한 높은 강도의 대상을 예로 들었습니다. 필요에 따라, 낮은 강도의 신호를 처리할 때의 변형에 대해 논의할 것입니다. 그러나, 이 논의만으로, 두 가지 유형의 찟따 위-티(citta vīthi)가 인식(인지) 과정에서 어떻게 작용(기능)하는지 이해하기에 충분합니다.

 

11. 이제, 우리는 빤짜드와-라 찟따 위-티(pañcadvāra citta vīthi)로 시작된 감각 사건에 대한 완전한 찟따(citta) 시퀀스(순서)를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B B B B B “AB BC BU PD CV Sam San V J J J J J J J T T MD J J J J J J J T T MD J J J J J J J T T MD J J J J J J J T T ” B B B B B…..

 

  • * 위에서 언급했듯이, 3개의 마노-드와-라 찟따 위-티(manōdvāra citta vīthi)는 초기 빤짜드와-라 찟따 위-티(pañcadvāra citta vīthi)에 이어서 실행됩니다. 대상은 4개의 찟따 위-티(citta vīthi) 후에만 인식됩니다. 그러나, 그것은 10억분의 1초 내에 일어난다.

 

12. 반대로, 마노-드와-라 찟따 위-티(manōdvāra citta vīthi)는 [‘빤짜드와-라 찟따 위-티’가 없이] 스스로 일어날 수 있습니다.

 

  • * 더욱이, 마노-드와-라 찟따 위-티(manōdvāra citta vīthi)의 길이는 보통 사람들의 경우에 일반적으로 12개의 찟따(citta)이지만, 자-나(jhāna)에 있는 동안에는 단일(단 하나)의 마노-드와-라 찟따 위-티(manōdvāra citta vīthi) 안에 많은 자와나 찟따(javana citta)가 있을 수 있습니다.

  • * 자-나(jhāna)에서, 그런 긴 마노-드와-라 찟따 위-티(manōdvāra citta vīthi)는 그 사이에 일어나는 빤짜드와-라 찟따 위-티(pañcadvāra citta vīthi)에 의해 중단됩니다. 그것이 바로 자-나(jhāna)에 있는 동안에 외부 소리를 들을 수 있는 이유입니다.

 

13. 그러나 자-나 사마-빳띠(jhāna samāpatti)에서는, 처음에 결정한 만큼 오랫동안 계속해서 자와나 찟따(javana citta)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B B B B B “BC BU MD J J J J J J J J J J J...........

 

  • * 따라서, 그 사람은 그 시간 동안 외부 세계에서 무엇이 일어나는지를 알지 못합니다. [자-나 사마-빳띠에서는], 바왕가(bhavaṅga) 상태로 돌아가지 않으며, 또는 빤짜드와-라 찟따 위-티(pañcadvāra citta vīthi) 또는 다른 마노-드와-라 찟따 위-티(manōdvāra citta vīthi)가 일어나지 않습니다. 사마-빳띠(samāpatti)에 들어가기 전에, 그 사람은 사마-빳띠(samāpatti)에 얼마나 오래 머물지를 결정합니다.

  • * 자-나 사마-빳띠(jhāna samāpatti)에 들어갈 수 있는 사람은 자와나 찟따(javana citta)의 진짜 힘을 드러낼(나타낼/발휘할) 수 있습니다.

  • * 조잡한 비유: 사람이 성냥불로 (기름에 젖은 심지가 있는) 오일 램프에 불을 붙이려 한다고 가정해 보세요. 불붙은 성냥개비를 안정적으로 잡지 않고 심지 부근에 들락날락하면 [오일 램프의 심지에] 불이 붙지 않습니다. 그러나 불붙은 성냥개비를 흔들리지 않게 잡고 성냥불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면, 심지에 빠르게 불이 붙을 것입니다. 여기서, 마음은 그 자와나 찟따(javana citta)에 고정되어 있습니다! 

  • * 다음은 레이저를 잘 알고 있는 사람들을 위한 또다른 비유입니다. 우리는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금속판에 구멍을 뚫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레이저 빔이 그 지점에 안정적으로 유지되지 않는다면, 그 금속 지점이 가열되지 않고 구멍이 뚫리지 않습니다. 자-나 사마-빳띠(jhāna samāpatti)에 있다는 것은 레이저 빔을 한 지점에 오랫동안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과 같습니다.

 

막가 팔라 성취의 찟따 위티

 

B B B “BC BU MD P U A G Pa Fr Fr” B B B

 

B B B “BC BU MD U A G Pa Fr Fr Fr” B B B

 

14. 위의 첫 번째는 평범한/보통 사람에게 일어나는 막가 팔라 찟따 위-티(magga phala citta vīthi)고, 두 번째는 ‘더 높은 지혜’가 있는 사람에게 일어나는 막가 팔라 찟따 위-티(magga phala citta vīthi)입니다.

 

  • * B, BC, BU, MD는 위에서 논의한 바와 같습니다.

  • * 그 다음, 빠리깜마(Parikamma, P), 우빠짜라(Upacara, U), 아눌로마(Anuloma, A), 고뜨라부(Gotrabu, G), 도/막가(magga, Pa), 및 과/팔라(phala, Fr)를 거칩니다.

  • *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자-나(jhāna)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특히, 막가 팔라 찟따 위-티(magga phala citta vīthi)는 자-나 찟따(jhāna citta)를 거쳐 일어나지 않습니다. 또한, 막가 팔라(magga phala)의 고뜨라부(Gotrabu) (계보/계통 변경) 찟따(citta)는 자-나 찟따 위-티(jhāna citta vīthi)의 그것과는 완전히 다릅니다.

  • * 여기서 계보/계통의 변경은 아리야(Ariya), 즉 성자가 되는 것입니다.

  • * 아리야(Ariya)로 변화는 소-따빤나 팔라(Sōtapanna phala) 순간 이전부터, 즉 고뜨라부(Gotrabu, G) 순간에 일어납니다. 고뜨라(Gotra)는 ‘계보/계통’을 뜻하고, 고뜨라부(Gotrabu)는 ‘계보의 변경’입니다. 따라서 고뜨라부 찟따(Gotrabu citta)로 소-따빤나 아누가-미(Sōtapanna Anugāmi)가 됩니다.

 

자-나 성취의 찟따 위티

 

B B B “BC BU MD P U A G Jh” B B B

 

B B B “BC BU MD U A G Jh” B B B

 

15. 위 첫 번째는 평범한/보통 사람에게 일어나는 자-나 찟따 위-티(jhāna citta vīthi)고, 두 번째는 ‘더 높은 지혜’가 있는 사람에게 일어나는 자-나 찟따 위-티(jhāna citta vīthi)입니다.

 

  • * B, BC, BU, MD, P, U, A, G에 대한 설명은 위를 참조하세요.

  • * 그 다음, 자-나(Jhāna, Jh) 찟따(citta)를 거칩니다. 찟따 위티(citta vithi)에 있는 ‘Jh’ 찟따의 수는 수행실천에 따라 증가합니다.

  • * 그러나, 자-나(Jhāna)에 대한 고뜨라부(Gotrabu) (계보의 변경)는 막가 팔라(magga phala)와는 다릅니다.

  • * 아나리야 자-나(anariya jhāna)의 성취는 그것이 루빠와짜라(rupavacara) 또는 아루빠와짜라(arupavacara) 자-나(jhāna)인가에 따라  뿐냐-비상카-라 (puññābhisaṅkhāra) 또는 아-넨자-비상카-라 (āneñjābhisaṅkhāra)입니다. 그것들은 ‘아윗자- 빳짜야- 상카-라(avijjā paccayā saṅkhāra)’로 시작하는 ‘아꾸살라ㅡ물라 빠띳짜 사뭅빠-다(Akusala-Mula Paṭicca Samuppāda)를 통해 생깁니다.

  • * 그러므로, 이 성취는 브라흐마 영역에 태어나는 것으로 이어지지만, 그 수행자는 항상 인간 영역으로 돌아와서, 그후 미래에 아빠야(사악처)에 여전히 태어날 가능성이 있습니다. ‘재탄생은 아비상카-라에 따라 일어난다’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빠리깜마, 우빠짜-라, 아눌로마, 및 고뜨라부

 

16. 막가 팔라(magga phala) 또는 자-나(Jhāna)에 이르는 것은 단일 단계로 일어나지 않습니다. 먼저 빠리깜마(parikamma) 단계에 들어가서 한동안 거기에 머물 수 있습니다. 고뜨라부(gotrabu) 단계에 이를 때까지 다른 단계들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입니다. 고뜨라부 단계에서 그 변화는 영구적인데, 그것이 계보의 변경입니다

 

  • * 중간 단계인 빠리깜마(parikamma), 우빠짜-라(upacāra), 및 아눌로마(anuloma)는 준비, 근접/접근, 및 ‘계보의 변경에 가까이 감(수순)’으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google":["PT Serif"],"custom":["Nanum Gothic","Noto Sans KR"]}{"google":["PT Serif"],"custom":["Nanum Gothic","Noto Sans KR","Nanum Barun Gothic"]}
{"google":["Noto Sans KR"],"custom":["Nanum Goth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