퓨어 담마(Pure Dhamma)

붓다의 진정한 가르침을 회복하기 위한 탐구


{"google":["PT Serif","Noto Sans KR"],"custom":["Nanum Gothic","Nanum Barun Gothic"]}

 

바와 ㅡ 존재를 작동시킬 수 있는 업 에너지

 

원문: Paṭicca Samuppāda 섹션의 ‘Bhava – Kammic Energy That Can Power an Existence’ 포스트

- 2021년 3월 21일 작성; 2021년 3월 27일 개정; 2022년 5월 31일 개정; 2022년 8월 31일 개정(특히, #4)

 

바와(bhava)는 마음이 만든 업 에너지입니다. 그것은 까-마 바와(kāma bhava), 루빠 바와(rupa bhava), 또는 아루빠 바와(arupa bhava)로 새로운 존재를 작동시킬 수 있습니다. 붓다(Buddha)는 ‘바와(bhava)를 멈추다’(bhava + uddha)라는 의미입니다.

 

바와(업 에너지)를 움켜잡는 것은 그 바와에서 자띠(태어남)로 이어진다 

 

1. 자-띠(jāti), 즉 태어남에는 여러 유형이 있습니다. ‘자-띠 ㅡ 여러 다양한 유형의 태어남’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 * 원인 없이 그리고 충분한 에너지가 없이는 아무 것도 일어날 수 없습니다. 모든 태어남은 업 에너지가 그 태어남을 지탱/유지할 수 있어야만 일어날 수 있습니다. 다른 유형의 에너지는 다른 유형의 태어남을 지탱/유지할 수 있습니다.

  • * 바와(bhava)의 세 가지 주된 유형은 까-마 로까(kāma loka), 루빠 로까(rupa loka), 또는 아루빠 로까(arupa loka)에 존재를 지탱/유지할 수 있는 업 에너지를 나타냅니다. 붓다께서는 빠타마바와 숫따( ‘Paṭhamabhava Sutta (AN 3.76)’ )에서 그것을 아난다(Ananda) 존자에게 설명하셨습니다. 아난다 존자는 붓다께 “부처님, 그들은 바와(bhava)라고 하는 이것에 대해 말합니다. 바와(bhava)는 어떻게 정의됩니까?”라고 여쭈었습니다. 

  • * 알다시피, 이 세상의 모든 31가지 영역은 세 가지 범주, 즉 11가지 영역의 까-마 로까(kāma loka), 16가지 영역의 루빠 로까(rupa loka), 및 4가지 영역의 아루빠 로까(arupa loka)로 나눌 수 있습니다. ‘지구와 관련된 31 존재계’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 * 그 세 가지 범주 내의 존재는 까-마 바와(kāma bhava), 루빠 바와(rupa bhava), 및 아루빠 바와(arupa bhava)에 의해  살아갑니다. 우리는 아래에서 세 가지의 서로 다른 유형의 에너지가 마음에 의해 생성된다는 것을 알 것입니다.

 

까-마 로까에 태어나는데 필요한 까-마 바와

 

2. 붓다께서는 까-마 바와(kāma bhava)를 “Kāmadhātuvepakkañca, ānanda, kammaṁ nābhavissa, api nu kho kāmabhavo paññāyethā’ti?”로 설명하셨습니다.

 

번역: “아난다여, 욕계(까-마다-뚜웨빡깐짜, kāmadhātuvepakkañca 또는 kāma dhātuve pakkañca)에 확립된 업 에너지가 들어가지 않으면(나-바윗사, nābhavissa 또는 na abhavissa),  감각 영역에 존재(까-마 바오, kāma bhavo)가 태어날 수 있겠는가?”

 

  • * 아난다 존자는 그럴 수 없다고 대답했습니다. 까-마 로까(kāma loka, 욕계)의 11가지 영역 중 어느 곳에 태어나려면, 그런 적절한 유형의 에너지가 육성되어야 하고, 그 다음 까-마 로까(kāma loka)에 태어나기 시작하도록 움켜 잡아져야 합니다.

  • * 물론, 까-마 로까(kāma loka)의 11가지 영역에 태어나게 하는 다양한 종류의 업 에너지가 있습니다.

  • * 그러나 그것들 모두에는 한 가지 공통점이 있는데, 여섯 가지 감각 모두, 특히 다섯 가지 육체적 감각과 관련된 감각적 경험을 갈망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그 용어가 ‘빤짜 까-마(pañca kāma)’, 즉 ‘5가지 종류의 까-마(kāma)’입니다.

  • * 6가지 데와(천신) 영역의 데와(Deva)는 인간보다 조밀도가 낮은 몸을 지니고 있다는 것에 주목하세요. 그러나 그들은 여전히 모든 5가지 육체적 감각 입력을 경험하는 데 충분한 조밀도의 몸을 지니고 있습니다.

 

루빠 로까(색계)에 태어나는데 필요한 루빠 바와

 

3. 위와 동일한 방식으로, 붓다께서는 루빠 바와(rupa bhava)를 “Rūpadhātuvepakkañca, ānanda, kammaṁ nābhavissa, api nu kho rūpabhavo paññāyethā’ti?”로 설명하셨습니다.

 

번역: “아난다여, 색계(루빠다-뚜웨빡깐짜, rupadhātuvepakkañca 또는 rupa dhātuve pakkañca)에 확립된 업 에너지가 들어가지 않으면(나-바윗사, nābhavissa 또는 na abhavissa),  루빠 영역에 존재(루빠 바오, rupa bhavo)가 태어날 수 있겠는가?” 아닙니다.

 

  • * 그러므로, 루빠 로까(rupa loka)에 속하는 16가지 루빠-와짜라 브라흐마(rupāvacara Brahma) 영역 중의 하나에 태어나기 위해서는 필요한 종류의 에너지를 육성해야 합니다. 그런 에너지는 루빠-와짜라 자-나(rupāvacara jhāna, 색계 선정)와 함께 생성됩니다.

  • * 루빠-와짜라 자-나(rupāvacara jhāna)를 기르기 위해서는 빤짜 까-마(pañca kāma) 중의 가장 강한 것에 대한 갈망, 즉 육체와 관련된 그 감각 경험에 대한 갈망을 포기해야 합니다. 그것들은 냄새, 맛, 및 신체 감촉과 관련된 것입니다.

  • * 그렇기 때문에 루빠-와짜라 브라흐마(rupāvacara Brahma, 색계 범천)에는 육체적 몸이 없습니다. 그 브라흐마(범천)는 시각 대상과 소리만으로 만족합니다.

  • * 냄새, 맛, 및 신체 감촉이 필요하지 않다면, 육체적 몸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루빠-와짜라 브라흐마(rupāvacara Brahma, 색계 범천)는 마노마야 까-야(manomaya kāya), 즉 ‘정신적 몸’만 지니고 있습니다.

  • * 알다시피, 인간 간답바(human gandhabba)는 육체에서 나온 후에도 여전히 보고 들을 수 있습니다. 눈과 귀가 있는 육체는 보고 듣는 데 필요하지 않습니다. 보기와 듣기에는 (마노마야 까-야에 있는) 짝쿠 빠사-다 루빠(cakkhu pasāda rupa)와 소따 빠사-다 루빠(sota pasāda rupa)만 필요합니다. ‘정신적 몸과 물질적 몸’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아루빠 로까에 태어나는데 필요한 아루빠 바와

 

4. 예상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붓다께서는 아루빠 바와(arupa bhava)를 “Arūpadhātuvepakkañca, ānanda, kammaṁ nābhavissa, api nu kho arūpabhavo paññāyethā’ti?”로 설명하셨습니다.

 

번역: “아난다여, 무색계(아루빠다-뚜웨빡깐짜, arupadhātuvepakkañca 또는 arupa dhātuve pakkañca)에 확립된 업 에너지가 들어가지 않으면(나-바윗사, nābhavissa 또는 na abhavissa),  아루빠 영역에 존재(아루빠 바오, arupa bhavo)가 태어날 수 있겠는가?” 아닙니다.

 

  • * 그러므로, 아루빠 로까(rupa loka)에 속하는 4가지 아루빠-와짜라 브라흐마(arupāvacara Brahma) 영역 중의 하나에 태어나기 위해서는 아루빠 바와(arupa bhava)와 관련된 필요한 에너지를 육성해야 합니다. 그런 에너지는 아루빠-와짜라 사마-빳띠, arupāvacara samāpatti)와 함께 생성됩니다.

  • * 아루빠-와짜라 사마-빳띠(arupāvacara samāpatti)를 기르기 위해서는 모든 빤짜 까-마(pañca kāma)에 대한 갈망을 포기해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루빠-와짜라 브라흐마(arupāvacara Brahma, 무색계 범천)에는 어떤 빠사-다 루빠(pasāda rupa)도 없습니다. 그 브라흐마에는 마노마야 까-야(manomaya kāya, 정신적 몸)에 하다야 왓투(hadaya vatthu)만 있습니다. 그들은 보지도 듣지도 못합니다. 그들은 생각만 할 수 있습니다.

  • * 따라서 아루빠-와짜라 브라흐마(arupāvacara Brahma, 무색계 범천) 영역에 있는 유일한 ‘물질(루빠)’은 그 브라흐마(범천)의 하다야 왓투(hadaya vatthu)에 있는 숫닷-타까(suddhāṭṭhaka)입니다.

  • * 위의 요약된 설명으로부터 어떤 경향을 알 수 있습니다. 이제 그것에 대해 논의해 보겠습니다.

 

‘괴로움의 레벨’은 ‘물질이 감소함’과 함께 감소한다

 

5. 일반적으로 ‘고통/괴로움의 정도’는 ‘물질(루빠)의 감소’와 함께 감소합니다. 우리는 6가지 감각을 모두 갖춘 감각 경험이 까-마 로까(kāma loka, 욕계)의 11가지 영역에서만 가능하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그곳은 가장 고통스러운 곳이기도 합니다! ‘조밀도가 낮은 몸’을 지닌 데와(Deva) 영역의 존재는 모든 6가지 감각으로 최적의 감각적 즐거움을 누리는 반면, 사악처(apāyā, 아빠-야-)의 존재는 가장 높은 괴로움/고통을 당합니다. 그 중간의 인간계의 인간은 즐거움도 누리고 괴로움도 당합니다.

 

  • * 물론, 빤짜 까-마(pañca kāma, 5가지 감각욕) 즐거움은 까-마 로까(kāma loka, 욕계)에서만 가능합니다. 그것들은 신체 접촉, 맛, 냄새, 시각 대상, 및 소리를 통한 감각 즐거움을 포함합니다. 처음 세 가지 유형의 감각 경험을 즐기기 위해서는 ‘밀접한 접촉’을 하는 조밀한 몸을 필요로 합니다. 그러나 아래에서 논의하는 것과 같이, 거기에는 ‘지불해야 할 대가’가 있습니다.

  • * 더욱이, 루빠-와짜라 자-나(rupāvacara jhāna, 색계 선정)(‘아리야_Ariya’ 또는 ‘아나리야_anariya’ 자-나/선정)를 육성하는 사람들은 ‘자-나/선정의 즐거움’이 ‘빤짜 까-마(pañca kāma, 감각욕)의 즐거움’보다 훨씬 더 좋고 오래 지속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 루빠-와짜라 자-나(rupāvacara jhāna, 색계 선정)는 처음(하위) 4가지 자-나(선정)입니다. 만일 어떤 사람이 더 높은 자-나(선정) 상태에 계속 올라가면, 그들은 더 높은 4가지 아루빠-와짜라 사마-빳띠(arupāvacara samāpatti)가 루빠-와짜라 자-나(rupāvacara jhāna, 색계 선정)보다 더 낫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 그렇기 때문에 자-나(선정)(또는 사마-빳띠)를 육성한 사람들은 ‘감각 접촉’과 관련된 스트레스가 있음을 더 쉽게 알 수 있습니다. 가까운(밀접한) 접촉일수록 스트레스 정도가 더 강해집니다.

  • * 그러나, 이 ‘규칙’에는 일부 예외가 있습니다. 그 경향(규칙)은 인간 영역 위의 영역에서는 잘 맞지만, 사악처에서는 예외가 있습니다. 특히, 일부 뻬따(아귀)는 미묘한(조밀하지 않은) 몸을 지니고 있습니다.

 

감각 접촉이 감소함과 함께 쿨링 다운(열 내림)이 증가한다

 

6. 결국, 감각 경험을 위한 더 많은 능력/기능(기관)을 가지면 어떤 즐거움보다 훨씬 더 많은 고통/괴로움이 내장됩니다. 후각, 미각, 촉각 능력은 조밀한 육체를 필요로 합니다. 그런 육체는 육체적 고통과 질병을 동반하고 부상을 당할 수 있습니다. 그런 결점/단점은 밀도가 가장 낮은 몸이 있는 데와(Deva) 영역에서 최소화됩니다. 그러나 까-마 로카(kāma loka)의 다른 영역에서, 특히 아빠-야-(apāyā)에서 그런 고통은 견딜 수 없을 정도로 클 수 있습니다.

 

  • * 그런 루빠-와짜라 자-나(rupāvacara jhāna, 색계 선정)를 육성하는 사람들은 이 삶 자체에서 이 ‘경감(안도감)’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더 높은 색계 선정을 향해 진전함에 따라 육체는 점점 덜 느껴집니다. 네번째 자-나(제4선정)에서는 육체를 전혀 느끼지 못합니다. 더욱이, 그런 색계 선정을 기른 사람들은 [선정이 깨지지 않았을 경우] 현재의 인간 몸이 죽을 때 반드시 루빠-와짜라 브라흐마(rupāvacara Brahma 색계 범천) 영역에 태어납니다.

  • * 네번째 자-나(제4선정)를 넘어서 더 높은 자-나(선정)에 들어갈 때, 사람들은 루빠-와짜라 자-나(rupāvacara jhāna, 색계 선정)에서도 스트레스가 있다는 것을 보기 시작합니다. 가장 높은 아루빠-와짜라 사마-빳띠(arupāvacara samāpatti)에 이르면 경감(안도감)은 훨씬 높아집니다. 가장 높은 아루빠-와짜라 사마-빳띠(arupāvacara samāpatti)에서 그 사람은 단지 자신이 살아 있다는 것만 느끼고 스트레스 레벨은 최소입니다. 그러나 아나리야 자-나(anariya jhāna, 평범한/세간 선정)에 있는 사람은 그 이상으로 나아갈 수 없으며 남아 있는 스트레스를 멈출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그 사람에게는 아직 아누사야(anusaya, 잠재하는 오염원)가 있기 때문입니다. 더욱이, 아누사야(anusaya)를 지닌 사람은 미래의 생에 아빠-야-(apāyā, 악처/사악처)에도 다시 태어날 수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아나리야 자-나(anariya jhāna)가 결국 무익한/쓸모없는 이유입니다. ‘사마-디, 자-나, 막가 팔라 - 소개’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 * 그러나 가장 높은 아루빠-와짜라 사마-빳띠(arupāvacara samāpatti)를 얻을 수 있는 아라한은 ‘삶을 완전히 멈추고’ ‘니로다 사마-빳띠(nirodha samāpatti, 멸진정/상수멸)에 들어갈 수 있습니다. 그것은 최대 7일 동안 지속될 수 있으며, 그 기간 동안 ‘완전한 열반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이 세상에서 웨다나 쩨따시까(vedana cetasika)로 묘사할 수 있는 경험이 아닙니다. 우리는 그것이 어떨지 전혀 모릅니다.

 

빠리닙바-나는 괴로움이 없는 곳이다

 

7. 아라한이 죽어서 빠리닙바-나(Parinibbāna)에 도달할 때, 고통은 고사하고 스트레스의 흔적도 남지 않습니다. 세 가지 존재계(까-마 바와, 루빠 바와, 아루빠 바와)는 모두 빠리닙바-나(Parinibbāna)에 없습니다!

 

  • * 이것이 ‘이 31영역의 세상’과 ‘빠리닙바-나(Parinibbāna)가 상호 배타적인 이유입니다. 사람은 오직 ‘이 세상’ 또는 ‘완전한 닙바-나(full Nibbāna)’ (빠리닙바-나, Parinibbāna)에만 존재할 수 있습니다.

  • * 아라한도 죽을 때까지 ‘이 세상’에 살고 깜마 위빠-까(kamma vipāka)로 인해 고통을 겪는다는 점에 주목하세요. 부처님께도 몇 가지 질병이 있었고, 목갈라나 존자(Ven. Moggallana)도 폭행을 당해서 돌아가셨습니다.

  • * 그러므로, 아라한도 ‘이 31영역의 세상’에 사는 한, 고통/괴로움을 겪습니다. 따라서 닙바-나(Nibbāna)는 아라한이 죽기 전까지는 완성되지 않습니다.

 

요약

 

8. 바와(Bhava)는 마음이 만든 업 에너지(kammic energy)입니다. 위에서, 우리는 이 31영역의 세상 내의 모든 탄생(자-띠, jāti)의 원인이 되는 세 가지 주된 유형의 바와(bhava)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 * 알다시피, 마음은 필요한 업 에너지를 생성합니다. 그것은 상응하는 자-나 찟따(jhāna citta)가 그 에너지를 생성하는 루빠 바와(rupa bhava)와 아루빠 바와(arupa bhava)의 경우에 아주 명확합니다.

  • * 까-마 바와(kāma bhava)와 관련된 에너지는 자와나 찟따(javana citta)에서도 생성됩니다. 그런 자와나 찟따(javana citta)는 우리가 강한 깜마(kamma)를 행할 때 일어납니다. 예를 들어, 니라야(niraya), 즉 지옥(최하위 영역)에 태어나는 연료를 공급하는 자와나 에너지(javana energy)는 살인을 하는 동안 살인자의 마음에서 생성됩니다.

  • * 이것이 바로 다양한 유형의 바와(bhava)가 다양한 유형의 깜마(kamma)와 관련되는 방식입니다. 자-나(jhāna)를 육성하는 것도 깜마의 한 유형입니다.

  • * 붓다(Buddha)는 ‘바와(bhava)를 멈추다’(bhava + uddha)라는 의미입니다. 부처님만이 우리가 축적한 다양한 종류의 바와(업 에너지)를 움켜잡는 것을 멈추어 미래의 모든 괴로움을 멈추는 방법을 알아낼 수 있습니다. 그래서 ‘붓다(Buddha)’는 모든 부처님들을 칭하는 공통 칭호입니다.

 

[관련된] 모든 포스트들은 이 서브섹션 ‘빠띳짜 사뭅빠-다 ㅡ 필수 개념(Paṭicca Samuppāda – Essential Concepts)’에 있습니다.

{"google":["PT Serif"],"custom":["Nanum Gothic","Noto Sans KR"]}{"google":["PT Serif"],"custom":["Nanum Gothic","Noto Sans KR","Nanum Barun Gothic"]}
{"google":["Noto Sans KR"],"custom":["Nanum Goth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