퓨어 담마(Pure Dhamma)

붓다의 참된 가르침을 회복하기 위한 탐구


{"type":"img","src":"https://cdn.quv.kr/f5120tiws%2Fup%2F5c9ef7f87c581_1920.png","height":80}
  • 붓다 담마
  • 주요 담마 개념
  • 리빙 담마
  • 방 안의 코끼리
  • 담마와 과학
  • 세 단계 실천
  • 빠띳짜 사뭅빠다(연기)
  • 자아가 있는가?
  • 바와나(명상)
  • 아비담마
  • 담마빠다(법구경)
  • 숫따(경) 해석
  • 붓다 담마ㅡ상급
  • 음성법문
  • JBM 법문-녹취
  • 원문 홈
  • {"google":["PT Serif"],"custom":["Nanum Gothic","Noto Sans KR","Nanum Barun Gothic"]}

     

    까-야-누빳사나- ㅡ  습관에 관한 섹션(삼빠자-나빱바)

     

    원문: Sutta Interpretation 섹션의 ‘Kāyānupassanā – The Section on Habits (Sampajanapabba)’ 포스트

    - 2019년 2월 8일 개정

     

    이것은 실제로 이전 포스트( ‘까-야-누빳사나- ㅡ  자세에 관한 섹션(이리야-빳타빱바)’ )에서 논의된 자세에 관한 섹션(이리야-빳타빱바_Iriyāpathapabba)의 확장이며 더 미세한 자세와 활동으로 들어가는 것입니다. 핵심 포인트는 궁극적으로 우리가 취하는 각각 모든 행위에 감수화(sensitized)되어 좋은 습관의 형성으로 이어지는 것, 즉 삼빠잔노-(sampajannō)가 되는 것입니다.

     

    1.  ‘더 큰 활동’으로 훈육(절제)이 되기 전에는 이 섹션을 시작할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재미로 동물을 죽이고 있다면, 개를 발로 차는 것에 대해 걱정(염려)해봐야 소용이(의미가) 없습니다.

     

    • * 큰 잘못(범계)을 하는 것을 삼가는 실천을 하면, 감수화(sensitized)되기, 즉 자신이 저지르려고 하는 작은 잘못(범계)를 보기 시작할 것입니다.

     

    2. 마하- 사띠빳타-나 숫따( ‘Mahā Satipaṭṭhāna Sutta, DN 22’ )의 삼빠자-나빱바(Sampajānapabba)에 대한 관련 단락은 다음과 같습니다.

     

    “뿐나 짜 빠랑, 빅카웨, 빅쿠 아빅깐떼 빠띡깐테 삼빠자-나까-리 호-띠, 알-로끼떼 윌로끼떼 삼빠자-나까-리 호-띠, 사민지떼 빠사-리떼 삼빠자-나까-리 호-띠, 상가-띠빳따찌와라다-라네 삼빠자-나까-리 호-띠, 아시떼 삐떼 코-이떼 사-이떼 삼빠자-나까-리 호-띠, 웃짜-라빳사-와깜메 삼빠자-나까-리 호-띠, 가떼 티떼 니신네 숫떼 자-가리떼 바-시떼 뚠히바-웨 삼빠자-나까-리 호-띠”.

    (“Puna ca param, bhikkhave, bhikkhu abhikkante patikkante sampajānakāri hōti, ālokité vilokité  sampajānakāri hōti, saminjité pasärite sampajānakāri hōti, sanghātipattacivaradhārane sampajānakāri hōti, asite pite khōyite sāyite sampajānakāri hōti, uccārapassāvakamme sampajānakāri hōti, gate thite nisinne sutte jägarite bhāsite tunhibhäve sampajānakāri hōti”.)

     

    여기, 글자 그대로 직역한 평범한(통념적) 번역(‘The Great Discourse on the Establishing of Awareness’)이 있습니다.

     

    • * “또, 빅쿠들이여, [수행하는] 빅쿠는 앞쪽으로 가거나 뒷쪽으로 가는 동안, 무상에 대해 한결같이 철저히 이해하면서 그렇게 한다. 그는 정면을 보든 옆을 보든, 무상에 대해 한결같이 철저히 이해하면서 그렇게 한다. 그는 구부리거나 뻗는 동안, 무상에 대해 한결같이 철저히 이해하면서 그렇게 한다. 그는 가사를 입든 발우를 들든, 무상에 대해 한결같이 철저히 이해하면서 그렇게 한다. 그는 먹든, 마시든, 씹거나 맛을 음미하든 무상에 대해 한결같이 철저히 이해하면서 그렇게 한다. 그는 용변(대소변)을 하는 동안, 무상에 대해 한결같이 철저히 이해하면서 그렇게 한다. 그는 걷거나, 서 있거나, 앉거나, 자거나 깨어나거나, 말하거나 침묵하거나, 무상에 대해 한결같이 철저히 이해하면서 그렇게 한다.”

     

    3. 따라서 위의 직역에서는 많은 가능한 ‘미세한 자세와 행위’를 볼 수 있는데, 이것은 타당합니다. 요점은 그런 행위 하나하나에 대해 ‘도덕적으로 마음챙김’하는 것이지, 대부분의 사람들이 하는 것처럼 정식(공식) [수행] 환경에서 로봇처럼 단지 행하는 것이 아닙니다.

     

    • * 필자는 무상(impermanence)이 어디서 왔는지 잘 모르겠는데, 분명히 삼빠자-나까-리(sampajānakāri)라는 낱말의 번역일 것입니다. 그러나 ‘사띠빳타-나 숫따 ㅡ 구조’ 포스트에서 설명되었듯이, 삼빠자-노-(sampajānō)는 높아진 지혜를 통해 옳음(올바름)과 그름/잘못됨(‘산_san’)을 아는 것을 의미합니다.

    • * 따라서 삼빠자-나까-리(sampajānakāri)는 올바른 방식으로 무언가를 하는 것을 의미하고, 삼빠자-나까-리 호-띠(sampajānakāri hōti)는 그렇게 하는 습관을 기르는 것을 의미합니다.

     

    4. 자신의 행위에 대해 ‘도덕적인 마음챙김을 하는 것’에 관한 세부 사항에 들어갈 때, 사람은 살생, 도둑질 등[을 하지 않는 것]에만 주의를 기울이지는 않습니다. 그 사람은 또한 일반적인 복지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지며, 예의바르게 행동하고 다른 사람들에게 예의바릅니다. 그 사람은 상황에 맞는 적절한 옷을 입고, 음식을 먹을 때 부적절한 소리를 내지 않고(떠들지 않고), 붐비는(혼잡한) 거리를 걸을 때 다른 사람들을 배려하고 길가에 쓰레기를 버리지 않는 등으로 행합니다.

     

    • * 필자가 ‘숫따 해석 ㅡ 웃데-사, 닛데-사, 빠띠닛데-사’ 포스트에서 가리켜 보였듯이, 숫따(sutta)는 ‘닛데사(niddesa)’, 즉 ‘간단한 설명’으로 지시를 줍니다. 그것은 직역보다는 설명이 필요합니다. 모든 숫따(sutta)는 원래 많은 시간에 걸쳐 설해졌으며, 그리고 나서 그것은 간략하게 하여 구두 전승(구전)에 적합하도록 특별한 방식으로 요약되었습니다.

     

    5. 대표적인 예(딱 들어맞는 예)가 “..웃짜-라빳사-와깜메 삼빠자-나까-리 호-띠 (..uccārapassāvakamme sampajānakārī hōti)”를 “그는 용변(대소변 보기)을 하는 동안, 무상에 대해 한결같이 철저히 이해하면서 그렇게 한다!”로 직역한 것입니다(위 #2의 평범한 번역).

     

    • * 거기에서 의미하는 것은 품위있게 행동하고 부적절한 장소에서 용변(대소변 보기)을 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이 모든 경우에 삼빠자-나까-리- 호-띠(sampajānakārī hōti)는 근면하고 분별력있게(신중하게) 행동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6. 다른 측면도 많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낮에 낮잠을 자려고 한다면, 왜 낮잠을 자야 하는지 자문해 봐야 합니다. 격렬한 활동을 해서 정말로 휴식을 좀 취해야 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불필요한 낮잠을 자는 것은 좋은 습관이 아닙니다. 그러면 그것은 습관이 될 수도 있고, 나쁜 습관이 될 수도 있습니다.

     

    • * 우리는 또한 좋은 습관을 길러야 합니다. 거리를 걷는 동안, 도움이 필요한 자들을 돕고 다른 이들에게 예의바르게 행동하는 것이 좋습니다. 공공 장소에 침을 뱉거나 자신이 좋은 대로  아무곳이나 그냥 쓰레기를 버리는 것과 같은 작은 것들이 다른 이들에게 불편함(그리고 건강 문제들)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 * 물론 각각의 사소한 행위들로, 우리는 또한 그것이 부도덕한 행위로 번지지(이어지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좋은 예는 술을 너무 많이 마시는 것입니다. 술을 마시는 것은 그 자체로는 아꾸살라 깜마(akusala kamma)가 아니지만(그리고 사회/사교 환경에서 술을 마시는 것은 잘못된 것이 아님), 취하게 될 위험이 있습니다.

    • * 취한 마음은 매우 위험할 수 있는데, 품위를 잃을 수 있고, 부도덕하고 공격적인 상황에 빠질 수도 있습니다. 음주와 흡연은 둘다 자신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에게 해로울 수 있습니다.

     

    7. 좋은 습관을 기르고 나쁜 습관을 버림에 따라, 그 사람은 점점 더 감수화(sensitized)되고 사소한 실수도 깨닫고 그만두게 됩니다. 이것이 ‘빠띠삼웨디(patisamvedi) (‘pati’ + ‘san’ + ‘vedi’)가 의미하는 것, 즉 ‘잘못된 마음가짐(마음성향)에 들러붙는 것’을 알게(자각하게)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 * 동시에, 자신의 ‘내적 불(inside fire)’이 크게 개선되기 시작할 것이지만, 또한 화나게 되거나 불쾌하게(기분 상하게) 되는 경향이 줄어들게 되고 다른 사람들에게 더 관대해집니다.

    • * 사이트에는 습관과, 그것들이 어떻게 윤회 습관(saṃsāric habit)과 아-사-와-(āsāvā)로 이어질 수 있는지에 대한 많은 포스트들이 있습니다. 좋은 습관을 개발하고 나쁜 습관을 없애는 것은 장기적으로뿐만 아니라 단기적으로 쿨링 다운(cooling down, 열내림)의 핵심(열쇠)입니다.

    • * 부모, 선생님, 그리고 친구는 아이의 삶에서 핵심(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왜냐하면 아이의 마음은 다른 사람들에 의해 좋은 영향이든 나쁜 영향이든 영향을 받아 평생 습관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기반이 잘 세워지면, ‘불을 통제하는’ 능력이 있는 ‘삼빠잔노-(sampajannō)’가 되기가 더 쉬워집니다.

     

    8. 이것이 삼빠잔노-(sampajannō)가 되고 ‘불을 진압’할 수 있는 것, 즉 ‘아-따-삐 삼빠자-노-(ātāpi sampajānō)’가 의미한 것인데, 이는 사띠빳타-나 숫따(Satipaṭṭhāna sutta)의 웃데사(uddesa)(간략한 요약)의 핵심 구절입니다. ‘사띠빳타-나 숫따 ㅡ 구조’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google":["PT Serif"],"custom":["Nanum Gothic","Noto Sans KR"]}{"google":["PT Serif","PT Sans"],"custom":["Nanum Gothic","Noto Sans KR","Nanum Barun Gothic"]}
    {"google":["Noto Sans KR"],"custom":["Nanum Goth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