퓨어 담마(Pure Dhamma)

붓다의 참된 가르침을 회복하기 위한 탐구


{"type":"img","src":"https://cdn.quv.kr/f5120tiws%2Fup%2F5c9ef7f87c581_1920.png","height":80}
  • 붓다 담마
  • 주요 담마 개념
  • 리빙 담마
  • 방 안의 코끼리
  • 담마와 과학
  • 세 단계 실천
  • 빠띳짜 사뭅빠다(연기)
  • 자아가 있는가?
  • 바와나(명상)
  • 아비담마
  • 담마빠다(법구경)
  • 숫따(경) 해석
  • 붓다 담마ㅡ상급
  • 음성법문
  • JBM 법문-녹취
  • 원문 홈
  • {"google":["PT Serif"],"custom":["Nanum Gothic","Noto Sans KR","Nanum Barun Gothic"]}

     

    [9a] 성향/성격(가띠)에 대한 소개

     

    원문: Bhāvanā (Meditation) 섹션의 ‘Introduction to Character or Personality (Gati)’ 포스트

     

    1. 여기 이곳은 붓다께서 왜 ‘자아(self)’와 ‘무아(no-self)’ 개념을 모두 받아들이지 않으셨는지를 알 수 있는 좋은 곳[포스트]입니다. 우리는 먼저 마음을 정화하는 일이 매우 개인적이라는 것을 깨달아야 하는데, 자신만이 자신의 마음을 알고 자신만이 자신의 마음을 정화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아야 합니다. ‘무아(no-self)’라고 인식하는 것은 이 마음 정화를 하기에는 출발점이 나쁩니다.

     

    • * 우리는 사람들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육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변한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다음 포스트 참조). 따라서, ‘영혼’ 또는 ‘자아’라는 개념은 이치에 맞지 않는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 * 그러나, 우리 각자는 다르고 독특합니다. 어떤 정해진(고정된) 시간에도 서로 동일한 사람은 없습니다. 각 사람이 변하더라도 그 변화 자체가 ‘그 사람’에게 독특하며(고유하며) 그 사람이 [변화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한 사람이 다른 사람과 다른 것은 각자의 성향(성격)(gati) 때문입니다.

    • * “무아(no-self)다” 또는 “실제 나는 없다”고 말하는 사람들에게, 필자는 “그러면 누군가 당신을 막대로 때리거나 어떤 식으로 심하게 다치게 해도 괜찮습니까?”라고 묻습니다. 분명히 그것은 괜찮지 않습니다. 고통/괴로움 그 자체만큼이나 실제적인 것을 부정한다고 해서 문제가 사라지지는 않습니다. 철학적인 것만으로 문제가 사라지는 것이 아닙니다.

    • * 이것이 붓다께서 ‘자아(self)’와 ‘무아(no-self)’라는 양극단을 받아들이지 않으신(거부하신) 이유입니다.

     

    2. 실제로 감각적 즐거움을 추구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것이 결실없다(무익하다)는 것을 점점 더 깨닫게 되면서, ‘자아(self)’라는 느낌이 감소하기 시작합니다. 아라한은 ‘자아없는(self-less) 사람’에 가장 가까운데, 하지만 아라한뜨(Arahant, 아라한)조차도 탐함(탐욕), 미워함(증오), 어리석음(무지)과는 상관없는 독특한 성향(성격)을 지니고 있지만, 그 성향(성격)은 업적으로 중립적인 습관에 더 가깝습니다.

     

    • * 예를 들어, 매우 나이 어린 아라한뜨(Arahant, 아라한)에 대한 이야기가 여기 있습니다. 어느 날 한 사람이 점심과 선물(보통, 빅쿠에게 필요한 가사, 수건 등)을 보시하기 위해 이 빅쿠를 자기 집으로 데려가려고 왔습니다. 도중에 그들은 땅이 파여 물이 고인 웅덩이들을 만났고 나이 어린 빅쿠는 그 위로 뛰어 건너갔습니다. 그 사람은 “아, 이 빅쿠는 어떤 막가 팔라(magga phala, 도과)를 얻는 것은 고사하고 훈육도 되지 못했다. 이 빅쿠에게 선물은 주지 않는 것이 아마도 좋을 것 같다.”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들은 몇 개의 웅덩이를 더 만났고, 그 빅쿠는 이번에는 웅덩이 주위로 돌아 지나갔습니다. 그래서, 그 사람은 “왜 아까 그 웅덩이만 뛰어넘었습니까?”라고 물었습니다. 그 빅쿠는 “더 이상 웅덩이를 뛰어넘으면, 아마도 점심도 먹지 못할 것 같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그 빅쿠는 신통력을 지닌 아라한이였고 그 사람의 마음을 읽은 것이 판명되었습니다! 또한 그 빅쿠는 가까운 과거 생의 많은 생을 원숭이로 태어났으며, 여전히 그것들을 뛰어 넘어 다니는 윤회 중의 ‘원숭이 습관’을 지니고 있었다고 합니다.

     

    3. 반복적으로 사용하면(행하면) 습관이 형성됩니다. 붓다께서는 “야- 얀 땅하 뽀노 바위타…..(yä yan tanha pöno bhavitha…..)”라고 말씀하셨습니다. 그 의미는 “바와(bhava) 또는 습관들은 다양한 것들, 활동 등에 대한 땅하(tanha, 갈애)로 형성된다”입니다. 땅하(Tanha)는 “탐함(탐욕), 미워함(증오), 어리석음(무지)을 통해 어떤 것에 들러붙는 것”을 의미함을 상기하세요. ‘땅하-, 탐함과 미워함과 미혹함을 통해 어떻게 들러붙는가?’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4. 우리가 관심있는 것은 단지 부도덕한 습관을 없애고 도덕적인 습관을 기르는 것입니다. 이것은 열반을 얻는 것에 대해 생각하기도 훨씬 전에 자신을 ‘더 나은 사람’으로 만들 것입니다. 이것은 ‘아-나/빠-나(äna-päna)’ 즉 ‘좋은 습관을 받아들임’와 ‘나쁜 습관을 버림’이라는 간단한 과정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 * 붓다께서는 “바-웨 탑반차 바위탄, 빠히 탑반차 빠히난(bhävé thabbancha bhavithan, pahee thabbancha paheenan)”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그 의미는 “좋은(선한) 것들을 계속하고, 좋지 않은(불선한) 것들을 제거하라”입니다. 거기서 ‘바-웨(bhävé)’는 ‘바와(bhava)’를 만드는 것을 지칭하기 때문에 그 의미는 그것보다 좀 더 깊습니다. 자신이 무언가를 많이 할수록 자신의 ‘바와(bhava)’가 됩니다. 그리고 자신이 의도적으로 무엇을 하는 것을 중단하여 적게 할수록 그 바와(bhava)는 사라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것은 오늘날 신경 학자들이 재발견하고 있는 것입니다. ‘How Habits are Formed and Broken – A Scientific View’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5. 나쁜 습관이 표면으로 나타날 때마다 거기서 바로 멈춰야합니다. 붓다께서는 “엣떼 산 웁빳자마나 웁빠자-띠, 빠히야마나 빠히야티(etté san uppajjamana uppajāti, paheeyamana paheeyathi”라고 말씀하셨습니다. 그 의미는 “산(san, 나쁜 습관)이  표면으로 나타날 때마다, 그 때 바로 인식하고 멈춰야 한다”입니다.

     

    • * 그러므로, 앉기 명상(좌선)을 할 때만이 아니라, 가능할 때마다 가능한 한 많이 이것을 해야 합니다.

    • * 이것은 붓다께서 또한 “아세위따야, 바위타야, 바훌리까타야(asevitaya, bhavithaya, bahuleekathaya)”로 의미하신 바이며, 이는 아나빠나사띠(anapanasati)로 도움이 되는 모든 것을 “가능할 때마다 가능한 한 많이 관여하고 사용하고 행하라”는 의미입니다. 이것들은 ‘습관, 목표, 및 성격(가띠 또는 가티)’ 포스트에 묘사되어 있습니다.

     

    6. 아-나-빠-나사띠(änäpänasati)에 정말로 관련된 것을 이해하는 것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뇌의 작용에 대한 최근의 발견은 붓다께서 강조하신 몇 가지 핵심 사항을 명확하게 하고 강조하는 데 실제로 도움이 됩니다. 그것[최근의 발견]은 누구에게나 [아나빠나사띠] 과정을 더 잘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필자는 생각합니다. 그러나 먼저, 이 성격 특성들이 어떻게 [한 생에서 다음 생으로] 이어지는지 간략하게 살펴 보겠습니다.

    {"google":["PT Serif"],"custom":["Nanum Gothic","Noto Sans KR","Nanum Barun Gothic"]}{"google":["PT Serif"],"custom":["Nanum Gothic","Noto Sans KR","Nanum Barun Gothic"]}
    {"google":["Noto Sans KR"],"custom":["Nanum Goth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