퓨어 담마(Pure Dhamma)
붓다의 참된 가르침을 회복하기 위한 탐구
37가지 깨달음의 요인
원문: Tables and Summaries 섹션의 ‘37 Factors of Enlightenment’ 포스트
- 2016년 1월 20일 개정; 2019년 5월 13일 개정; 2020년 3월 11일; 2022년 8월 20일 개정
1. 37가지 깨달음의 요인(보-디빡키야 담마, Bōdhipakkhiya Dhamma)은 많은 개별 인자가 [다음 그룹으로] 조합되어 있습니다.
-
* 4가지 마음챙김(짯따-로- 사띠빳타-나, Cattārō Satipaṭṭhāna,); ‘숫따(경) 해석’ 섹션의 ‘마하 사띠빳타나 숫따(Mahā Satipaṭṭhāna Sutta)’를 참조하세요.
-
* 4가지 최상의(바른) 노력(짯따-로- 삼맙-빠다-나, Cattārō Sammāppadhāna); 예를 들어, ‘Padhāna Sutta (AN 4.13)’를 참조하세요.
-
* 4가지 정신력(신통)의 기초(짯따-로- 잇디빠-다, Cattārō Iddhipāda); ‘Apāra Sutta (SN 51.1)’로 시작되는 숫따 시리즈를 참조하세요.
-
* 5가지 기능(빤짜 인드리야, Panca Indriya); ‘Suddhika Sutta (SN 48.1)’로 시작되는 숫따 시리즈를 참조하세요.
-
* 5가지 힘(빤짜 발라, Panca Bala); 예를 들어, ‘Punakūṭa Sutta (AN 5.16)’를 참조하세요.
-
* 7가지 깨달음의 인자(삿따 봇장가, Satta Bojjhaṅga); ‘Himavanta Sutta (SN 46.1)’로 시작되는 숫따 시리즈를 참조하세요.
-
* 성스런 팔정도(아리야 앗땅기까 막가, Ariya Attangika Magga); ‘Kalyāṇamitta Sutta (SN 45.49)’로 시작되는 숫따 시리즈를 참조하세요.
2. 이 요인(인자)들은 여러 정신 요소(쩨따시까, cetasika)와 그 쩨따시까들을 통합하는 찟따(citta)에 초점을 맞춥니다. 그것들은 아래 테이블에서 그것들의 적용을 강조 표시한 각 범주 하에 다른 이름으로 이름붙여져 있습니다.
-
* 예를 들어, 빤냐- 쩨따시까(paññā cetasika)는 4가지 정신력의 기초에서는 위-만사-(vīmaṁsā)로, 삿따 봇장가(Satta Bojjhaṅga)에서는 담마위짜야(dhammavicaya)로, 성스런 팔정도에서는 삼마- 딧티(Sammā Diṭṭhi)로 이름붙여져 있습니다.
-
* 각 범주 하에서는, 필자는 그 쩨따시까가 그 범주에서 사용된 용어를 기재하였습니다. 예를 들어, 성스런 팔정도에서, 삼마- 와-야마(Sammā Vāyāma)는 위리야 쩨따시카(viriya cetasika)입니다.
-
* 따라서 37가지 깨달음의 요인(인자)이 있지만, 모든 위 7가지 범주를 육성하는 동안에 14가지 쩨따시까만 육성됩니다.
-
* 그 7가지 범주는 모두 서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모든 37가지 요인(인자)은 짜따-로- 사띠빳타-나(Cattārō Satipaṭṭhāna, 사념처), 삿따 봇장가(Satta Bojjhaṅga, 7가지 깨달음의 인자), 또는 성스런 팔정도에만 집중함으로써 육성될 수 있습니다.
3. ‘Bhāvanā Sutta (AN 7.71)’에서, 붓다께서는 닙바-나에 이르기 위해 그 37가지 요인을 육성해야 한다고 설명하셨습니다.
-
* 그러나, 그 모두를 개별적으로 거쳐야 할 필요는 없습니다. 한 세트를 완전히 육성하면 다른 세트도 충족될 것입니다.
-
* 예를 들어, ‘Mahāsatipaṭṭhāna Sutta (DN 22)’에서, 붓다께서는 사띠빳타나(Satipaṭṭhāna)을 육성하는 것이 닙바-나에 이르는 보장된 길이라고 설명하셨습니다.
-
* 유사하게, ‘Ānāpānassati Sutta (MN 118)’에서는 아-나-빠-나사띠를 육성하면 사띠빳타-나를 충족할 것이라고 설명하십니다.
-
* 그러므로, 닙바-나(아라한과)에 이르는 많은 다른 방법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핵심 단계(걸음)는 사성제/빠띳짜 사뭅빠-다/틸락카나를 이해함으로써 소따빤나 아누가미 단계에 이르는 것입니다. ‘마하- 짯따-리-사까 숫따(대 40가지에 대한 법문)’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4. 또한 쩨따시까(cetasika)는 각자의 성향(가띠, gati)에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깨닫는 것이 중요합니다. ‘쩨따시까 ㅡ 가띠에 관련’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5. 4가지 최상의(바른) 노력(짯따-로- 삼맙-빠다-나, Cattārō Sammāppadhāna)는 마음을 청정하게 하는 노력으로서, (i) 일어난 번뇌/오염(아꾸살라)을 제거하고, (ii) 새로운 번뇌/오염(아꾸살라)를 일어나지 않게 방지하고, (iii) 일어난 건전한(도덕적인) 상태(꾸살라)를 강화하고, (iv) 새로운 건전한(도덕적인) 상태(꾸살라)를 일어나게 하는 노력입니다.
6. 모든 37가지 깨달음의 요인(인자)는 아라한 단계에서 충족됩니다(완전하게 됩니다).
다음 표를 살펴보세요.
관련된 요소 |
4가지 최상의 노력 |
4가지 정신력 |
5가지 기능 |
5가지 힘 |
사념처 |
7가지 깨달음의 인자 |
팔정도 |
빤냐(지혜) |
위만사 |
빤냐 |
빤냐 |
담마위짜야 |
삼마 딧티 |
||
위딱까(초기 전념) |
삼마 상깝빠 |
||||||
삼마 와짜 |
삼마 와짜 |
||||||
삼마 깜만따 |
삼마 깜만따 |
||||||
삼마 아지와 |
삼마 아지와 |
||||||
위리야 |
4가지 노력(위 #4) |
위리야 |
위리야 |
위리야 |
위리야 |
삼마 와야마 |
|
사띠(마음챙김) |
사띠 |
사띠 |
까야, 웨다나, 찟따, 담마 |
사띠 |
삼마 사띠 |
||
사마디(한 곳에 집중) |
사마디 |
사마디 |
사마디 |
삼마 사마디 |
|||
삿다(믿음) |
삿다 |
삿다 |
|||||
찬다(바람) |
찬다 |
||||||
찟따 |
찟따 |
||||||
삐띠 (기쁨) |
삐띠 |
||||||
빳삿디(평온) |
빳삿디 |
||||||
우뻭카 (평정) |
우뻭카 |
6(7). 또한, ‘2가지 종류(버전)의 37조도품’ 포스트를 참조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