퓨어 담마(Pure Dhamma)

붓다의 진정한 가르침을 회복하기 위한 탐구


{"google":["PT Serif","Noto Sans KR"],"custom":["Nanum Gothic","Nanum Barun Gothic"]}

 

37가지 깨달음의 요인

 

원문: Tables and Summaries 섹션의 ‘37 Factors of Enlightenment’ 포스트

- 2016년 1월 20일 개정; 2019년 5월 13일 개정; 2020년 3월 11일

 

1. 37가지 깨달음의 요인(보-디빡키야 담마, Bōdhipakkhiya Dhamma)은 많은 개별 인자가 [다음 그룹으로] 조합되어 있습니다.

 

  • * 4가지 마음챙김(짯따-로- 사띠빳타-나, Cattārō Satipaṭṭhāna,), ‘숫따(경) 해석’ 섹션의 ‘마하 사띠빳타나 숫따(Mahā Satipaṭṭhāna Sutta)’를 참조.

  • * 4가지 최상의(바른) 노력(짯따-로- 삼맙-빠다-나, Cattārō Sammāppadhāna),

  • * 4가지 정신력(신통)의 기초(짯따-로- 잇디빠-다, Cattārō Iddhipāda),

  • * 5가지 기능(빤짜 인드리야, Panca Indriya),

  • * 5가지 힘(빤짜 발라, Panca Bala),

  • * 7가지 깨달음의 인자(삿따 봇장가, Satta Bojjhaṅga), 및 

  • * 성스런 팔정도(아리야 앗땅기까 막가, Ariya Attangika Magga).

 

2. 이 요인(인자)들은 실제로는 정신 요소(쩨따시까, cetasika)와 그것들을 통합하는 찟따(citta)입니다. 그것들은 아래 테이블에서 그 적용을 강조 표시한 각 범주 하에 다른 이름으로 이름붙여져 있습니다.

 

  • * 예를 들어, 빤냐- 쩨따시까(paññā cetasika)는 4가지 정신력의 기초에서는 위만사(vimansa)로, 삿따 봇장가(Satta Bojjhaṅga)에서는 담마위짜야(dhammavicaya)로, 성스런 팔정도에서는 삼마- 딧티(Sammā Diṭṭhi)로 이름붙여져 있습니다.

  • * 각 범주 하에서는, 필자는 그 쩨따시까가 그 범주에서 사용된 용어를 기재하였습니다. 예를 들어, 성스런 팔정도에서, 삼마- 와-야마(Sammā Vāyāma)는 위리야 쩨따시카(viriya cetasika)입니다.

  • * 따라서 37가지 깨달음의 요인(인자)이 있지만, 모든 위 7가지 범주를 육성하는 동안에 14가지 쩨따시까만 육성됩니다.

  • * 그 7가지 범주는 모두 서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이 분명하고, 따라서 모든 37가지 요인(인자)은 짜따-로- 사띠빳타-나(Cattārō Satipaṭṭhāna, 사념처), 삿따 봇장가(Satta Bojjhaṅga, 7가지 깨달음의 인자), 또는 성스런 팔정도에만 집중함으로써 육성될 수 있습니다.

 

3. 또한 쩨따시까(cetasika)는 각자의 성향(가띠, gati)에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깨닫는 것이 중요합니다. ‘쩨따시까 ㅡ 가띠에 관련’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4. 4가지 최상의(바른) 노력(짯따-로- 삼맙-빠다-나, Cattārō Sammāppadhāna)는 마음을 청정하게 하는 노력으로서, (i) 일어난 번뇌/오염(아꾸살라)을 제거하고, (ii) 새로운 번뇌/오염(아꾸살라)를 일어나지 않게 방지하고, (iii) 일어난 건전한(도덕적인) 상태(꾸살라)를 강화하고, (iv) 새로운 건전한(도덕적인) 상태(꾸살라)를 일어나게 하는 노력입니다.

 

5. 모든 37가지 깨달음의 요인(인자)는 아라한 단계에서 충족됩니다(완전하게 됩니다).

 

다음 표를 살펴보세요.

관련된 요소

4가지 최상의 노력

4가지 정신력

5가지 기능

5가지 힘

사념처

7가지 깨달음의 인자

팔정도

빤냐(지혜)

 

위만사

빤냐

빤냐

 

담마위짜야

삼마 딧티

위딱까(초기 전념)

           

삼마 상깝빠

삼마 와짜

           

삼마 와짜

삼마 깜만따

           

삼마 깜만따

삼마 아지와

           

삼마 아지와

위리야

4가지 노력(위 #4)

위리야

위리야

위리야

 

위리야

삼마 와야마

사띠(마음챙김)

   

사띠

사띠

까야, 웨다나, 찟따, 담마

사띠

삼마 사띠

사마디(한 곳에 집중)

   

사마디

사마디

 

사마디

삼마 사마디

삿다(믿음)

   

삿다

삿다

     

찬다(바람)

 

찬다

         

찟따

 

찟따

         

삐띠

(기쁨)

         

삐띠

 

빳삿디(평온)

         

빳삿디

 

우뻭카 (평정)

         

우뻭카

 

 

{"google":["PT Serif"],"custom":["Nanum Gothic","Noto Sans KR","Nanum Barun Gothic"]}{"google":["PT Serif"],"custom":["Nanum Gothic","Noto Sans KR","Nanum Barun Gothic"]}
{"google":["Noto Sans KR"],"custom":["Nanum Goth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