퓨어 담마(Pure Dhamma)

붓다의 참된 가르침을 회복하기 위한 탐구


{"type":"img","src":"https://cdn.quv.kr/f5120tiws%2Fup%2F5c9ef7f87c581_1920.png","height":80}
  • 붓다 담마
  • 주요 담마 개념
  • 리빙 담마
  • 방 안의 코끼리
  • 담마와 과학
  • 세 단계 실천
  • 빠띳짜 사뭅빠다(연기)
  • 자아가 있는가?
  • 바와나(명상)
  • 아비담마
  • 담마빠다(법구경)
  • 숫따(경) 해석
  • 붓다 담마ㅡ상급
  • 음성법문
  • JBM 법문-녹취
  • 원문 홈
  • {"google":["PT Serif"],"custom":["Nanum Gothic","Noto Sans KR","Nanum Barun Gothic"]}

     

    앗사-사 빳사-사 ㅡ 그것들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원문: Elephants in the Room 섹션의 ‘Assāsa Passāsa – What Do They Mean?’ 포스트

     

    앗사-사(assāsa)와 빳사-사(passāsa)는 [숨을] 들이쉬고 내쉬는 일반적인(평범한) 의미를 가집니다. 그러나, 아-나-빠-나사띠 바-와나-(Ānāpānasati Bhāvanā)의 맥락에서 더 깊은 의미는 참된 본질을 배우고(앗사, 즉 ‘받아들임’ 그리고 ‘자-나또’가 됨) 그것을 완전히 이해함으로써(빳사,  즉 ‘지혜로 봄’ 그리고 ‘빠삿또’가 됨) 마음을 청정하게 하는 것에 대한 것입니다. 

     

    2022년 6월 8일 작성; 2025년 3월 9일 재작성

     

    많은 의미를 가진 낱말

     

    1. 모든 언어에서, 낱말들은 문맥에 따라 여러가지 의미를 가집니다. 

     

    • * 예를 들어, 영어에서, ‘interest’는 아래 두 문장, 즉  “We are paying a high interest on the loan(우리는 대출금에 대해 높은 이자를 지불하고 있다)”와 “She has no interest in him(그녀는 그에게 관심/흥미가 없다)”에서 매우 다른 의미를 가집니다.

    • * 동일한 식으로, 빠알리 낱말 앗사-사(assāsa)와 빳사-사(passāsa)는 문맥에 따라 매우 다른 것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앗사-사 빳사-사의 평범한 의미

     

    2. ‘Anupubbanirodha Sutta (AN 9.31)’에는 “catutthaṁ jhānaṁ samāpannassa assāsapassāsā niruddhā honti.”라고 기술되어 있습니다.

     

    • * 여기서, 앗사-사(assāsa)와 빳사-사(passāsa)는 다시 호흡을 지칭합니다. 그 구절은 “호흡은 제4자-나 사마-빳띠(the fourth jhāna samāpatti)에서 멈춘다.”고 말합니다.

    • * 앗사-사(assāsa)와 빳사-사(passāsa)에 대한 일반적(평범한) 의미를 가진 2개의 숫따가 더 있는데, ‘Sappa Sutta (SN 4.6)’ (‘그 호흡의 소리’, 즉 ‘evamassa assāsapassāsānaṁ saddo hoti’)와 ‘Mahāsaccaka Sutta (MN 36)’입니다.

    • * 이제 앗사-사(assāsa)와 빳사-사(passāsa)의 더 깊은 의미를 가진 일부 숫따들을 살펴보겠습니다.

     

    더 깊은 의미 ㅡ 앗사-사

     

    3. 두 개의 숫따가 앗사-사(assāsa)의 더 깊은 의미를 분명히 설명합니다. 다음은 ‘Assāsappatta Sutta (SN 38.5)’에 대한 필자의 번역입니다. 먼저, ‘빳또(patto)’는 ‘어떤 상태에 이르는 것’을 의미한다는 것에 주목하세요. 여기서, ‘앗사-삽빳또(assāsappatto)는 ‘앗사-사(assāsa)에 이른 어떤 자’, 또는 ‘괴로움에서 벗어난 자’, 또는 이 숫따의 문맥에서는 ‘출세간적으로 도덕적인 것을 받아들이기 시작한 어떤 자’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소따빤나 아누가-미 단계 이상의 모든 이들은 ‘앗사-삽빳또(assāsappatto)’입니다.

     

    질문: “사리뿟따 존자여, 앗사-삽빳또(assāsappatto)는 누구입니까? 

     

    사리뿟따 존자의 답변: 빅쿠가 여섯 가지 아-냐따나(phass āyatana)기원(발생)과 끝(samudayañca atthaṅgamañca), 그것들의 충족(만족), 결함, 및 벗어남(피함)(assādañca ādīnavañca nissaraṇañca)참된 본질을 이해할 때, 그들은 안도감을 얻고  성자가 됩니다.” 

     

    빠알리 구절: “Yato kho, āvuso, bhikkhu channaṁ phassāyatanānaṁ samudayañca atthaṅgamañca assādañca ādīnavañca nissaraṇañca yathābhūtaṁ pajānāti, ettāvatā kho, āvuso, assāsappatto hotī”ti.

     

    4. 그 구절은 간단해 보입니다. 하지만 깊은 의미가 있습니다.

     

    • * 그것은 여섯 가지 팟사 아-야따나(짝쿠, 소따, 가-나, 지와 , 까-야, 마나)가 일어난 것을 멈출 수 있다고 말합니다. 여기서, 팟사(phassa)는 ‘삼팟사(samphassa)’를 의미하며 감각 기능은 삼팟사(‘san phassa’, 즉 ‘오염된 접촉’)를 통해 아-야따나(āyatana)가 된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그 [멈추는] 과정이 시작되면 사람의 마음은 이득(앗사-사)을 거두기 시작합니다. 그것은 소따빤나, 사까다-가-미, 아나-가-미, 및 아라한과에서 절정에 이르는 네 단계에 걸쳐 일어납니다.

    • * 표식 1.4에서 질문자는 사리뿟따 존자에게 어떤 길(maggo)과 어떤 행위 계획(paṭipadā)을 사용하면 그것을 행하는 방법(sacchikiriyā)을 이해할 수 있는지를 묻는데, “Atthi panāvuso, maggo atthi paṭipadā, etassa assāsassa sacchikiriyāyā” ti?”입니다. 

    • * 표식 1.7에서 사리뿟따 존자께서는 그것은 팔정도라고 답변하시는데,  “Ayameva kho, āvuso, ariyo aṭṭhaṅgiko maggo etassa assāsassa sacchikiriyāya,.”입니다.

     

    앗사-삽빳또 ㅡ 성자

     

    5. ‘Nakulapitu Sutta (AN 6.16)’에서, 붓다께서는 나꿀라삐뚜 가하빠띠(Nakulapitu Gahapati)에게 그가 권고(충고)받은 그의 아내가 ‘앗사-삽빳또(assāsappatto)(성자)라고 말씀하시는데, “Yāvatā kho, gahapati, mama sāvikā gihī odātavasanā imasmiṁ dhammavinaye ogādhappattā patigādhappattā assāsappattā..” 입니다.

     

    • * ‘Kaḷāra Sutta (SN 12.32)’의 시작 부분에서 깔라-라캇띠요 빅쿠(bhikkhu kaḷārakhattiyo)는 사리뿟따 존자에게 “Tena hāyasmā sāriputto imasmiṁ dhammavinaye assāsaṁ patto”ti?라고 묻습니다. 

    • * 그 의미는 “사리뿟따 존자께서는 이 가르침과 훈육에서 위안/안도(해방)를 찾았습니까?”입니다.

    • * 사리뿟따 존자께서는 사람이 어떻게 닙바-나(nibbāna)에 도달할 수 있는지를 설명하십니다. 사리뿟따 존자께서 많은 개념을 설명하고 있는 그 숫따를 읽어보면 좋습니다.

     

    빠라마 앗사-사 ㅡ 앗사-사가 완성됨(빳사-사)

     

    6. ‘Paramassāsappatta Sutta (SN 38.6)’에서 어떤 분이 사리뿟다 존자에게 ‘빠라맛사-삽빳또(paramassāsappatto)’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묻습니다. “‘Paramassāsappatto, paramassāsappatto’ti, āvuso sāriputta, vuccati. Kittāvatā nu kho, āvuso, paramassāsappatto hotī”ti?” 입니다.

     

    • * 사리뿟다 존자께서는 “빅쿠는 여섯 가지 팟사-야-따나(phassāyatana)기원(발생), 끝, 충족(만족), 결함, 및 그것들로부터 벗어남(피함)참으로 이해함으로써 완전히 자유로워집니다. 그 때, 그들은 완전한 닙바-나, 즉 아라한과에 도달합니다(paramassāsappatto).”라고 답하시는데, “Yato kho, āvuso, bhikkhu channaṁ phassāyatanānaṁ samudayañca atthaṅgamañca assādañca ādīnavañca nissaraṇañca yathābhūtaṁ viditvā anupādāvimutto hoti, ettāvatā kho, āvuso, paramassāsappatto hotī”ti.입니다.

    • * ‘빠라마(Parama)’는 ‘궁극적’을 의미합니다. 이득(앗사-사, assāsa)을 거두는 것은 빠라맛사-삽빳또(paramassāsappatto, parama assāsa patto)에서 정점을 이룹니다. 여기서, ‘아눗빠-다-위뭇또(anupādāvimutto)’는 ‘재탄생 과정을 멈춤(anupāda, 또는 ‘na upapāda’)에 의해서 해방됨(vimutto)’을 의미합니다.

    • * 그것은 감각 기능이 팟사 아-야따나(phassa āyatana)가 되는 것이 멈추고 오염되지 않은 인드리야(indriya)의 순수한 상태, 즉 ‘순수한 감각 기능’ 상태로 되돌아 갈 때인 아라한 단계에서 일어납니다. 아라한은 보고, 듣는 등을 할 수 있지만, 세간적 즐거움을 추구하기 위해 그 감각 기능을 사용하지는 않습니다. 

    • * 아라한뜨 팔라(Arahant-phala) 순간에,  10가지 모든 윤회 족쇄의 끊어짐이 완료됩니다. 그들은 ‘31영역 세상’에서 해방되고 닙바-나(알-로까)에 도달합니다. 

     

    아라항 앗사- ㅡ 아라한과를 얻음

     

    7. 위 #5에서 본 바와 같이, 소따빤나 아누가-미 단계 이상의 모든 이들은 앗사-삽빳또(assāsappatto)고, 아라한은 빠라맛사-삽빠또( paramassāsappatto )입니다.

     

    • * 반면에, 아라항 앗사-(arahaṁ assā)는 ‘아라한과를 받음/얻음’을 의미하며, 여기서 ‘앗사-(assā)’는 ‘받음’과 동등합니다.

    • * 이것은 짧은 숫따인 ‘Dukkara Sutta (SN 39.16)’에 나오는 질문으로, “Kīvaciraṁ panāvuso, dhammānudhammappaṭipanno bhikkhu arahaṁ assā” ti?”, 즉 “빅쿠들이 가르침에 따라 실천하면, 아라한과에 이르는데 오래 걸릴까요?”라는 것입니다. 앗사-사(assāsa)뿐만 아니라 앗사-(assā)는 문맥에 따라 다른 의미를 가질 수 있습니다.

    • * 이전 구절인 “Pabbajitena kho, āvuso, abhirati dukkarā” ti.”은 숫따 센트럴 사이트의 번역에서는 “당신이 앞으로 나갔을 때 만족하기 어렵다.”로 잘못 번역되어 있음에 유의하세요. 올바른 번역은 “당신이 앞으로 나갔을 때(진전했을 때), 당신은 감각적 매력을 갈망하는 것(abhirati)을 괴로움(dukkarā)(의 원인)으로 본다(안다).”입니다.

     

    시-하 숫따(AN 8.12)

     

    8. ‘Sīha Sutta (AN 8.12)’에서, 붓다께서는 시-하 장군에게 “Katamo ca, sīha, pariyāyo, yena maṁ pariyāyena sammā vadamāno vadeyya: ‘assāsako samaṇo gotamo, assāsāya dhammaṁ deseti, tena ca sāvake vinetī’ti?”라고 설명하십니다.

     

    • * 필자의 번역: “어떤 방식으로(Katamo ca, sīha, pariyāyo, yena maṁ pariyāyena) 담마를 설명하여(sammā vadamāno vadeyya) 내 제자/빅쿠들을 훈련(sāvake vinetī)시킬까요? 어떻게 가르쳐서 그들의 마음이 차분해지고 그들이 경험할 수 있는 이익을 거둘 수 있게 할 수 있을까요(assāsāya dhammaṁ deseti)?”

     

    표식 24.3(다음 구절)에서, 붓다께서는 “Ahañhi, sīha, assāsako paramena assāsena, assāsāya dhammaṁ desemi, tena ca sāvake vinemi”라고 답을 주십니다.

     

    • * 필자의 번역: “시하-님, 나는 빠라마 앗사-사 담마(사성제)를 가르치고 나의 제자들을 그 길로 인도합니다.”

    • * 위 #6의 설명으로 이 문제를 명확히 할 수 있습니다.

    • * 숫따 센트럴(Sutta Central) 사이트의 번역에서, 그 구절은 “나는 위안, 최고의 위안을 주겠다는 염원을 갖고 있고, 위안을 가르치고, 나의 제자들을 그런 식으로 지도합니다.”로 잘못 번역되어 있습니다.

     

    께사뭇띠 숫따(‘깔라-마 숫따’와 동일)

     

    9. ‘Kesamutti Sutta (AN 3.65)’에서, 붓다께서는 깔-라-마-인들에게 ‘멧따-(mettā), 까루나-(karuṇā), 무디따-(muditā), 및 우뻭카-(upekkhā), 즉 ‘벗어남(안도함)을 육성’하는 네 가지 방법을 가르친다고 설명하셨는데, 이것은 “그들이 현재 삶 자체(diṭṭheva dhamme)에서 4가지 유형의 앗사-사-(‘이득을 거둠’)를 이해한다(adhigata)”를 의미하는 “Tassa diṭṭheva dhamme cattāro assāsā adhigatā honti”(표식 43.2)로 이어집니다. 네 가지 유형[앗사-사, 이득을 거둠]은 다음과 같습니다.

     

    (i) (붓다께서 가르치신 바와 같이) 사후 세계가 있고 선행과 악행이 그에 따른 결과를 가져온다면, 나는 육체가 무너져 죽은 뒤에 좋은 곳, 천상에 태어날 것이다.

    (ii) 사후 세계가 없고 선행과 악행이 결과를 가져오지 않는다면 그것은 중요하지 않다. 나는 이 생에서 적의와 악의 없이 평온하고 행복하게 지낼 것이다. 

    (iii) (붓다께서 가르치신 바와 같이) 나쁜 것을 하는 사람에게 나쁜 것이 일어난다면, 나쁜 의도가 없고 나쁜 것을 하지 않는데, 어떻게 괴로움이 나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겠는가?

    (iv) 나쁜 것을 하는 사람에게 나쁜 것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이 밝혀진다면, 그것은 중요하지 않을 것이다. 나는 여전히 안전할 것이다.

    • * 요점은 멧따(mettā), 까루나-(karuṇā), 무디따-(muditā), 및 우뻭카-(upekkhā)를 육성하는 모든 사람은 재탄생 과정이 있든 없든 그에 관계없이 이득을 거둔다는 것입니다. 깜마가 미래에 그 위빠까를 갖게 되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마찬가지입니다.   

    • * ‘앗사(assa)’라는 낱말이 ‘맥락에 따라 받아들임 또는 이득’을 나타내는 숫따가 많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Samādhi Sutta (AN 10.6)’에서는 특정한 유형의 산냐-(saññā)를 받아들임/육성함을 나타냅니다.

     

    아-나-빠-낫사띠 숫따(MN 118) ㅡ 앗사 사띠 및 빳사 사띠

     

    10. 이제, 앗사-사(assāsa)와 빳사-사(passāsa) 낱말의 용법을 보기 위해 ‘Ānāpānassati Sutta (MN 118)’를 간략히 살펴보겠습니다.

     

    • * 그 낱말은 ‘Ānāpānassati Sutta (MN 118)’ 표식 17.2에서 처음 사용되었는데, “So satova assasati satova passasati.”입니다.

    • * ‘앗사(assa)’와 ‘빳사(passa)’라는 낱말이 ‘사띠(sati)’와 결합되어 있다는 것에 주목하세요. 여기서 ‘사띠(sati)’는 ‘주의를 고정/집중하다’는 의미가 아니라 사성제를 이해함으로써 오는 ‘삼마- 사띠(Sammā Sati)’를 의미합니다. 

    • * 그 구절의 의미는 “그는 무엇을 받아들여야 할 지(무엇을 이해해야 할 지) 숙고하고, ‘지혜롭게 그것을 보거나’ 검증한다.”입니다.

    • * 따라서, 아-나-빠-나사띠 바-와나-(Ānāpānasati Bhāvanā)의 올바르고 더 깊은 버전은 삼마- 사띠(Sammā Sati)를 육성함으로써 소따빤나 단계로 이끕니다.

    • * 다음 포스트에서 그것을 논의하겠습니다.

     

    11. 그 아래 세번째 구절(표식 18.3)은 “sabbakāyapaṭisaṁvedī assasissāmī’ti sikkhati,’‘sabbakāyapaṭisaṁvedī passasissāmī’ti sikkhati.”입니다. 여기서, ‘식카띠(sikkhati)’는 ‘(번뇌/을 제거하는) 훈련을 한다’를 의미합니다.

     

    • * “앗사싯사-미-’띠 식카띠(assasissāmī’ti sikkhati)”는 ‘앗사 싯사-미-’띠 식카띠(assa sissāmī’ti sikkhati)’로 쓰여질 때 분명하게 됩니다. 그것은 “그는 (마음을 정화하는) 그 훈련에서 좋은 것을 받아들이는 훈련을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 같은 식으로, “빳사싯사-미-’띠 식카띠(passasissāmī’ti sikkhati)”는 “그는 받아들여진 것을 완전히 이해함으로써 훈련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삽베 상카-라- 아낫사-시까-

     

    12. 아낫사-시까(anassāsikā)는 ‘na + assāsikā’에서 유래합니다. 따라서, 아낫사-시까(anassāsikā)는 그것이 해로울 뿐일 수 있기 때문에 받아들이거나 관련되거나 육성하지 않아야 함을 의미합니다.

     

    • * “evaṁ anassāsikā, bhikkhave, saṅkhārā”라는 구절은 “빅쿠들이여, 그대들은 상카-라를 육성하지 않아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그 구절을 가진 여러 숫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Vepullapabbata Sutta (SN 15.20)’를 참조하세요. 다른 숫따들은 SN 22.96, AN 7.66, MN 76, MN 112, 및 DN 17입니다.

    • * 그 이유는 알기 쉽습니다. 빠띳짜 사뭅빠-다(Paṭicca Samuppāda)는 “아윗자- 빳짜야- 상카-라(avijjā paccayā saṅkhāra)”로 시작하여 “바와 빳짜야- 자-띠, 자-띠 빳짜야- 자라-, 마라나, 소까ㅡ빠리데-와ㅡ둑카ㅡ도-마낫수빠-야사- 삼바완’띠(bhava paccayā jāti, jāti paccayā jarā, marana, soka-paridēva-dukkha-dōmanassupāyasā sambhavan’ti)”, 또는 “괴로움의 전체 덩어리”로 끝납니다.

    • * 물론, ‘상카-라(saṅkhāra)’는 다양한 정도로 위빠-까(vipāka)를 가져올 수 있는 많은 유형이 있습니다. 아뿐냐 아비상카-라(apuñña abhisaṅkhāra, apuññābhisaṅkhāra)는 아빠-야(악처/사악처)에 태어남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뿐냐 아비상카-라(puñña abhisaṅkhāra, pññābhisaṅkhāra)는 좋은 태어남으로 이어지지만, 여전히 미래에 아빠-야에 태어날 수 있는 재탄생 과정을 늘립니다. 모든 상카-라 생성(뿐냐-비상카-라 및 아뿐냐-비상카-라)은 아라한 단계를 얻을 때 멈춥니다.

     

    아릿타 숫따(SN 54.6) ㅡ 두 가지 의미

     

    13. 위 #2에서 앗사-사(assāsa)와 빳사-사(passāsa)의 평범한 의미를 논의했습니다. 나머지 논의에서 더 깊은 의미를 살펴보았습니다(모두 상호 연관됨). 붓다께서 두가지 의미를 모두 언급하신 숫따가 하나 있습니다.

     

    • * 잘못된 버전의 아-나-빠-낫사띠(Ānāpānassati)는 부처님 [시대] 이전에도 있었습니다. 아릿타 숫따(‘Ariṭṭha Sutta, SN 54.06’)에서, 아릿타 빅쿠(Bhikkhu Ariṭṭha)는 자신이 아-나-빠-낫사띠(Ānāpānassati)를 “So satova assasissāmi, satova passasissāmi.”로 실천한다고 말했습니다.

    • * 위 구절에서, 아릿따 빅쿠가 의미한 것은 “나는 들숨에 마음챙기고, 날숨에 마음챙긴다.”입니다. 이 구절에 ‘식카띠(sikkhati)’는 없습니다. [숨을] 들이쉬고 내쉬는 것은 성스런 길에 따라 실천하는 것, 즉 마음에서 오염원을 제거하는 것으로 이어지지 않습니다. 더욱이, 아-나-빠-낫사띠 숫따(MN 118)에서와 같은 “So satova assasati satova passasati”를 통해 ‘삼마- 사띠(Sammā Sati)’를 하는 역할이 없습니다. 위 #8을 참조하세요.

     

    14. 붓다께서는 아릿타 빅쿠에게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습니다.

    “..Atthesā, ariṭṭha, ānāpānassati, nesā natthī’ti vadāmi. Api ca, ariṭṭha, yathā ānāpānassati vitthārena paripuṇṇā hoti taṃ suṇāhi, sādhukaṃ manasi karohi; bhāsissāmī”ti.

     

    • * 번역:아릿타여, ..그 아-나-빠-낫사띠(ānāpānassati)가 있다. 나는 그것이 없다고 말하지 않는다. 그러나 참된(야타-, yathā) 아-나-빠-낫사띠(ānāpānassati)를 내가 자세히 설명하겠다. 주의를 기울여 잘 들어라. 내가 말하겠다.”

    • * 그리고, 붓다께서는 아-나-빠-낫사띠 숫따(Ānāpānassati Sutta, MN 118)에 있는 다음 동일한 구절을 설명하십니다. “So satova assasati, satova passasati. Dīghaṁ vā assasanto ‘dīghaṁ assasāmī’ti pajānāti …pe… ‘paṭinissaggānupassī assasissāmī’ti sikkhati, ‘paṭinissaggānupassī passasissāmī’ti sikkhati. Evaṁ kho, ariṭṭha, ānāpānassati vitthārena paripuṇṇā hotī”ti.”

    • * 물론, 이 설명은 웃데사(uddesa, 발화 발언) 버전입니다. 곧 있을 포스트에서, 우리는 (더 자세한) 닛데사(niddesa, 간단한 설명) 형태로 그것을 논의하겠습니다.

     

    앗사-사 빳사-사는 ‘자-나또 빠삿또’와 비슷하다

     

    15. ‘자-나또 빳사또와 아-자-니야 ㅡ 기억해야 할 결정적인 말들’ 포스트에서 ‘자-나또 빠삿또(jānato passato)’를 논의했습니다.

     

    • * 두 구절은 매우 비슷한 의미를 전달합니다.  

     

    요약

     

    16. 앗사-사(assāsa)와 빳사-사(passāsa)는 맥락에 따라 깊은 의미를 가질 수 있습니다.

     

    • * 평범한 의미는 숨을 들이쉬고 숨을 내쉬는 것입니다. 요즈음 대부분의 번역자들은 모든 곳에 그 평범한 의미를 사용하므로 ‘아-나-빠-나사띠 바-와나-(Ānāpānassati Bhāvanā)를 ‘호흡 명상’이라고 잘못 설명합니다.

    • * 더 깊은 의미는 다양한 ‘풍미’로 나타날 수 있지만 위에서 논의한 것과 동일한 기본 개념을 가지고 있습니다.

    • * ‘앗사-사  빳사-사(assāsa passāsa)’는 ‘자-나또 빳사또(jānato passato)’와 비슷하지만 미묘한 차이가 있을 것입니다. 필자는 아직 그것에 대해 확신하지 못합니다. 

    {"google":["PT Serif"],"custom":["Nanum Gothic","Noto Sans KR"]}{"google":["PT Serif"],"custom":["Nanum Gothic","Noto Sans KR","Nanum Barun Gothic"]}
    {"google":["Noto Sans KR"],"custom":["Nanum Gothic"]}